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출범
인구, 산업, 교육의 수도권 집중으로 수도권 일극화 심화
수도권 집중도
광역시ㆍ도별 소멸위험지수
자료: 한국고용정보원(2023), 지방소멸위험지수 원시자료.
경제활동 인구
자료: 통계청(2022), 경제활동인구조사.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출범
- 수도권 일극화와 지역위기 타파를 위한 초광역 협력 대응 전략 필요
- 부울경 상호연대와 상생발전 도모
-
전담조직 운영
-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추진단 운영(2023. 3. 29.)
- 부울경 공동협력사업 발굴(협의, 조정)
초광역 사업 추진체계
부울경 정책협의회
기능
부울경의 상시적․포괄적 동맹관계 구축 및 초광역협력 강화를 위한 회의기구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 자문단
기능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관련, 정책 제안 및 주민공감대 형성 지원에 관한 자문


부울경 초광역권 발전계획(2023. 10.)
부울경 초광역권발전계획 비전 및 목표
비전 | 지방시대를 선도하는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육성 |
---|

목표 |
《 정성적 목표 》 - 대한민국 지방시대 선도 - 지방분권 대표 모델 구축 -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진입 |
---|---|
《 정량적 목표 》 - 부울경 경제성장률 : 3% - 광역 출・퇴근 일일 통행시간 : 1시간 - 부울경 시·도민 삶의 만족도 : 7.5점(OECD 선진국 만족도 최고 수준) |

전략/핵심과제 | 전략1 : 주력산업의 고도화 및 첨단 신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 혁신기반 마련 |
---|---|
▪ (주력산업) 산업성장 주도형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 (코어산업) 부울경 산업 동반성장 지원 수소산업 육성 ▪ (에너지동맹) 부울경 에너지 동맹 추진 ▪ (혁신기반) 지역기업의 기술개발 확산 기반 및 통상 지원 기반 구축 |
|
전략2 : 생활권 확장 통행수요에 대응한 광역 인프라 구축 | |
▪ (광역철도망) 1시간 생활권 형성 및 산업지원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 ▪ (광역도로망) 부울경 단일경제권 확대를 위한 광역도로망 ▪ (신공항연결) 가덕도신공항 접근 교통망 구축 ▪ (대중교통망) 1시간 생활권 확보를 위한 광역 대중교통망 ▪ (글로벌거점) 국가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거점 구축 |
|
전략3 : 생활여건 개선을 통한 시·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향상 | |
▪ (문화관광) 부울경 문화・관광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먹 거 리)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부울경 먹거리 확보 ▪ (복지안전) 부울경 시・도민의 보편적 건강권 및 안전권 보장 |
부울경 초광역권 발전계획 구상도
초광역권 발전계획 구상도

전략 1 구상도

전략 2 구상도

전략 3 구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