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지방재정계획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과 수요를 중·장기적으로 전망하여 반영한 다년도 예산으로, 효율적인 재원배분을 통한 계획적인 지방재정 운용을 위해 수립하는 5년간의 계획을 중기지방재정계획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우리시의 중기지방재정계획입니다.
연도별 재정전망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합계 | 연평균 증가율 |
|
---|---|---|---|---|---|---|---|---|
세입 | 14,801,031 | 14,833,992 | 15,347,576 | 15,741,199 | 16,155,890 | 76,879,687 | 2.2 | |
자체수입 | 5,423,290 | 5,414,106 | 5,733,671 | 5,820,751 | 5,892,521 | 28,284,339 | 2.1 | |
이전수입 | 6,079,552 | 6,441,132 | 6,555,613 | 6,864,563 | 7,150,473 | 33,091,333 | 4.1 | |
지방채 | 679,500 | 400,000 | 400,000 | 400,000 | 400,000 | 2,279,500 | -12.4 |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2,618,689 | 2,578,754 | 2,658,291 | 2,655,885 | 2,712,896 | 13,224,515 | 0.9 | |
세출 | 14,801,031 | 14,833,992 | 15,347,576 | 15,741,199 | 16,155,890 | 76,879,687 | 2.2 | |
경상지출 | 3,758,193 | 3,673,941 | 3,701,592 | 3,708,759 | 3,722,120 | 18,564,604 | -0.2 | |
사업수요 | 11,042,839 | 11,160,050 | 11,645,983 | 12,032,440 | 12,433,770 | 58,315,083 | 3.0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공기업, 기타), 기금
- 연평균 증가율 = [(최종연도/기준년도)^(1/(전체연도 수 - 1))-1] × 100
※ 구성 항목별 합계는 소수점 이하 반올림으로 상이할 수 있음.
성인지 예산현황
- 성인지예산은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것으로, 예산을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 일례로 건물에 설치될 화장실 중 여성과 남성의 화장실 수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예산이 편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불평등하다고 할 때 이를 조정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 성인지예산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우리시의 2021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소요예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구 분 | 사 업 수 | 예 산 액 |
---|---|---|
총 계 | 161 | 1,476,092 |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 | 56 | 716,636 |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 67 | 370,961 |
자치단체 별도 추진사업 | 38 | 388,495 |
- 당초예산 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성인지예산서 바로가기
-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이란 ?
- 여성가족부장관이 수립한 양성평등정책기본계획에 따라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 성평등 문화예술 콘텐츠 확산, 여성노동자 역량강화 및 경력개발 지원 등이 해당됩니다.
- 성별영향분석평가란 ?
- 성별영향분석평가란 법령·계획·사업 등 정부의 주요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특성과 사회·경제적 격차 등의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정부정책이 성평등 실현에 기여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 자치단체 별도추진사업이란 ?
-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 및 주력사업으로 성별 수혜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 성불평등 혹은 성격차 개선 가능성이 큰 사업
주민참여예산사업 현황 및 주민의견서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이 예산편성 등 예산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예산편성에 관한 주민의견 수렴, 주민제안사업 구체화 및 우선순위 결정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주민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 제도화 된 절차 또는 인터넷, 팩스, 우편 등을 통한 참여도 가능합니다.
-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산에 반영된 주민참여예산사업은 참여 방식과 참여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주민참여형)과 일반참여예산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
구분 | 주민제안사업 | 일반 참여예산사업 | |
---|---|---|---|
주민주도형 | 주민참여형 | ||
구분기준 |
|
|
|
다음은 부산시의 사업예산과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입니다.
(단위 : 백만원)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 | 주민제안사업 | 일반참여예산사업 | |
---|---|---|---|
주민주도형 | 주민참여형 | ||
7,554.1 | 7,554.1 | - | - |
- 2021년 당초예산 기준
2021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현황(제안사업-예산반영-예산집행-결산-평가)
(단위 : 백만원)
구분 | 부서명 | 사업명 | 예산반영액 | 비고 |
---|---|---|---|---|
총 액 | 7,554.1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공중화장실을 만들어 주세요 | 1,573.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클린에너지산업과 | 고령세대를 위한 가스벨브 안전장치 설치 지원 요청 | 1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청년희망정책과 | 사람이음도서관 운영 | 2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청년희망정책과 | 부산청년 대화의 장 활성화를 위한 '동네친구'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교통문제 | 비예산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가락타운2단지 방음벽 옆(강변대로 일원) 인도 포장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육교페인트작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택시운수과 | 부산택시 | 비예산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환경개선 | 비예산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가로등 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강정책과 | 전업주부 위한 정신겅강 지원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신호등 옆길 정비하기 | 3.2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노인복지과 | 중구 경로당 내 구급상자 비치 | 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불법벽보방지시트 설치 | 3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도로 재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공공장소 우산빗물제거기 설치 확대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 정류장 부스 설치 | 14.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옥외광고물 재해방재단 활동 지원 및 구군 무연고 간판철거 지원 등 | 47.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 화장실 변기시트 클리너 비치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부민 e-편한세상 아파트 옆(좌측) 체육시설 보충의 건 | 2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서구 육교 3개소 정비 | 9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도로 재정비 | 8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동구 초량1, 초량2, 부산진 지하차도 조명교체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노인복지과 | 저소득층 디지털도어락, 방범창 설치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숲속놀이터 조성 | 30.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대응과 | 폭염저감시설 설치 | 24.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증산공원 파고라 교체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동구 씽씽테마로드 가로등 정비(LED 가로등 교체) 및 추가 설치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행복평상 설치 및 교체 요청 | 2.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시재생정책과 | 스카이웨이전망대 보행데크 보수 및 도색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CCTV 설치 건의(일팔경로당 인근) | 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흰여울문화마을 맏머리계단 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인도포장요청(3군데)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도로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CCTV설치(동삼동 321) | 1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CCTV설치(청학동 365-36) | 1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CCTV설치(동삼동 감지길 91번길 8-4) | 1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영도구 영선동 일원 도로재포장 요청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CCTV설치(동삼동 해양로 246번길 18) | 1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부산시 평생학습센터 운영의 효율성 제고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옥외광고물 재해방재단 활동 지원 및 구군 무연고 간판철거 지원 등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CCTV 감시카메라 설치 | 99.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 화장실 변기시트 클리너 비치 | 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도로정비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정류장 그늘막 및 벤치 설치 (중앙여고 측면 마을버스 정류소) | 7.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금종산 쪽에 있는 쇠미산 공중화장실이 낙후되었습니다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쓰레기 무단투기 방지를 위한 CCTV설치 요청 | 6.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공공장소 우산빗물제거기 설치 확대 | 3.2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 정류장 부스 설치 | 7.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관광진흥과 | 해설사 근무부스 설치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문화예술과 | 취약계층을 위한 악기대여사업 | 12.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도심속 낙엽길 조성 | 비예산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공공장소 우산빗물제거기 설치 확대 | 16.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 화장실 변기시트 클리너 비치 | 4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 정류장 부스 설치 | 3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일자리창업과 | 키오스크 설치 | 6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무단횡단 사망사고 구간 차선분리대 설치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걷기좋은부산 추진단 | 한발한발 두근두근 학교 가는길 조성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구포생태공원 공원등 설치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구포무장애숲길 정상 데크로드 개선 사업 | 4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구포동 백양체육공원 내 체육시설 및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 | 4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만덕2동 휴먼시아 아파트 일원 인도 설치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달맞이 고개 해월정 화단조성사업 | 2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 정류장 부스 설치 | 56.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인도 보도블럭 교체 및 정비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동백초등학교 주변도로 화단정비 사업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사하구 강변대로(하구둑교차로~을숙도 대교구간) 산책길 보행안전등 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장림2동 행복복지센터 인근 보안등 정비 | 38.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사하구 신평동 배고개 일원 도보정비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사하구 사하도서관 앞 내리막길 미끄럼 방지 포장 요청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소방본부 | 사하구 장림동 주택가 우리동네 화재지킴이 "보이는 소화기"설치 | 14.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봉화산 등산 환경 개선사업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생활수질개선과 | 보도블럭 내 노후 맨홀뚜껑 정비(금사회동동)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금정로 노후 도로 정비해 주세요 | 7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회동마루(영양교육체험관)앞 노후 외벽공사와 진입로 도로정비공사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땅뫼산 황토숲길 먼지털이기 설치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서명초등학교 옹벽 미관 개선사업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서2동 마을환경 개선(전봇대 광고물 부착방지판 설치)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아이들의 등하굣길 안전지킴이를 설치해 주세요 | 1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우리의 안전을 지켜봐 주세요! | 22.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각 구군 국민체육센터에 바디드라이어 비치 | 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시민방역추진단 | 우리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유모차 살균소독기를 설치해 주세요! | 8.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도로 재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주민소통의 장으로의 새싹공원 재정비 | 5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관 주변 도로 불법주정차 단속 CCTV 설치 | 48.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신촌로 불법주정차단속 CCTV 설치 | 48.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 정류장 부스 설치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도란도란 쉼터 내 운동기구 설치 요청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훼손된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판 정비 | 4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농축산유통과 | 주민을 위한 반려식물 분갈이 사업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공공장소 우산빗물제거기 설치 확대 | 5.6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각 구군 국민체육센터에 바디드라이어 비치 | 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 화장실 변기시트 클리너 비치 | 19.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과정어린이공원 탄성포장재 정비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도서관에 도서소독기 설치 | 3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가로수 돌출뿌리 정비사업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북부산 세무서 일원 도로정비공사 | 3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학장동 공영주차장 일원 도로정비공사 | 7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낙동대로 841번길 26 일원 외 1개소 도로정비공사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 화장실 변기시트 클리너 설치 | 20.7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뚝딱뚝딱, 내집을 부탁해』 주방·주거환경개선단 운영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남포동 위 두유(WITH YOU) 봉사단 운영 | 5.4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우리의 일상이 이웃에게도』영주1 마을 수라간 운영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보수동 주민복덕게시판 디자인개선 사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하늘계단길 조성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나무데크 계단 정비공사 | 10.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시약샘터 우물가 정비, 오순도순 어르신 쉼터 정비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미관저해 옹벽 디자인 가림막 설치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충무동 100년 가로공원 유지관리 사업 | 1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우리 동네 맥가이버 봉사단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찾아가는 초량6동 행복레크리에이션 | 6.2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도란도란 수정마루와 행복마을 만들기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살기좋은 남항마을, 깨끗한 골목환경 만들기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당감2동 안전야간보행사업 | 11.3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연학초등학교 인접 주거지 셉테드 환경개선사업(계단 및 담장 벽화)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양정1동 동정 홍보알림판 제작 설치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옹벽 정비사업 | 2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화명고 인근 대천천 둔치 내 체육시설 설치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반송초등학교 옹벽구간 정비 | 1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고령층을 위한 뇌기능 노화관리 프로그램 | 2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미포 옹벽 미관개선 사업 | 2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강변대로 쉼터 재정비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장림2동 희망키움길 조성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다송공원 정비사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마을 골목길 보행로 정비사업(도막형 바닥재 포장 및 디자인 삽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행락객 상습 쓰레기 무단투기지역 모퉁이 꽃밭 조성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명지근린공원 장미거리 조성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연산4동 새마을문고 설치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참그린길 버스킹 활성화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이 안전한 엄지마을 만들기사업 -방범용 CCTV 설치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이 안전한 엄지마을 만들기사업 -맨홀뚜껑 정비 | 23.4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넝쿨터널 길 조성 사업 | 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구락로 141번길 입구 수영고가교 하부 컨테이너 정비 | 13.0 | 신규사업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굴다리 디자인 개선 사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모라 어울림공원 정비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일광천 사계절 꽃길조성 사업 | 3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좌천 4.9 만세운동지 환경조성 | 2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백길 도로변 게릴라 가든 조성 | 21.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자치학교 활성화사업 | 151.4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마을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 역량강화 | 72.7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해양수도정책과 | 테트라포드 해양쓰레기의 수거 및 에너지 자원화 | 9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클린에너지산업과 | 시민참여형 에너지전환체계 구축 | 4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담배꽁초 없는 깨끗한 부산환경만들기 | 15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사람을 위한 자동차 캠페인 | 17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농축산유통과 | 우리동네 커뮤니티 텃밭정원 조성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낙동강관리본부 |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하구생태 환경교육 개발 | 133.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농축산유통과 | 도시농업, 로컬푸드로 꽃을 피우다 | 35.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여성가족과 | 성평등활동 지원, 성장, 연결을 통한 젠더거버넌스 구축사업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사회통합과 | 자치구 협치기반 조성과 지역협치 의제발굴 시범사업 | 3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사회통합과 | 마을공동체 자원조사에 기반한 생태계 조성사업 | 119.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해양레저관광과 | 신개념 해양레저 퍼포먼스팀 운영 | 100.0 |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보건위생과 | 장기기증 활성화를 통한 다시사는 세상 건강한 부산 | 200.0 | 〃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 를 참조하세요.
성과계획서
-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사업의 효율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업 목표, 성과지표 및 목표수준을 사전에 설정한 연도별 시행계획을 성과계획서라고 합니다.
- 성과계획서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수립 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우리시의 2021년 성과계획서 목표수, 단위사업수, 예산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실국명 | 성과계획 | 예산액 | |||||
---|---|---|---|---|---|---|---|
전략 목표수 | 정책사업목표 | 단위사업수 | 예산액 | 전년도 예산액 | 비교증감 | ||
개수 | 지표수 | ||||||
계 | 29 | 222 | 427 | 515 | 12,506,426 | 11,770,062 | 736,364 |
시의회사무처 | 1 | 1 | 3 | 4 | 16,582 | 17,064 | △482 |
감사위원회 | 1 | 3 | 7 | 7 | 1,187 | 1,064 | 124 |
시민행복소통본부 | 1 | 4 | 4 | 7 | 13,686 | 13,974 | △288 |
기획관 | 1 | 10 | 18 | 23 | 21,530 | 23,078 | △1,548 |
재정관 | 1 | 4 | 9 | 13 | 1,343,339 | 1,366,399 | △23,060 |
시민안전실 | 1 | 6 | 13 | 12 | 147,984 | 162,015 | △14,031 |
도시계획실 | 1 | 8 | 20 | 28 | 557,711 | 595,992 | △38,281 |
도시균형재생국 | 1 | 4 | 6 | 17 | 137,921 | 129,480 | 8,442 |
건축주택국 | 1 | 5 | 11 | 13 | 228,549 | 197,364 | 31,185 |
문화체육국 | 1 | 10 | 25 | 34 | 373,803 | 364,997 | 8,806 |
복지건강국 | 1 | 10 | 21 | 31 | 4,368,844 | 4,003,325 | 365,518 |
여성가족국 | 1 | 11 | 25 | 26 | 986,993 | 971,683 | 15,310 |
행정자치국 | 1 | 16 | 29 | 25 | 968,003 | 995,475 | △27,473 |
교통국 | 1 | 14 | 21 | 29 | 1,248,169 | 1,115,700 | 132,469 |
민생노동정책관 | 1 | 6 | 9 | 14 | 111,234 | 65,912 | 45,322 |
일자리경제실 | 1 | 14 | 22 | 22 | 151,039 | 146,483 | 4,557 |
미래산업국 | 1 | 13 | 27 | 40 | 247,163 | 224,386 | 22,778 |
성장전략국 | 1 | 8 | 13 | 10 | 49,052 | 47,508 | 1,545 |
관광마이스산업국 | 1 | 10 | 20 | 18 | 63,202 | 48,680 | 14,522 |
환경정책실 | 1 | 15 | 24 | 32 | 338,865 | 246,335 | 92,530 |
물정책국 | 1 | 6 | 9 | 9 | 29,355 | 39,260 | △9,905 |
해양수산물류국 | 1 | 16 | 32 | 40 | 302,969 | 295,761 | 7,208 |
신공항추진본부 | 1 | 2 | 3 | 2 | 2,095 | 1,918 | 177 |
소방재난본부 | 1 | 20 | 42 | 36 | 724,019 | 624,287 | 99,733 |
인재개발원 | 1 | 1 | 2 | 3 | 10,607 | 9,547 | 1,060 |
보건환경연구원 | 1 | 1 | 3 | 6 | 19,473 | 18,522 | 951 |
농업기술센터 | 1 | 1 | 3 | 4 | 13,316 | 13,873 | △557 |
건설본부 | 1 | 1 | 2 | 2 | 11,301 | 12,483 | △1,182 |
낙동강관리본부 | 1 | 2 | 5 | 8 | 18,434 | 17,498 | 936 |
- 당초예산, 일반+기타특별회계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성과계획서 바로가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재정운용상황개요서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운용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요 재정지표 및 분석자료를 정리한 자료를 재정운용상황개요서라고 합니다.
- 재정운용상황개요서는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 비율, 자체사업 및 보조사업의 비율, 인건비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
재정자립도 | 재정자주도 |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
자체사업비율 | 보조사업 비율 |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 |
---|---|---|---|---|---|
41.43 | 52.58 | 43.02 | 34.21 | 46.47 | 7.42 |
- 당초예산, 일반회계 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재정운용상황개요서 바로가기
국외여비 편성현황
2021년도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총계(A) | 국외여비 총액(B=C+D) | 국외업무여비(C) | 국제화여비(D) | 비율(B/A) |
---|---|---|---|---|
13,301,004 | 1,717 | 779 | 938 | 0.01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 (202-03 국외업무여비, 202-04 국제화여비)
※국외출장에 대하여 기재(지방의회 국외여비 제외)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연도별 |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세출예산총계(A) | 10,091,139 | 10,792,663 | 11,666,119 | 12,590,658 | 13,301,004 |
국외여비 총액(B=C+D) | 3,162 | 3,199 | 3,174 | 3,420 | 1,717 |
국외업무여비(C) | 1,309 | 1,350 | 1,351 | 1,375 | 779 |
국제화여비(D) | 1,853 | 1,849 | 1,823 | 2,045 | 938 |
비율 | 0.03 | 0.03 | 0.03 | 0.03 | 0.01 |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다음은 우리 부산시가 2021년 한 해 동안 시에서 주관하여 개최하고자 하는 행사와 축제의 운영비, 실비보상금 등을 편성한 내역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액(A) | 행사·축제경비(B) | 비율(B/A) | 비 고 |
---|---|---|---|
10,341,851 | 14,259 | 0.14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2021년 예산편성 내역 중 통계목별 총 금액의 합계 기재
- 대상과목 : 행사운영비 (201-03), 행사실비보상금 (301-09), 민간행사사업보조(307-04), 행사관련시설비 (401-04)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연도별 |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세출예산액 | 7,746,803 | 8,373,620 | 8,825,587 | 9,708,815 | 10,341,851 |
행사·축제경비 | 21,606 | 19,408 | 19,661 | 18,245 | 14,259 |
비율 | 0.28 | 0.23 | 0.22 | 0.19 | 0.14 |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 업무추진비는 업무추진비란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기관을 운영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등 공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우리 부산시의 2021년 업무추진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총액한도액(A) |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 |||
---|---|---|---|---|---|
소계 | 단체장 | 부단체장 |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 ||
1,590 | 670 | 125 | 175 | 371 | 0.42 |
※ 2021회계연도부터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예산금액이 추가되었습니다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388 | 388 | 428 | 428 | 670 |
※ 2021년도는 실국장 및 읍면동장 등 기타 포함된 금액

-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1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http://lofin.mois.go.kr)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시책업무추진비 기준액(A) | 시책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 기준액 대비 편성액비율(B/A) |
---|---|---|
2,366 | 1,277 | 0.54 |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2,137 | 2,146 | 2,276 | 2,321 | 1,27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