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구정책 브리핑


(2025년 3월)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브리핑

부서명
인구정책담당관
전화번호
051-888-1111
작성자
배가람
작성일
2025-03-25
조회수
816
첨부파일
내용

□ 2025년 3월 부산 인구정책 브리핑
 ○ 인구 : 3,262,337명(1,554명 감소)
 ○ 학령인구 : 412,819명(12.6%)
 ○ 청년인구 : 792,897명(24.3%)
 ○ 고령인구 : 786,978명(24%)
 ○ 전입‧전출 : -1,378명(186명 증가)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5.2월)청년이 머물며 꿈을 이루어가는 도시
2025년 청년G대 추진계획2025년 청년G대 주요내용
청년이 머물며 꿈을 이루어가는 도시 조성
1. (목표) 미스매치 ZERO → (추진전략) 청년일자리, 시작부터 성공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2. (목표) 정책 체감도 UP → (추진전략) 청년의 생활, 청년이 만족할 때까지 개선하겠습니다.
3. (목표) 청년참여 PLUS → (추진전략) 청년의 권리, 청년이 공감하고 참여하는 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청년G대 전략별 추진과제
3대 전략 5개분야 25개 중점과제(신규12, 확대10)→총 95개 사업 4,146억원
1. 미스매치ZERO
 GOOD JOB 일자리(539억)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취업지원체계 구축
❶ 취업성공 패키지 지원 
신규
     ❷ 청년 잡성장 프로젝트
확대
 ❸ 글로벌잡챌린지 프로젝트 
신규

 ❹ 청년이끌리는기업 발굴·매칭
확대
 ❺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확대
     ❻ 글로벌 창업허브 조성
신규


2. 정책 체감도 UP 
 GOOD LIFE 주거(733억)
주거비 부담 완화 및 주거 안정성 강화
❶ 1+평생 무한주택 공급 지원
신규
  ➋ 청년 주택공급 지원
확대
 ❸ 자립청년 주거부담 제로 사업
신규
 ❹ 청년 이사비 지원  
신규


 GOOD GROW 교육(2,387억)
지산학 협력으로 청년 성장 발판 마련
❶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 구축
신규
 ➋ 워털루형 코업 프로그램
계속
    ❸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계속


 GOOD PLAY 복지문화(465억)
청년 문화 콘텐츠 활성화 및 자산형성 지원
❶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
확대
  ❷ 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 
확대
 ❸ 청년 마음이음사업
확대
  ❹ 청년문화센터(북구/산업단지) 건립
신규
 ❺ 청년문화축제 개최 
계속
  ❻ 청년고독사 고위험군 지원  
신규


3. 청년 참여 PLUS
 GOOD VOICE 참여권리(30억)
청년의 자긍심 고취 및 실질적 참여 확대
❶ 청년 생활인구 유입 활성화
신규
   ❷ 청년공간 스위치ON 
신규
 ❸ 청년 멘토단 운영 
확대
   ❹ 청년참여 위원회 확대
확대
 ❺ 청년 커뮤니티 활동 지원
확대
   ❻ 청년 봉사단 운영    
신규1. 일자리 사업 강화를 통한 미스매치 ZERO
청년 GOOD JOB 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취업지원 체계 구축
1.청년 일자리 원스톱 시스템 강화 : ‘인재발굴-역량강화-매칭-고용유지’등 체계적 구직관리
 - 잡성장프로젝트 확대 : 31억→35억, 역량강화 6,000명, 매칭 600명 
확대


 - 잡성장카페 확대 운영 : 2개소→3개소(서부산권 추가), 구·군 청년 잡카페 연계(4개소)
확대


2.기업에 대한 인식 전환 : 우수기업 발굴 등 지역기업과 청년의 접점 확대
 - 청끌기업 시즌2 
확대

   • 100개사→110개사 확대
   • 고용우수기업 지원 3개사→5개사

3.매칭·고용유지 : 구체적 상담을 통한 실제적인 매칭 및 직장 정착 지원
 - 구직관리 책임제 : 단순 정보제공→1:1 맞춤형 상담, 매니저 증원 13명→20명
확대

 - 청년도약지원금 : 구직 매칭 성공한 1년 이상 근속 청년 대상, 1인당 100만원 지원
신규

  •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연계 추진(1년간 고용유지시 기업에게 720만원 상당 인건비 지원)

4.일자리 거버넌스 확대 : 대학일자리 플러스 센터와의 연계성 확장, 유관기관 협의 확대
 - 청년일자리 원스톱 지원 협의체 최초 구성·운영 : 시⇔고용노동청⇔대학⇔경제단체2.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체감도 UP

□ 청년 Good Life▹주거비 부담 완화 및 주거 안정성 강화

○주거분야 
 - 평생함께 청년모두가(家) 주거비 지원사업  : 공공임대주택 입주 청년 및 신혼부부 대상 월 임대료 지원
신규

 - 청년 이사비 지원 : 이사에 실제 소요된 비용 지원, 생애 1회 40만원
신규


 - 주거지원 패키지 개선(월세 지원,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료)
     •  월세 지원(지원금액 2배 확대, 240만원 → 480만원),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전국 최저금리)
     •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료 지원(대상자 2배 확대, 1,000명 → 2,000명)


□ 청년 Good Grow ▹지산학 협력으로 청년 성장 발판 마련
○교육분야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본격 운영(‘25. 전면시행)
신규

 - 글로컬 대학 육성 지원 : (’23.) 1개 → (‘24.) 2개 → (’25.) 3개 대학(누계)
 - 워털루형 코업프로그램 : 전공 내 우수한 3~4학년 학생 선발, 이론(대학)-실습(기업)학기를 반복하여 현장중심 실무능력 인재 양성과 취업으로 연계
 -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 고급 ICT 인력 양성 및 취업연계하여 미스매치 해소, 청년유출 방지


□ 청년 Good Play ▹청년 문화 콘텐츠 활성화 및 자산형성 지원
○복지문화
 - 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 청년 자산 형성 지원사업 대상자 확대 4천명→6천명 
확대

 - 청년 마음이음: 청년 정서 회복을 통한 사회적응 및 재출발 지원 700명→1,000명 
확대

 -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 : 청년이 1만원 결제하면 최대 11만원 문화관람권 지원
확대

     • 대상자 확대(5천명 → 8천명), 지급방식 다양화(기존 10만원권 + 5만원권 추가)
     •  공연 다양화(기존공연+지역축제), 지역상생(소규모 공연+패키지권)3. 정책 참여 확대로 청년참여 PLUS
□ 청년 Good Voice ▹청년 자긍심 고취 및 실질적 참여 확대

○청년참여 강화 :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청년참여 위원회 확대 : 청년위원 10% 이상 위촉(청년정책을 다루는 위원회는 30% 이상 위촉)
확대


○청년공간 개편 :  ‘정책⇔공간⇔청년’을 연결, 청년공간을 정책 홍보 채널로 활용
 - 청년공간 스위치 ON : 청년센터의 컨트롤타워 기능 부여, 청년공간⇔커뮤니티 매칭 등
신규


○전달체계 개선 : 필요한 정책을 청년에게 ‘직접 먼저’ 전달하여 접근성 강화
 - 정책구독 서비스 : 카카오톡 활용 ▹청년정책네트워크 등 거버넌스 대상(시범운영)

○생활인구 유입 : 타지역 청년의 방문·체류를 정주로 정착, 청년인구 확장 도모
 - 생활인구 청년증 : 부산 방문 청년에게 주요시설 할인 제공(시범운영)
신규부산을 사랑합니다

인구정책 아이디어 상시 접수!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담당관 인구정책팀 T.051-888-1111
E. bgl713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