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구정책 브리핑


(2025년 1월)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브리핑

부서명
인구정책담당관
전화번호
051-888-1111
작성자
배가람
작성일
2025-01-31
조회수
945
첨부파일
내용

□ 2025년 1월 부산 인구정책 브리핑
 ○ 인구 : 3,266,598명(2,395명 감소)
 ○ 학령인구 : 413,017명(12.6%)
 ○ 청년인구 : 796,889명(24.4%)
 ○ 고령인구 : 780,576명(23.9%)
 ○ 전입‧전출 : -809명(579명 감소)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4.12월)2025년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다문화가족과 함께 성장하는 조화로운 사회부산 다문화가족 현황
ㅇ 다문화가족 구성원 현황 : 28,135명(결혼이민자 14,640명, 자녀 13,495명) 
   ※ 전국 722,980명(결혼이민자 414,578 / 자녀 308,402)의 3.9%

□ 다문화가족 구성원 현황
- 결혼이민자(국적취득) : 7,335
- 결혼이민자(국적미취득) : 7,305
- 다문화가족 자녀(귀화, 외국국적 포함) : 13,495
□ 구군별
사하구 3,370 사상구 3,033 해운대구 2,893 부산진구 2,542 북구 2,283 
남구 1,888 기장군 1,773 금정구 1,527 강서구 1,468 동래구 1,410 
수영구 1,330 연제구 1,207 영도구 1,085 동구 1,027 서구 906 중구 393

□ 연도별 증가추이
2017년 22,518명 2018년 23,392명 2019년 25,127명 2020년 26,050명 2021년 26,808명 2022년 27,389명 2023년 28,135명

□ 출신국가별
베트남 4,591명, 중국 2,698명 중국(한국계) 2,184명 필리핀 944명 일본 708명
대만 478명 미국 443명 캄보디아 354명 러시아 354명 태국 318명 
우즈베키스탄 296명 기타 1,472명[2025년도 다문화가족정책 비전 및 추진과제] 
□ 비전 : 다문화가족과 함께 성장하는 조화로운 사회
□ 목표 :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동등한 출발선 보장 및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생활환경 조성
□ 주요과제 :4개 분야 13개 중과제 30개 세과제
 ㅇ 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① 영유아 자녀양육 지원
  ② 학령기 다문화 아동 학습역량 제고
  ③ 다문화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④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정서안정 기반 조성
 ㅇ 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① 건전한 국제결혼 환경 조성
 ② 다문화가족 가구상황별 맞춤형 지원
 ③ 결혼이민자 경제활동 참여 확대
 ④ 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ㅇ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① 다문화 이해교육 확대 
 ② 다양성 존중 인식 확산
 ③ 다문화가족 사회참여 활성화

 ㅇ 다문화가족정책 추진기반 강화
 ① 다문화가족 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② 다문화가족정책 협력체계 강화[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ㅇ 영유아 자녀양육 지원
   - 부모 교육 및 돌봄친화적 환경 조성 : 방문교육지도사를 통한 한국어교육·부모교육·자녀생활지도교육
   - 건강한 성장 및 발달을 위한 서비스 지원 : 언어발달 교육
   - 다문화 육아나눔터 운영

 ㅇ 학령기 다문화 자녀 학습역량 제고
   -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 교육활동비 지원

 ㅇ 다문화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 다문화가족 이중언어 활용 활성화 : 다문화가족 부모, 자녀 공동활동 프로그램 운영
 
 ㅇ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정서안정 기반 조성
   - 가족센터 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성장지원 : 진로설계 지원
   -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 지원체계 운영 : 위기 다문화 청소년에 맞춤형 서비스 지원
   - 학교폭력 예방 및 피해 다문화 청소년 지원: 학교폭력 관련 갈등조정, 대상별 맞춤형교육 등[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ㅇ 건전한 국제결혼 환경 조성
   - 국제결혼 중개업체 관리·감독 강화

 ㅇ 다문화가족 가구 상황별 맞춤형 지원
   - 결혼이민자 등 통·번역 및 한국어 교육 지원
   - 다문화 한부모가족 지원 내실화 ▹양육비 지원 단계적 확대 및 가족상담, 사례관리 등 프로그램 운영
   - 다문화행복플러스 플랜 운영 : 다문화가족 홈페이지 운영(8개 언어)
   - 생활안전 교육 실시 및 다국어 지원
   - 다문화가족 종합건강검진 지원(취약계층 다문화가정 100명, 1인 50만원 상당)
   - 결혼이민자 소확행 생활편의 제공 : 국제특송요금(EMS) 할인 및 외환 송금수수료 할인

 ㅇ 결혼이민자 경제활동 참여 확대
   -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및 맞춤형 일자리 발굴 : 새일센터 연계 인턴십 및 직업교육훈련 운영
   - 결혼이민자 학력신장 지원 : 검정고시 교육반 운영

 ㅇ 가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다기관(여성긴급전화1366, 해바라기센터 연계) 협업을 통한 신속한 긴급지원
   - 전문상담소·보호시설을 통한 지원 강화 : 이주여성 쉼터 및 다누리 콜센터 운영[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ㅇ 다문화 이해교육 확대
   - 일반 국민 대상 다문화 이해교육 확대
   - 공무원, 유관기관 종사자 대상 다문화 이해교육 강화

 ㅇ 다양성 존중 인식 확산
   - 정부 정책 등 성별영향평가 실시 ▹다문화 수용성 제고

 ㅇ 다문화가족 사회 참여 활성화
   - 내외국인 함께하는 문화축제 개최 : 부산세계시민축제, 아시아문화한마당 등 운영
   - 결혼이민자 대표회의 운영(연2회)[다문화가족정책 추진 기반 강화]
 ㅇ 다문화가족 서비스 접근성 제고
   - 신규 입국자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 안내 활성화 

 ㅇ 다문화가족정책 협력체계 강화
   - 거점센터 역할 강화 및 다문화가족지원협의회 운영부산을 사랑합니다

인구정책 아이디어 상시 접수!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담당관 인구정책팀 T.051-888-1111
E. bgl713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