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지방재정계획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과 수요를 중・장기적으로 전망하여 반영한 다년도 예산으로, 효율적인 재원배분을 통한 계획적인 지방재정 운용을 위해 수립하는 5년간의 계획을 중기지방재정계획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우리시의 중기지방재정계획입니다.
연도별 재정전망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합계 | 연평균 증가율 |
|
---|---|---|---|---|---|---|---|---|
세입 | 13,973,602 | 14,232,380 | 14,599,226 | 15,271,010 | 15,550,102 | 73,626,320 | 2.7 | |
자체수입 | 5,487,756 | 5,319,556 | 5,417,576 | 5,848,154 | 5,989,885 | 28,062,927 | 2.2 | |
이전수입 | 5,486,734 | 5,956,160 | 6,110,897 | 6,249,303 | 6,382,118 | 30,185,213 | 3.9 | |
지방채 | 592,400 | 500,000 | 500,000 | 500,000 | 500,000 | 2,592,400 | -4.2 |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2,406,712 | 2,456,664 | 2,570,753 | 2,673,553 | 2,678,099 | 12,785,780 | 2.7 | |
세출 | 13,973,602 | 14,232,380 | 14,599,226 | 15,271,010 | 15,550,102 | 73,626,320 | 2.7 | |
경상지출 | 3,560,301 | 3,615,330 | 3,772,925 | 3,913,468 | 3,942,488 | 18,804,513 | 2.6 | |
사업수요 | 10,413,301 | 10,617,050 | 10,826,301 | 11,357,542 | 11,607,614 | 54,821,807 | 2.8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공기업, 기타), 기금
- 연평균 증가율 = [(최종연도/기준년도)^(1/(전체연도 수 - 1))-1] × 100
※ 구성 항목별 합계는 소수점 이하 반올림으로 상이할 수 있음.
성인지 예산현황
- 성인지예산은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것으로, 예산을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 일례로 건물에 설치될 화장실 중 여성과 남성의 화장실 수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예산이 편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불평등하다고 할 때 이를 조정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 성인지예산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우리시의 2020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소요예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구 분 | 사 업 수 | 예 산 액 |
---|---|---|
총 계 | 137 | 1,186,693 |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 | 48 | 702,923 |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 62 | 159,477 |
자치단체 별도 추진사업 | 27 | 324,293 |
- 당초예산 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성인지예산서 바로가기
- 양성평등정책추진사업이란 ?
- 여성가족부장관이 수립한 양성평등정책기본계획에 따라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 성평등 문화예술 콘텐츠 확산, 여성노동자 역량강화 및 경력개발 지원 등이 해당됩니다.
- 성별영향분석평가란 ?
- 성별영향분석평가란 법령·계획·사업 등 정부의 주요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특성과 사회·경제적 격차 등의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정부정책이 성평등 실현에 기여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 자치단체 별도추진사업이란 ?
-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 및 주력사업으로 성별 수혜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 성불평등 혹은 성격차 개선 가능성이 큰 사업
주민참여예산사업 현황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이 예산편성 등 예산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예산편성에 관한 주민의견 수렴, 주민제안사업 구체화 및 우선순위 결정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주민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 제도화 된 절차 또는 인터넷, 팩스, 우편 등을 통한 참여도 가능합니다.
-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산에 반영된 주민참여예산사업은 참여 방식과 참여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민제안사업(주민주도형‧주민참여형)과 일반참여예산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주민참여예산사업 구분기준
구분 | 주민제안사업 | 일반 참여예산사업 | |
---|---|---|---|
주민주도형 | 주민참여형 | ||
구분기준 |
|
|
|
다음은 부산시의 사업예산과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입니다.
(단위 : 백만원)
주민참여예산사업 규모 | 주민제안사업 | 일반참여예산사업 | |
---|---|---|---|
주민주도형 | 주민참여형 | ||
16,418.2 | 16,418.2 | - | - |
- 2020년 당초예산 기준
2020년 주민참여예산 세부내역
(단위 : 백만원)
구분 | 부서명 | 사업명 | 예산반영액 | 비고 |
---|---|---|---|---|
총 액 | 16,418.2 | |||
시정참여형 소계 | 13,090.7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지역서점 희망도서 바로대출 전산화 사업 | 1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사회통합과 | 주민제안 시행사업 표지판(석) 설치 | 3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교육협력과 | 문학 자판기 설치 | 72.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소상공인지원담당관 | 부산에서 사용 가능한 상품권 개발 | 11,6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농축산유통과 | 배변봉투 자판기 설치 (101번 통합) |
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농축산유통과 | 소소한 행복 찾아가는 텃발365 [씨앗부터팜파티(프리마켓)까지] |
6.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일자리창업과 | 창업동아리 설치 | 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대학협력단 | 대학생 대상 기술학습 프로그램 지원 | 1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청년희망정책과 | 부산광역시 청년대상 강연 사업 | 3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청년희망정책과 | 청년 주민반상회 | 16.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출산보육과 | 쏘서 장난감 수량 확대 | 2.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낙동강관리본부 | 낙동강 하구 생태공원을 활용한 노숙인 희망 싹튀우기 및 다문화인 생태체험 시범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낙동강관리본부 | 화명생태공원 잔디구장 본부석 환경정비 사업 | 3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관광진흥과 | 용두산 공원 진입로 확장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관광진흥과 | 용두산 공원 에스컬레이터 입구 안내표지판 설치 | 1.2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횡단보도 앞 의자 설치 | 12.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안락뜨란채 2단지 사거리 교통체계 개선 | 2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설안전시험사업소 | 관문대로 백양요금소 부근 포장 보수 공사 | 2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시재생정책과 | 부산을 그리다(부산그림여행, 드로잉북 만들기) | 7.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로 조성 | 2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도로변 옹벽 도장 사업 | 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노후 옹벽 디자인 개선 | 18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설안전시험사업소 | 서대신 골목시장 보도블럭 공사 | 10 | |
지역참여형 소계 | 2,225.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대응과 | 쿨링포그 시스템 설치(660통합) | 8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정류장 발열벤치 설치(642통합) | 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서대신1동 안심골목길 조성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통학로 육교 보행환경 개선 사업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교통 안전 시설 설치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화장실 문화(청결, 악취, 미관 등)개선 사업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자전거 도로 및 공원에 에어 컴프레셔(자동 공기 주입기) 설치 | 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걷고 싶은 동네한바퀴 조성 사업(조방 골목길 환경정비)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범일1동 호천마을 축제 | 3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공중화장실 가방걸이 높이 변경 | 0.7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동구 수정산 야외결혼식장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이바구길 무단쓰레기 투기지역 환경정비 | 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동구 좌천 아파트 입구 옹벽 꽃길 조성 | 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경로 운동시설 바닥 포장 공사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생활수질개선과 | 배수구 개선 사업 | 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장애인복지과 | 여성 및 장애인 안심 무인 택배 보관함 설치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버스정류장 환경 개선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시재생정핵과 | 신선행복센터 내 요가교실 및 치매예방 교실 운영 | 14.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양정1동 거양교회~거제4동 유림아시아드 일원 보도 정비 | 1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체육진흥과 | 소규모 체육공원 설치 | 2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교통 안전 시설 설치 | 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버스운영과 | 마을버스정류장 착한 그늘막 & 쉼터의자 만들기 | 14.6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불법쓰레기 방지 cctv설치 | 6.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쓰레기 무단투기 감시카메라 설치 | 6.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쓰레기 무단투기 감시카메라 설치 | 6.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석사로(사직가구거리)부근 보도블럭 정비 | 20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시재생정책과 | 골목정원 활성화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다목적 감시카메라 설치 | 1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원운영과 | 오륙도 경관개선 사업 (이기대 자연마당 등) | 1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도시 너의 이름을 불러주마(구 명칭 변경) | 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가람낙조길 노후 데크 정비 | 4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산림생태과 | 등산로 안전관리 강화 | 7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범죄 취약지역 셉테드 아트 옹벽 조성사업 | 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우동 경동아파트 일원 노후 가로등 LED교체 공사 | 3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우동 해리단길 조명등 정비 공사 | 51.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가로등 설치 | 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맑은물정책과 | 다대포 동측지구 공중화장실 설치 | 9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생활수질개선과 | 맨홀뚜껑 논슬립처리 및 신규 맨홀뚜껑 논슬립 제작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보도블럭 정비 | 4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낙동제방 일원 조명등 설치 | 288.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재난현장관리과 | 방범용 카메라 설치 사업(97통합) | 22.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생활수질개선과 | 맨홀뚜껑 논슬립처리 및 신규 맨홀뚜껑 논슬립 제작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관광진흥과 | 수영강 벚꽃축제 및 망미단길 활성화-홍보 | 28.3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도로계획과 | 백양터널 우회도로 가로등 LED등 설치 | 25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생활수질개선과 | 맨홀뚜껑 논슬립처리 및 신규 맨홀뚜껑 논슬립 제작 | 20.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공공교통정책과 | 자전거 도로 및 공원에 에어 컴프레셔(자동 공기 주입기) 설치 | 4.4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하천관리과 | 삼락천 농심 보도교 정비사업 | 25.0 | |
주민자치회형 소계 | 881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행복동광 마을 수리수리 마수리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영주2동 마을 사랑방 조성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초장동 주민센터 앞 골목길 환경개선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천마산 에코하우스 산책로 조명 설치 사업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부산의 공기 맛집, 꽃마을 가는 길 노후외벽 벽화사업 | 2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마음을 채워주는 든든 밥상 나누기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범일애 집수리 봉사단 운영 | 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행복평상 만들기 | 3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내 이웃은 내가!! 집반찬나눔」 사업 | 7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초량168 고독사 지킴이 요구르트 봉사단 운영 | 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동구 갤러리 담벽 조성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주도형 문화관광 조방거리 조성 | 1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초량6동 행복나눔 텃밭 조성 | 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이 함께 만드는 지역명소 활성화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봉산마을 주거환경 개선 사업 | 7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지역과 조화되는 아름다운 벽화거리 조성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당감 관문지점 환경 개선 | 22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과 함께하는 야구 여행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로 조성을 위한 희망 벽화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행복축제마당 만들기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찾아가는 힐링 레크리에이션 | 8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레고마을 테마거리 바닥 정비 | 5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웃음 힐링 콘서트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무단투기 방지 고보라이트 설치 및 나무파쇄기 구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벽화와 함께 걷는 아름다운 등굣길 조성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감천 본동 빨래터 복원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서동초등학교 옹벽 미관 개선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하수관로 정비 사업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우리 마을을 아름답게 「대저자율청소단」 구성 운영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함께 만들어요! 걷고 싶은 깨끗한 거리 | 21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일회용품 사용 zero! 깨끗한 녹산 만들기 | 1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무단횡단 방지용 안전펜스 신설 | 7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연으로 다시 피어나는 해맞이 마을 골목 축제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주민소통 활성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마을 스마트폰 앱’ 개발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남치이행복 마을 걷고 싶은 벽화거리 사업 | 12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잡종지(구유지) 주민휴식쉼터 설치 공사 | 30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도로정비 및 철제맨홀 인상 (새벽시장로 57 ∼ 새벽로 149) | 66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책 읽어주는 음악회 | 15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임산부를 위한 힐링테라피 | 3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치분권과 | 철마천 갈맷길 구간 사계절 아름다운 꽃길조성 사업 | 30 | |
2019년 장기검토 사업 소계 | 221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자원순환과 | 소규모 공동주택 재활용품 분리수거대 설치 지원 | 21 | |
주민주도형 주민제안사업 | 건축정책과 | 서대신동3가 구덕터널 진출입로 그래픽타일 활용 경관 개선 | 200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 를 참조하세요.
성과계획서
-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사업의 효율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업 목표, 성과지표 및 목표수준을 사전에 설정한 연도별 시행계획을 성과계획서라고 합니다.
- 성과계획서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수립 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에서는 우리시의 2020년 성과계획서 목표수, 단위사업수, 예산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개, 백만원)
실국명 | 성과계획 | 예산액 | |||||
---|---|---|---|---|---|---|---|
전략 목표수 | 정책사업목표 | 단위사업수 | 예산액 | 전년도 예산액 | 비교증감 | ||
개수 | 지표수 | ||||||
계 | 29 | 218 | 431 | 511 | 11,770,062 | 10,911,250 | 858,812 |
시의회사무처 | 1 | 1 | 3 | 4 | 17,064 | 15,674 | 1,389 |
감사위원회 | 1 | 2 | 5 | 6 | 1,064 | 779 | 285 |
시민행복소통본부 | 1 | 4 | 4 | 7 | 13,745 | 13,531 | 214 |
기획관 | 1 | 11 | 21 | 28 | 146,068 | 153,932 | △7,864 |
재정관 | 1 | 4 | 9 | 13 | 1,366,399 | 1,330,418 | 35,981 |
시민안전실 | 1 | 6 | 14 | 12 | 162,015 | 154,542 | 7,473 |
도시계획실 | 1 | 8 | 20 | 28 | 595,992 | 512,736 | 83,256 |
도시균형재생국 | 1 | 4 | 9 | 17 | 129,473 | 105,074 | 24,399 |
건축주택국 | 1 | 5 | 11 | 12 | 197,364 | 210,045 | △12,681 |
문화체육국 | 1 | 10 | 25 | 34 | 364,997 | 324,515 | 40,482 |
복지건강국 | 1 | 8 | 20 | 30 | 4,003,112 | 3,612,324 | 390,788 |
여성가족국 | 1 | 12 | 26 | 27 | 971,897 | 950,227 | 21,670 |
행정자치국 | 1 | 14 | 23 | 18 | 872,713 | 852,274 | 20,440 |
교통국 | 1 | 14 | 21 | 29 | 1,115,700 | 1,051,040 | 64,660 |
민생노동정책관 | 1 | 6 | 9 | 12 | 65,912 | 45,401 | 20,511 |
일자리경제실 | 1 | 14 | 21 | 23 | 147,683 | 144,392 | 3,291 |
미래산업국 | 1 | 12 | 27 | 39 | 223,186 | 177,837 | 45,348 |
성장전략국 | 1 | 8 | 14 | 11 | 47,508 | 35,671 | 11,837 |
관광마이스산업국 | 1 | 11 | 20 | 19 | 48,680 | 42,265 | 6,415 |
환경정책실 | 1 | 14 | 23 | 33 | 246,335 | 212,389 | 33,946 |
물정책국 | 1 | 6 | 10 | 9 | 39,260 | 44,527 | △5,266 |
해양수산물류국 | 1 | 16 | 35 | 40 | 295,768 | 266,190 | 29,578 |
신공항추진본부 | 1 | 2 | 3 | 2 | 1,918 | 1,946 | △28 |
소방재난본부 | 1 | 20 | 42 | 36 | 624,287 | 587,473 | 36,814 |
인재개발원 | 1 | 1 | 3 | 3 | 9,547 | 8,918 | 629 |
보건환경연구원 | 1 | 1 | 3 | 6 | 18,522 | 17,258 | 1,264 |
농업기술센터 | 1 | 1 | 3 | 4 | 13,873 | 11,070 | 2,803 |
건설본부 | 1 | 1 | 2 | 2 | 12,483 | 12,240 | 244 |
낙동강관리본부 | 1 | 2 | 5 | 7 | 17,498 | 16,562 | 936 |
- 당초예산, 일반+기타특별회계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성과계획서 바로가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재정운용상황개요서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운용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요 재정지표 및 분석자료를 정리한 자료를 재정운용상황개요서라고 합니다.
- 재정운용상황개요서는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사회복지분야 예산 비율, 자체사업 및 보조사업의 비율, 인건비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위 : %)
재정자립도 | 재정자주도 | 사회복지분야 예산비율 |
자체사업비율 | 보조사업 비율 | 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총액 중 인건비의 비율 |
---|---|---|---|---|---|
45.27 | 56.55 | 42.71 | 35.75 | 45.41 | 7.19 |
* ‘20년도부터 ’14년 세입과목 개편 후 기준 공시
(세입개편 전 기준 : 재정자립도 49.18% , 재정자주도 60.46% )
- 당초예산, 일반회계 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세요.바로가기
국외여비 편성현황
2020년도 국외출장 및 국외여비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총계(A) | 국외여비 총액(B=C+D) | 국외업무여비(C) | 국제화여비(D) | 비율(B/A) |
---|---|---|---|---|
12,590,658 | 3,420 | 1,375 | 2,045 | 0.03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특별회계 (202-03 국외업무여비, 202-04 국제화여비)
※국외출장에 대하여 기재(지방의회 국외여비 제외)
국외여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연도별 | ||||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세출예산총계(A) | 10,127,528 | 10,091,139 | 10,792,663 | 11,666,119 | 12,590,658 |
국외여비 총액(B=C+D) | 2,972 | 3,162 | 3,199 | 3,174 | 3,420 |
국외업무여비(C) | 1,501 | 1,309 | 1,350 | 1,351 | 1,375 |
국제화여비(D) | 1,471 | 1,853 | 1,849 | 1,823 | 2,045 |
비율 | 0.03 | 0.03 | 0.03 | 0.03 | 0.03 |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다음은 우리 우리시가 2020년 한 해 동안 시에서 주관하여 개최하고자 하는 행사와 축제의 운영비, 실비보상금 등을 편성한 내역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세출예산액(A) | 행사・축제경비(B) | 비율(B/A) | 비 고 |
---|---|---|---|
9,708,815 | 18,245 | 0.19 |
- 대상회계 : 일반회계, 2020년 예산편성 내역 중 통계목별 총 금액의 합계 기재
- 대상과목 : 행사운영비(201-03), 행사실비보상금(301-09), 민간행사사업보조(307-04), 행사관련시설비(401-04)
행사·축제경비 연도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연도별 | ||||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세출예산액 | 7,591,397 | 7,746,803 | 8,373,620 | 8,825,587 | 9,708,815 |
행사・축제경비 | 19,237 | 21,606 | 19,408 | 19,661 | 18,245 |
비율 | 0.25 | 0.28 | 0.23 | 0.22 | 0.19 |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 업무추진비는 업무추진비란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기관을 운영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등 공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우리 부산시의 2020년 업무추진비 편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총액한도액(A) | 기관운영 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 총액한도액 대비 편성액 비율(B/A) | ||
---|---|---|---|---|
소계 | 단체장 예산편성액 | 부단체장 예산편성액 | ||
1,473 | 427 | 178 | 249 | 0.29 |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428 | 388 | 388 | 428 | 428 |

- 총액한도액 산출기준은 ‘2020년도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행정안전부)’을 참조하세요 (http://lofin.mois.go.kr)
시책추진업무추진비
(단위 : 백만원)
시책업무추진비 기준액(A) | 시책업무추진비 예산편성액(B) | 기준액 대비 편성액비율(B/A) |
---|---|---|
2,361 | 2,321 | 0.98 |
시책업무추진비 연도별 편성현황
(단위 : 백만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2,295 | 2,137 | 2,146 | 2,276 | 2,3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