- 다문화 가족이 행복할 수 있도록 부산이 함께합니다.
- 우리시에서는 한국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다문화가족의 조기 정착 및 안정적 생활 지원으로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1. 다문화 육아나눔터 운영
- 대 상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 결혼이민자 및 자녀
- 내 용 : 육아정보 제공, 여가시간 활용, 센터의 원활한 프로그램 이용을 위한 다문화 육아나눔터 설치·운영
- 운영기관 : 북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2.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 지원
- 대 상 : 다문화가족 미취학아동 및 초등학생 자녀
- 내 용 : 기초 한글, 수학, 읽기‧쓰기 등 학습지원 및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생활‧교육과정 등 안내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서, 동, 영도, 부산진, 동래, 북, 해운대, 사하, 금정, 수영, 사상구)
3.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 대 상 :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다문화가족의 7세~18세 다문화가족 자녀
-
내 용
사례관리를 통해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과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재 구입, 독서실이용, 온라인학습권 구매 등에 필요한 비용 지원
☞ 초등 400천원, 중등 500천원, 고등 600천원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중구ㆍ강서구는 구청에서 수행)
4. 다문화가족 자녀 장학금 지원
- 대 상 : 다문화가족 고등학생 자녀(7명)
- 내 용 : 학원비, 교재비 등 1인당 연간 400만원 상당 지원
- 운영방법 : 시(홍보, 대상자추천), 은성의료재단(장학금 지원), 초록우산어린이재단(사업수행)
5. 다문화 청소년 맞춤형 진로프로그램 지원
- 대 상 : 7세~24세 다문화가족·외국인가족 자녀
- 내 용 : 진로탐색・취업 상담 및 진로검사를 통한 적성 탐색 및 진로선택 지원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3개소(부산진, 북구, 해운대구), 가족센터 3개소(서구, 동구, 사상구)
6. 방문교육
- 대 상 : 센터 이용이 어려운 다문화가족
-
내 용 : 센터 방문지도사 주2회(회당2시간) 방문 교육
-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 1~4단계, 어휘·문법·문화 등
- 부모교육 : 자녀양육, 가족상담 및 정서지원, 정보제공 등
- 자녀생활서비스 : 독서코칭, 숙제지도, 기본 생활습관, 진로지도 등
- 운영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개소(부산진, 남구, 북구, 해운대구), 가족센터 7개소(서구, 동구, 영도구, 동래구, 사하구, 사상구, 기장군)
7. 자녀 언어발달지원
- 대 상 : 언어발달교육이 필요한 다문화가족 자녀 등(만12세 이하)
- 내 용 : 주 2회, 회당 40분 수업, 개별수업(1:1) 또는 모둠 수업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개소(부산진, 남구, 북구, 해운대구), 가족센터 7개소(서구, 동구, 동래구, 사하구, 금정구, 사상구, 기장군)
8. 이중언어 교육지원
- 대 상 : 18세 이하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 내 용 : 이중언어 부모・가족코칭, 이중언어 직접학습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개소(부산진, 남구, 북구, 해운대구), 가족센터 7개소(서구, 동구, 동래구, 사하구, 금정구, 연제구, 사상구)
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1. 결혼이주여성 학력신장 지원
- 대 상 : 결혼이주여성
- 내 용 : 초, 중, 고 검정고시 대비반 운영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2. 저소득 다문화가족 무료 종합 건강검진 지원
- 시 기 : 4~5월
- 대 상 : 저소득 다문화가족
- 내 용 : 매년 100명씩 무료 종합건강검진 지원(인당 50만원 상당)
- 검진기관 : (재)한국의학연구소 부산센터
3. 결혼이주여성 긴급지원 시스템 구축
(1) 이주여성쉼터 : 1개소(2년 이내, 숙식 제공, 상담, 치료, 출국 지원 등)
(2) 긴급지원센터 : 전국 24시간(☎ 1577-1366), 부산 09:00~18:00(☎ 051-508-1366)
4. 결혼이민자 취업 지원
- 내 용 : 취업을 준비하는 결혼이민자를 모집해 직업 사전교육(한국어, 직업소양, 컴퓨터 등)를 실시하고, 다양한 직업훈련기관과 연계해 결혼이민자가 적합·유망 직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통합 지원
- 운영기관 : 부산진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5. 결혼이민자 인턴 연계 지원
- 대 상 : 구직 등록 결혼이주여성
- 내 용 : 기업 인턴근무 연계, 지원금 지급 등
- 문 의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11개소(☎ 1544-1199)
6. 결혼이민자 취·창업 프로그램
- 대 상 : 결혼이민자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7. 결혼이민자 생활편의 지원
- 내 용 : 결혼이민자 모국발송 국제특송 요금의 10% 할인▹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 내 용 : 해외송금 시 수수료 면제와 환율 80%(USD, JPY) 우대 등 ▹외국인등록증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지참
- 행정안전부재난안전정보제공 앱(Emergency Ready App) : 긴급 재난문자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태국어로 제공
(1) 국제특송 요금(EMS) 할인 : 부산지역 우체국
(2) 해외송금 은행수수료 할인 등 : 부산은행
(3) 재난안전정보 다국어서비스 제공
8. 결혼이민자 역량강화(한국어교육)
- 대 상 :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 등
- 내 용 : 특수목적, 실용한국어 교육(취업, 토픽 등 7개 과정)
- 운영기관 : 16개 기관(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족센터, 복지관 등)
9.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 대 상 : 다문화가족, 외국인·난민가족 또는 다문화가족, 외국인·난민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
- 내 용 : 통·번역, 정보제공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14개소
▹ 베트남어 :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10.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
- 대 상 : 저소득 다문화 한부모가족
- 내 용 : 아동 양육비(월 21만원), 중고생 학용품비 지원(연 9.3만원)
- 문 의 : 구·군 주민센터 상담 및 신청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1. 가족단위 상담 강화
- 대 상 : 다문화가족 구성원
- 내 용 : 다문화가족 부부·부모·자녀관계 개선 및 가족갈등 등 관련 상담 지원
- 문 의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2. 가족 내 성평등·인권의식 함양
- 대 상 : 다문화가족 구성원
- 내 용 : 성평등 교육, 인권감수성 향상교육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3. 다문화 이해교육 추진
- 대 상 : 공무원, 일반시민, 시설종사자, 결혼이민자
- 내 용 : 다문화사회, 다문화감수성 제고 특강
- 문 의 : 부산시 인구정책담당관
4. 결혼이민자 대표회의 운영
- 구 성 : 16명(구ㆍ군별 추천)
- 구성현황 : 다양한 체험 활동 및 소통 프로그램 운영
- 회의개최 : 연 2회
- 회의내용 : 다문화가족 한국사회 적응 고충, 의견 수렴 등
5. 다문화가족 교류·소통공간 운영
- 내 용 : 다문화가족 간 커뮤니티 활용, 지역사회와의 열린 공간 운영, 자조모임 지원, 자녀성장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 운영기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3개소(동구,북구, 해운대구)
다문화가족정책 추진 기반 강화
- 사업목적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거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자원 및 유관기관을 활용한 지역특화 다문화가족 서비스 개발
-
사업내용
- 지역센터 운영관련 컨설팅
- 우수사례 공유 등을 통한 업무효율성 제고
- 센터 간 지속적 정보공유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 추진주체 : 부산시, 남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거점)
다문화가족 현황
2023.11.1. 기준 / (단위 : 명)
구분 | 총계 | 결혼이민자 | 자녀(귀화, 외국국적 자녀 포함) | ||||||||||||
---|---|---|---|---|---|---|---|---|---|---|---|---|---|---|---|
소계 | 남 | 여 | 국적미취득자 | 국적취득자 |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
계 | 28,135 | 9,183 | 18,952 | 14,640 | 2,348 | 12,292 | 7,305 | 1,452 | 5,853 | 7,335 | 896 | 6,439 | 13,495 | 6,835 | 6,660 |
중구 | 393 | 126 | 267 | 250 | 51 | 199 | 128 | 22 | 106 | 122 | 29 | 93 | 143 | 75 | 68 |
서구 | 906 | 289 | 617 | 498 | 79 | 419 | 232 | 44 | 188 | 266 | 35 | 231 | 408 | 210 | 198 |
동구 | 1,027 | 332 | 695 | 596 | 110 | 486 | 280 | 45 | 235 | 316 | 65 | 251 | 431 | 222 | 209 |
영도구 | 1,085 | 331 | 754 | 563 | 65 | 498 | 251 | 32 | 219 | 312 | 33 | 279 | 522 | 266 | 256 |
부산진구 | 2,542 | 787 | 1,755 | 1,339 | 188 | 1,151 | 680 | 118 | 562 | 659 | 70 | 589 | 1,203 | 599 | 604 |
동래구 | 1,410 | 450 | 960 | 702 | 85 | 617 | 347 | 48 | 299 | 355 | 37 | 318 | 708 | 365 | 343 |
남구 | 1,888 | 626 | 1,262 | 922 | 148 | 774 | 464 | 94 | 370 | 458 | 54 | 404 | 966 | 478 | 488 |
북구 | 2,283 | 728 | 1,555 | 1,090 | 120 | 970 | 487 | 61 | 426 | 603 | 59 | 544 | 1,193 | 608 | 585 |
해운대구 | 2,893 | 1,116 | 1,777 | 1,465 | 378 | 1,087 | 852 | 291 | 561 | 613 | 87 | 526 | 1,428 | 738 | 690 |
사하구 | 3,370 | 1,015 | 2,355 | 1,772 | 210 | 1,562 | 816 | 111 | 705 | 956 | 99 | 857 | 1,598 | 805 | 793 |
금정구 | 1,527 | 485 | 1,042 | 822 | 126 | 696 | 392 | 71 | 321 | 430 | 55 | 375 | 705 | 359 | 346 |
강서구 | 1,468 | 512 | 956 | 744 | 148 | 596 | 395 | 94 | 301 | 349 | 54 | 295 | 724 | 364 | 360 |
연제구 | 1,207 | 395 | 812 | 600 | 93 | 507 | 320 | 54 | 266 | 280 | 39 | 241 | 607 | 302 | 305 |
수영구 | 1,330 | 481 | 849 | 695 | 161 | 534 | 406 | 114 | 292 | 289 | 47 | 242 | 635 | 320 | 315 |
사상구 | 3,033 | 910 | 2,123 | 1,647 | 232 | 1,415 | 736 | 158 | 578 | 911 | 74 | 837 | 1,386 | 678 | 708 |
기장군 | 1,773 | 600 | 1,173 | 935 | 154 | 781 | 519 | 95 | 424 | 416 | 59 | 357 | 838 | 446 | 392 |
※ 사하구>사상구>해운대구>부산진구>북구>남구>기장구>금정구>강서구>동래구>수영구>연제구>영도구>동구>서구>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