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진구

연혁

부산지역의 선사유적은 최근에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지역에서 새로 알려진 좌동과 청사포 일대에서 구석기유적이 발견되었다. 특히 신석기유적은 동삼동․다대동 등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부산진구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유적지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신석기시대 이전에 사람이 거주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의 분포양상도 청동기의 유적 분포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사람이 점차 해안지대에서 내륙 구릉지대로 이동하여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산진구지역에서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이 동평현(현 당감동)지역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철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다고 할 수 있다.

삼한․삼국시대의 부산진구지역은 변한의 소국의 하나인, 거칠산국(居漆山國)에 편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거칠산국이『삼국사기』권44, 거도전에 의하면, “석탈해왕 때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하고 있으므로 오늘날의 부산진구 지역도 신라에 의해 새로운 행정구역으로 편제되었다.『삼국사기』권34, 지리1 동평현조에 의하면, “동평현은 본래 대중현이다.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는데, 지금 그대로 쓰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볼 때 일찍이 신라에 정복당한 후 대증현으로 편제되었다.

그것은 당감동 고분군에서 발견된 5~6세기의 유물들이 신라유물의 영향을 받았던 것을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신라는 경덕왕 16년(757)에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변경하였는데, 이때 대증현도 동평현으로 개칭되었다. 이 시기 동평현은 동래군의 속현이었기 때문에 지방관은 파견되지 않았다.

고려시대에는 동평현의 영현이었던 동래군이 동래현으로 강등되면서 울주군에 영속되자, 동평현도 양주군에 속했다. 동래군은 고려후기에 다시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나 동평현은 계속 양주군의 지배를 받았다. 고려후기에는 각 지역에 존재하는 성을 축성․정비하였는데, 동평성도 이때 수축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는 고려말부터 왜구의 침략이 남해안에 계속되자 동래현을 동래군으로 다시 승격시켜 양주에 속했던 동평현은 동래군에 소속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지배도 얼마되지 않아 곧 태종 9년(1409)에 다시 양주에 영속되었다가 세종 10년(1428)에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다. 명종 2년(1547) 에는 동평현은 동평면으로 개칭하여 동래부에 속하게 되었다.

일제시기 초 1914년 동래부를 부산부와 동래부 일부에 기장군을 편입하여 동래군으로 나누었다. 부산진구지역은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 1936년 부산진출장소(초읍․연지․범전․부전․양정․전포․부암․당감․가야․개금동)가 설치되어 부산부에 속하게 되었다. 또한 1938년에는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면이 부산시에 편입되어 부산진구의 관할 사상출장소와 구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8년에는 부산진구 북부출장소 관할구역이 북구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 현재의 관할동은 가야동․개금동․당감동․범전동․범천동․부암동․부전동․양정동․연지동․전포동․초읍동 등이 있다.

가야동

가야동(伽倻洞)의 유래는『동래부지(1740)』방리조에 보면, "가야리는 동평면에 속한 지역으로 관문에서 20리 거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야리는 어휘의 뜻이 무엇인지는 아직 학계에서 정론을 얻지 못하고 있으나,『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6가야의 가야를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옛날 지금의 구관, 즉 수정동 으로부터 감고개를 넘어 가야동으로 왕래하였던 까닭에 이곳은 교통의 요충지에 해당되었다. 가야리란 명칭은 이 감고개 아래의 마을이란 뜻에서 생겨나지 않았을까 짐작된다. 1904년 경부선의 개통으로 동평면과 단절되고 대신 서면의 가야리로 되었다. 1903년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 조선의 성씨에 의하면, 달성 서씨가 정착하여 살던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체로 16대(代)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전후에 이주해 온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1959년 개금동을 흡수하였다가, 1963년 다시 가야동과 개금동으로 분동하였다. 1970년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해 가야1,2동으로 분동되었다가, 1979년 가야2동을 다시 가야2,3동으로 분동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연마을로는 가야리, 상리, 중리마을이 있었다.

개금동

개금동(開琴洞)의 조선시대 행정명은 와요리(瓦要里)라 칭하다가 1904년 개금리라 칭한 것으로 보여진다. 가야리와 상대하여 경부철도 건너 북쪽에 있는 마을을 개금동이라 하였다. 이곳 고로들의 말에 의하면, 이 마을의 모양이 꼭 거문고와 길게 늘어져 있는 형상이라 하여 개금이라 했다고 한다. 또 임진왜란 당시 백성들이 토착지를 등지고 하염없이 피난길을 헤매던 어느날 푸른 산림이 우거지고 맑은 냇물이 흐르는 아늑한 계곡이 뻗어 있는 이곳 어디에선가 들려오는 은은한 가야금 소리를 듣고, 바로 이곳이 장차 평화의 뿌리가 뻗어날 삶의 터전이라고 생각되어 전란의 시름을 달래면서 처음으로 마음놓고 거문고로 한 곡조를 타고 이곳에 정착하기로 결심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거문고로 말미암아 이곳에 살게 되었으므로 개금이란 지명이 붙었다고 한다. 이 마을에 오랫동안 거주했던 성씨는 최씨, 배씨, 송씨 등이며, 가장 오래된 경주 최씨도 18∼19대 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생긴 것으로 보여진다. 개금동의 명칭은 1900년 이전의『동래읍지』에는 나타나지 않고,『동래군지(1937)』 에 개금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부터 개금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1959년 가야동에 흡수되었다가, 1963년 가야동에서 분동되었고, 1975년 인구의 증가로 개금1,2동으로 분동되었다가, 1976년 개금1동에서 개금3동이 분동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개금리, 냉정마을, 삼거리마을, 안동네마을이 있었다.

당감동

당감동(堂甘洞)은 금정산의 주맥인 백양산이 병풍처럼 둘러싸인 산록에 위치하여 있으며, 삼국시대의 동평현의 치소(治所)로 현재까지 동평현성이 남아있다. 당감동은『동래부지(1740)』방리조에 보이는 동평면의 당리(堂里)와 감물리(甘勿里)의 두 마을이 있었다. 오늘날 당감동의 고무나무골에 수령이 오래된 고사목(枯死木)이 있었는데, 이 당산나무를 중심으로 동으로 직선을 그어 북쪽은 과거의 당리였고, 남쪽은 감물리였다고 한다. 당리라 한 것은 마을에 오래된 당집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까지도 순조 25년(1825)에 세운 영숙사라는 신당이 남아 있다. 감물리가 변하여 감물이 되었다는 설과 신이라는 뜻의 검물내〔神川神水〕라는 설이 있다. 이로 견주어 볼 때 감물내는 부산천을 의미하는 고음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당감동은 1914년 자연마을인 당리(堂里)와 감물리(甘勿里)를 합쳐서 당감동이라 하였다. 1951년 당감동을 1,2동으로 분동하였고, 1970년 당감1동에서 동평동이 분동되었다. 1979년 당감1동에서 당감3동이 분동되고, 동평동이 당감4동으로 개편되었다. 자연마을로는 감물리, 당리, 마철리, 새미마을, 성안마을이 있었다.

범전동

범전동(凡田洞)은 조선시대 동래부의 서면 범전리였다. 범전이란 명칭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명칭이다. 이곳에 조개무지(패총)의 흔적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주거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범전이라는 명칭은 사직동의 금용산(일명 쇠미산)에서 발원하는 범천(凡川, 虎川)의 가장자리인 평지로서 논이 펼쳐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문헌 기록인『동래부지(1740)』의 이정(里程)조에는 "연지리, 전포리, 범전리 등이 모두 동래읍성에서 같은 방향으로 11리"라고 말하고 있다. 이로 볼 때 세 마을은 인접하여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범전동은 지금의 양성초등학교가 있는 산을 기점으로 하는 산 아래의 중심이 되는 마을을 범전동이라 하고 좌우를 각각 전포동과 연지동으로 불렀던 것이다. 1936년 행정구역이 확장되면서 동래군 서면 범전리에서 부산부 서면에 편입되었다가, 1957년 구제실시로 부산진구 범전동으로 편입된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범천동

범천동(凡川洞)은 오늘날의 자성대를 사이에 두고 흐르는 강을 동천(東川)이라 한다. 옛날에는 이 강을 풍만강(楓滿江)·보만강(寶滿江)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풍만(豊滿)이라는 음이 변하여 생긴 이름이 아닌가 한다. 오늘날 동천을 범천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범천의 물줄기가 원래 자성대의 서쪽으로 흘러 바다에 유입되었는데, 자성대 부근의 부산진매축 때 두 시내를 연결시켰기 때문이다. 동천(東川)이란 부산진성(釜山鎭城)의 지성(支城)인 자성대 쪽에서 볼 때 성의 동편을 흐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범천은 증산(甑山)에 인접한 산들이 산세가 험하고 산림이 울창하여 호랑이가 서식하였는데, 호랑이가 이 계곡에서 자주 출몰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따라서 범천은 한자식으로 호천(虎川)이라고도 표기하였다. 따라서 범천동이라는 동명은 범내〔凡川〕에서 유래되어 범내골을 중심으로 그 인근의 지역을 지칭하는 동명이 되었다. 1957년 구제실시로 동구에 편입되었다가, 1959년 시조례에 의해 동구 범일4동을 부산진구에 편입시키면서 범천1,2,3동으로 개칭하였다. 1966년 범천2동이 범천2,4동으로 분동되었고, 1975년 남구의 신설로 범천3동은 남구에 편입되었다가, 1982년 문현5동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범내골마을, 안창마을이 있다. 안창마을은 동구 범일6동과 겹쳐있다.

부전동

부전동(釜田洞)은 조선시대의 경우 동래부 동평면 부현리 (釜峴里)에 속하였다. 그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부다대현(釜多大峴)이라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지금의 당감동 즉, 감물리에서 지금의 부암로터리 밑인 고대리로 난 고개라는 설이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오늘날의 하마정에서 송상현 동상까지 마비현(馬飛峴)의 별칭이라는 설이다. 이 중에서 부다대현은 부산포에서 다대포로 넘어가기 위해 넘는 고개로 위치상 합당치 못하며, 마비현은 광복 이후까지도 모너머고개 머나머고개로 불리어 왔다. 따라서 부현리의 지명은 감몰리에서 고대리로 넘어가는 고개인 현 당감동 입구인 부암고개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 고개에는 바위가 있었는데, 이 바위가 마치 가마솥 釜 을 거꾸로 엎어놓은 것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 부현 가마고개 이란 지명이 붙여진 것 같다. 이중 부현고개 아래의 범전리·전포리와 인접하는 곳을 부전이라 이름 붙인 것으로 추측된다.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된 것은 1936년 시 구명 정비 때 부전동이란 이름이 쓰여지게 되었고, 1938년 부전동을 부전1,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54년 부전1동에서 부전3동이 분동되었다가, 1959년 부전3동을 부전1동에 통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연마을인 부전리가 있었다.

양정동

양정동(楊亭洞)은『동래부지(1740)』산천조에는 황령산 아래에서 화지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말하고 있다. 양정동은 『동래부지(1740)』에는 양정리(羊亭里) 라 하였다. 양정(羊亭)이란 정자는 고적조나 루정(樓亭)조에 이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정자(亭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지역의 고로들에 의하면, 양정본동 일대에는 수양버들의 실같은 가지가 바람에 하늘거리는 모습이 눈에 많이 띄었다고 하는데, 그래서 이곳을 버들 양(楊)으로 개칭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또 양정은 양지골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 이는 양정동에서 황령산을 바라보면 세갈래 능선이 갈라져 나가고 있는데, 왼쪽은 당산능선, 중간은 평전(平田)능선, 우측은 취병장(吹兵場)능선이 뻗어 내리고 있다. 왼쪽 당산능선 아래쪽에 양지곡 골짜기가 있다. 양지는 음지의 응달에 비하여 양달이라 하여 햇빛이 많이 드는 땅이라는 뜻이다. 우리말의 양달은 양지의 음이 높아 한자의 양(羊)으로 표기되고 지(地)는 정자골(亭子谷)이 정자꼴로 읽히는 것으로 보아 정(亭)으로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곳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1988년 고사하여 해제된 양정의 이 나무는 수령이 약 500년으로 추정되어 정자나무의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양정이 양지골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을 뒷받침 해준다. 1970년 양정1,2동으로 분동하고, 1979년 양정1동을 양정1,3동으로, 양정2동을 양정2,4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양정3동을 양정1동에, 양정4동을 양정2동에 통합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본동마을, 신좌수영마을, 하마정마을이 있었다.

연지동

연지동(蓮池洞)에는 연못이 있었는데 지금의 연지초등학교 자리이다. 이 못은 조선시대에는 신지언(新池堰)이라 불렀다. 1740년에 간행한『동래부지』에 산천조에 보면, "신지언은 동래부의 서쪽 13리에 있는데 길이는 2백 68척 넓이는 2백 24척이라"하여 동래부에서 둘째로 큰 제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연지라는 동리명은 연못골에서 나온 이름으로 이곳 못에 연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조선시대는 이 못을 연지언이라 하지 않고 새못이란 뜻을 가진 신지언이라 하였다. 이는 당시 초읍동에 화지언이란 역사적으로 유래가 오래된 옛 못이 있었는데, 연지동의 못은 그후에 만들어진 새로운 못이라는 뜻에서 신지언이라고 이름 붙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제시기인 1947년 부산출장소 연지동으로 개칭되었다가, 1957년 연지동과 초읍동을 성지동으로 통합하였다. 1963년 인구증가로 성지동을 다시 초읍동과 연지동으로 분동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연마을인 연지리가 있었다.

전포동

전포동(田浦洞)은 서면의 동천이 지금 범일동과 문현동 사이로 흘러 바다로 들고 있다. 그러나 먼 옛날로 올라 갈수록 동천과 바다가 어우러지는 자리는 서면의 북쪽인 육지쪽으로 올라온 자리였다. 말하자면 바다가 지금의 서면의 육지 깊숙이 들어서 있었는데 홍수 때면 서면 주위의 산에서 쏟아지는 물이 토사를 실어내려 바다를 메워 육지를 만들어 갔다. 그렇게 메워진 자리가 갯가가 되고 논밭이 돼 간 것이다. 그 논밭으로는 벼와 보리, 채소들이 재배되었다. 지금은 전포동의 평지는 시가지가 돼 있지만 그때는 갯가의 밭인 밭개였다. 그 밭개가 밭 전(田) 갯 포(浦)의 전포리가 된 것이다. 이 지역의 고로들의 말에 의하면, 옛날에는 전포동(田浦洞)의 노막리 또 농막리까지 조수가 들어 배가 많이 정박하였다고 한다. 1949년 전포1,2동으로 분동되었다가, 1970년 인구 증가로 전포1동은 전포1,3동으로 분동되었고, 1975년 전포2동은 전포2,4동으로 분동하였다. 1998년 전포2, 4동을 전포2동으로 통합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농막마을, 밭개마을, 부산의용촌, 오수골마을이 있었다.​

초읍동

초읍동(草邑洞)은 연지동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금정산의 남북으로 통하는 요충지로 북쪽으로 금용산을 등지고, 남으로는 연지를 지나 부산평야로, 동으로는 화지산이 서쪽으로 달려가는 형상의 작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로는 금용산(쇠미산)의 산맥이 뻗어있어 천연의 성벽을 이루는 분지이다. 이곳의 동의 명칭이 초읍으로 된 여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동평현이 생긴 후 읍의 치소(治所)를 물색하기 위해 명사들이 초읍동에 들러 보았는데, 산의 지세가 좋고 지리가 음양에 맞아 이곳을 우선 읍의 치소(治所)로 선정해 놓고 이보다 더 좋은 곳이 없나하여 현 금정구의 두구동으로 가보니 역시 산세가 좋아 두고 보자한 후 현 동래성에 들렀더니 동으로는 학소대와 남으로는 대조포란형(大鳥 卵形)이 서울 장안의 산세와 같으므로 이곳을 읍치로 정하였다고 한다. 이리하여 먼저 초한 곳이란 뜻에서 초읍이란 명명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이는 호사가들의 입담에 지나지 않고 실제는 새터가 원래의 고을 이름인 것으로 파악된다. 초읍은 초량을 "새뛰"라 부르는 것과 같이 초는 새로 읽히며 읍은 량·탁·벌·성 등의 터로 읽혀 "새터"로 불릴 수 있다. 새터는 새로운 터전, 새로운 자리라는 뜻이다. 즉, 동평현의 치소(治所)가 지금의 당감동 부근이었는데 고려후기 이후 빈번한 왜구들의 침입으로 동평현이 피폐해지자 천연의 요새인 이곳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마을이란 뜻에서 새터 즉 초읍으로 불렀던 것으로 풀이된다. 초읍동은 조선후기 동래부 서면 초읍리에 속하였고, 1914년 동래군으로 편제되었다. 1936년 행정구역 확장으로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42년 연지동과 함께 성지동으로 통합되었다가, 1962년 초읍동과 연지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초읍리가 있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051-888-5058
최근 업데이트
2020-10-19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