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는 지역보건법 규정에 의거 시민보건 향상과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건행정의 최일선 기관으로 건강증진·보건교육, 구강건강 및 영양개선사업, 전염병의 예방·관리 및 진료,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사업, 노인보건사업,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 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의료기사·치과기공사 및 안경사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응급의료에 관한 사항, 농어촌등보건의료를위한특별조치법에 의한 공중보건의사·보건진료원 및 보건진료소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약사에 관한 사항과 마약·항정신성 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 정신보건에 관한 사항, 가정·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진단 및 만성퇴행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보건에 관한 실험 또는 검사에 관한 사항, 장애인의 재활사업, 기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 향상·증진 및 이를 위한 연구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한 공공보건 의료기관으로 맡은바 성격과 역할은 막중하다.
1) 沿 革
1962년 보건소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우리 시는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등 6개 보건소와 사상, 구포, 해운대, 북면, 반송 등 5개 보건지소를 설치하고 인력과 조직을 편성하여 시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하여 왔으며, 1974. 7. 5일에 대연보건소 신설후 1975. 10. 1일에 남구보건소로 개칭하였으며, 1978. 2. 15일에 부산진구보건소 구포지소가 북구보건소로 설치되면서 대저, 강서, 명지지소를 두었고, 1980. 4. 1일에 동래구보건소 해운대지소가 해운대보건소로, 1985. 7. 1일에 서구보건소 사하지소가 사하구보건소, 1988. 7. 30일에 동래구보건소 북면지소가 금정구보건소, 1989년 경남 김해군 일부 지역(천가, 녹산)이 우리 시로 편입됨에 따라 1989. 3. 15일에 북구보건소 대저지소가 강서구보건소로 설치되었고, 1995. 1. 1일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1995. 3. 1일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등 3개구의 분구로 연제구보건소, 수영구보건소, 사상구보건소가 신규로 신설되었으며, 경남 양산시에서 기장군 지역이 우리 시로 편입되면서 기장군보건소가 설치되었다. 보건지소로는 강서구 녹산보건지소가 1966. 1. 1일자로, 강동 및 명지보건지소가 1978. 2. 15일자로, 해운대구 반송보건지소가 1980. 4. 1일자로, 강서구 천가보건지소가 1986. 7. 1일자로, 기장군 장안ㆍ일광ㆍ정관ㆍ철마보건지소가 1995. 3. 1일자로 설치되었다.
보건진료소는 1986. 7. 1일자로 강서구보건소에 천성, 대항, 신호, 지사, 천성 등 4개 보건진료소가 있었으나 2001. 12. 31일자 강서구 조직개편에 의거 신호진료소가 폐쇄되었고, 1995. 3. 1일자 기장군 편입으로 마지·오리보건진료소가 새로 설치되었다.
따라서 2002. 12월말 현재는 16개 구·군 보건소 및 8개 보건지소, 5개 보건진료소를 설치·운영하여 시민보건향상과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2) 機構變遷
1963년 보건소법에 의거 보건소가 설치되면서 기구로는 보건소장, 사무장, 보건지도계, 의약계, 식품위생계, 환경위생계를 두고 민원실, 진료실, 가족계획실, 결핵관리실, 병리검사실, 방사선실을 설치·운영해오다가 1976년도에 식품 및 환경위생업무가 구청으로 이관되었고, 1980년에는 의약계가 예방의약계로 개칭되었으며, 1983년 보건지도계에서 관장해 오던 가족계획업무는 가족보건계가 신설되면서 업무가 분리되었으며, 보건지도계가 보건행정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8년도에는 사무장제가 서무과장제로 변경되었고, 1990도부터 내실적인 모자보건사업 강화를 위하여 모자보건실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특히, 1995. 12. 29일 종전 보건소법에 의거 설치·운영되던 보건소가 지역보건법으로 개정되면서 지역보건법 제12조(전문인력의 적정배치 등), 동시행령 제10조(전문인력 등의 배치기준) 규정에 의거 자치단체 보건소 실정에 부합되는 치과, 한방, 물리치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1995년도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이후 일부 보건소에서는 1976년도 구청으로 이관되었던 식품위생업무가 보건소로 환원되기도 하였으며, 2000년 정부의 구조조정 및 개편으로 보건소 계 직제가 없어지고 담당직제로 변경되면서 자치단체 실정에 맞게 서무과장 직제가 보건행정과장으로, 보건행정계가 보건행정담당으로, 가족보건계가 일부 주민건강증진담당으로, 예방의약계가 예방의약담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향후 지역보건법이 규정한 보건소 전문인력 최소배치 기준에 의거 보건소에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위생사, 영양사 등의 전문인력이 추가로 배치될 계획이다. 그리고 보건소와 보건지소에 종사하는 요원은 아래 표와 같으며, 약사의 경우에는 1986년까지 조제약사로 근무하다가 2000년도 의약분업 이후 조제약사가 없어지고 약무행정관리로 전환하여 근무하고 있다.
모자보건실, 예방접종실, 결핵관리실, 병리검사실, 방사선실, 치과실, 한방실, 물리치료실 등
·치과(부산진·동래·사하
·강서·사상구, 기장군)
·한방(동래·남·강서·
연제구, 기장군)
자료 : 보건위생과
보건소 인력
(단위 : 명)
연도별
계
보건
소장
의사
치과
의사
약
사
의료기사
간호직
보
건
직
행
정
직
고
용
원
및
기
타
의
무
직
보
건직
관
리
의
사
공
중
보
건
의
치
과
의
사
공
중
보
건
의
방
사
선
기
사
임
상
병
리
사
치
과
위
생
사
물
리
치
료
사
진
료
실
결
핵
관
리
모
자
보
건
가
족
계
획
나
관
리
기
타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508
498
528
644
597
577
570
579
540
535
8
8
9
9
10
10
11
43
11
11
4
3
5
7
5
5
4
4
4
4
26
25
25
29
29
27
27
28
26
27
-
-
1
1
2
1
1
1
1
1
3
4
5
3
5
4
4
4
4
4
1
-
1
1
2
2
1
1
1
2
12
12
12
17
16
17
17
14
9
8
25
26
27
37
34
31
31
29
29
30
30
32
31
39
42
35
37
38
39
37
1
2
7
7
8
8
8
8
8
8
-
-
-
38
1
1
3
6
6
9
28
25
31
28
28
25
23
24
24
24
24
24
24
36
24
23
19
18
16
17
36
40
34
49
33
28
27
29
29
28
52
45
43
-
41
25
35
28
30
22
1
1
-
40
4
4
3
3
3
2
13
17
24
112
39
45
38
43
46
56
84
79
88
57
102
101
102
90
86
82
47
44
48
134
53
60
64
59
64
64
113
111
113
-
119
125
115
109
104
99
자료 : 보건위생과
3) 診療 및 保健所 技能轉換
각 보건소의 진료로는 보건소 래소환자 결핵, 성병, 치과치료, 저소득층 밀집지역 무료 순회진료, 사회복지시설 수용자 순회진료, 경로당 및 양로원 순회진료, 거동불능불편 환자진료, 의료보험 및 의료보호환자 진료 등이다.
1992년 이후 진료실적은 꾸준히 증가하여 왔으나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진료실적은 감소추세에 있으며 특히, 앞으로 보건소가 종전의 진료중심에서 전염병예방 및 보건사업 위주로 전환되면서 지역사회 건강증진 중추기관으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지역사회진단을 통한 보건 기초자료 확보, 지역보건의료 정보망 구축, 보건소 시설·환경 개선 및 보강, 보건교육 강화, 건강증진 및 예방보건사업 활성화 등을 위해서 예방보건 프로그램 개발운영, 건강검진사업 활성화, 민간의료자원의 효율적 관리, 급·만성전염병관리사업의 내실화를 기하고, 또한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사업 서비스를 위하여 방문보건 확대 실시, 정신보건사업을 활성화하여 찾아가는 현장보건서비스 제공 등 선진 보건행정 기반을 구축하여 명실상부한 공공보건 의료기관로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다 하고자 한다.
보건소 진료실적
(단위 : 명)
연
도
별
계
집 단 검 진 수
환 자 진 료 인 원
소계
결핵
성병
치과
기타
(이동순회
이동물리)
소계
결핵
성병
소아과
산부
인과
치과
기생충
기타
(검사실적
물리실적)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720,376
749,472
896,725
918,941
1,064,143
1,184,948
1,183,489
1,233,548
1,177,757
1,346,986
165,243
166,318
167,755
151,334
148,121
169,259
143,054
142,282
170,928
165,348
44,995
48,316
49,995
32,418
31,299
43,498
33,053
40,651
41,718
27,710
77,666
74,292
76,945
78,163
69,589
63,255
63,844
51,080
55,356
59,051
4,546
5,486
7,574
7,053
8,075
13,892
14,725
17,236
16,983
17,896
38,036
38,224
33,241
33,700
39,158
48,614
31,432
33,315
56,871
60,691
555,133
583,154
728,970
767,607
916,022
1,015,689
1,040,435
1,091,266
1,006,829
1,181,638
96,817
88,793
83,150
89,518
102,916
122,014
114,605
115,463
94,917
88,318
9,323
9,476
14,284
13,209
19,179
24,078
22,287
25,409
25,663
18,276
64
58
60,167
39,937
27,451
16,585
20,596
18,941
17,683
13,188
241
267
1,151
1,219
1,320
1,285
1,198
1,085
840
993
5,927
8,405
12,154
32,728
51,137
75,523
107,264
94,171
111,287
84,068
577
598
763
354
583
1,065
834
705
705
704
442,184
475,557
557,301
590,642
713,436
775,139
773,651
835,492
755,734
976,091
자료 : 보건위생과
2. 醫·藥務行政
1) 醫·藥業所 現況
시민보건의료의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의료·약업소는 1993년 4,933개소(의료기관 2,592, 약업소 2,341)에서 인구증가와 시세 확장 등으로 인하여 매년 증가되어 2002년 12월말 현재는 6,898개소(의료기관 3,766, 약업소 3,132)로 무려 1.4배가 증가되었으며, 의료기관의 경우 종합화·대형화 등으로 인하여 1993년에 73개소이던 종합병원 및 병원이 2002년 12월말 현재는 97개소로 증가되어 시민들이 의료시설 이용이 편리하게 되었다.
의료기관 현황
(단위 : 개소)
연도별
총 계
종합병원
병 원
의 원
치과병의원
한방병의원
조산원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592
2,660
2,756
2,837
2,956
3,077
3,258
3,392
3,591
3,766
25
26
26
26
25
25
25
26
26
26
48
49
52
55
53
56
66
68
63
71
1,291
1,310
1,357
1,383
1,432
1,511
1,625
1,710
1,874
1,976
659
694
718
750
793
814
852
876
889
922
520
535
560
583
613
631
653
679
708
745
49
46
43
40
40
40
37
33
31
26
자료 : 보건복지부 및 부산광역시 통계연보
약업소 현황
(단위 : 개소)
연도별
총 계
제 조 업 소
판 매 업 소
소 계
의약품
의료
용구
위생용품
화장품
소 계
도매상
약국
약업사
한약업사
매약상
의료용구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341
2,242
2,314
2,333
2,380
2,411
2,520
2,622
3,013
3,240
36
49
55
53
55
49
59
69
77
88
15
20
22
20
20
21
22
22
22
22
8
12
15
16
18
17
25
35
39
52
9
12
13
12
12
7
8
7
7
6
4
5
5
5
5
4
4
5
9
8
2,305
2,193
2,259
2,280
2,325
2,362
2,461
2,553
2,936
3,132
112
117
124
140
157
150
156
164
196
209
1,634
1,539
1,551
1,505
1,465
1,423
1,423
1,399
1,447
1,444
36
32
32
32
29
25
25
21
21
19
74
75
80
76
74
66
66
67
69
68
5
4
6
6
5
7
7
7
7
5
444
426
466
521
595
784
784
895
1,196
1,380
자료 : 보건복지부 및 부산광역시 통계연보
또한 약업소중 독극물 판매업은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의약품 등에 준하여 관리하다가 1982년부터는 환경분야에서 관리하고 있다.
독극물 판매업 현황
(단위 : 개소)
연도별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업소수
97
95
103
142
162
165
172
175
자료 : 보건복지부 및 부산광역시 통계연보
2) 痲藥類 誤·濫用者 發生趨勢 및 豫防事業
마약류사범 발생동향을 분석해 보면 마약류 사용계층이 특수업태부 및 유흥종사자에서 청소년, 가정주부 등으로 확산되고 있고, 사용 연령층은 20~30대에서 10대까지, 사용지역은 대도시에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나 최근 강력한 단속과 예방홍보 강화 등으로 마약류사범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마약류 사범 발생원인을 공급면과 수요면에서 살펴보면 마약류 불법제조의 강력한 단속으로 최근에는 외국에서 밀수입되어 신경통약, 피로회복제, 정력제 등으로 유혹하면서 밀매와 사회 윤리적인 가치관 상실로 인한 향락 추구와 심리적인 불만해소를 위하여 일부 청소년층 호기심에 의한 사용과 범죄자와 윤락여성, 연예인 등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에서는 이러한 마약류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 홍보요원 위촉교육 및 취약지역과 해수욕장 등 다중집합 장소에서 분기 1회이상 캠페인을 전개하고, 위생접객업 종사자에 대한 계몽 교육 등을 강화함과 아울러 유선방송망을 통한 홍보비디오 방영, 마약류사범 신고 모니터 운영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민간단체인『마약없는 부산운동추진위원회』를 지원하여 마약없는 부산만들기 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연도별 마약류사범 발생현황
(단위 : 명)
연도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전 국
6,773
4,555
5,418
6,189
6,947
8,350
10,589
10,304
10,102
10,673
부 산
689
704
1,052
951
1,201
1,639
1,726
1,368
1,214
1,248
비율(%)
10.2
15.5
19.4
15.4
17.3
19.6
16.3
13.3
12.0
11.7
자료 : 대검찰청, 보건복지부 및 부산광역시 통계연보
마약류중독자 수용치료병원 지정 현황
의 료 기 관 명
계
부산의료원
부산시립정신병원
지 정 병 상 수
50개 병상
20개 병상
30개 병상
자료 : 보건위생과
연도별 마약류 중독자 수용치료 현황
(단위 : 명)
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365
30
29
27
31
34
46
54
69
21
24
자료 : 보건위생과
3. 家族保健事業
가족보건사업은 1962년도부터 인구증가 억제 정책의 일환으로 가족계획사업을 시작하여 1960년 연간 인구증가율이 3.0%에서 2002년 0.62%로 크게 낮아졌으며, 1가구당 자녀출산수도 1960년 6.0에서 1.3(2001년)수준으로 급격하게 저하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향후 인구정책은 인구의 자질향상 및 건강증진 정책에 중점을 두어 모자보건증진, 출생성비 불균형 해소, 저소득층 건강관리를 위한 보건교육, 영양사업, 독거노인 건강관리, 거동 불편·불능환자 등록관리, 저소득층 암 검진사업 등 다양한 주민의 보건의료 욕구에 의한 사업을 실시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1) 家族計劃事業
1962년부터 가족계획사업이 착수된 이래 강력한 인구증가 억제책의 추진으로 인구의 안정적·성장기조는 확립되었으나 질적인 사업보다는 양적인 사업 즉 목표량 조성에만 급급한 나머지 개개인의 기호나 여건을 고려한 합리적인 정책을 다소 등한시하여 출생성비 불균형 초래와 함께 날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성범죄, 미혼모 발생 등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향후 가족계획 사업은 출생성비 불균형 해소, 인공임신중절 예방, 청소년 성문제 등 사회적 정책과제와 연계하여 합리적인 방향으로 가족계획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구성장률
연도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비율(%)
1.02
1.01
1.01
0.95
0.94
0.72
0.71
0.84
0.71
0.62
자료 : 보건위생과
1가구당 자녀 출산수
연도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명
1.67
1.67
1.65
1.58
1.54
1.47
1.42
1.47
1.30
자료 : 보건위생과
출생성비(남성100 대비 여성비)
연도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전 국
115.3
115.2
113.2
111.6
108.2
110.1
109.6
110.2
109.0
부 산
118.3
118.8
117.2
115.3
110.9
112.7
111.0
112.8
110.5
자료 : 보건위생과
2) 母子保健事業
모자보건사업은 인구의 자질 및 건강증진정책에 중점을 두고 출발하여 건강한 차세대 국민을 확보하기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선천성대사 이상 등 장애아 발생예방, 모유수유율 제고와 모성건강의 보호 및 증진을 도모하여 왔으며, 향후 지역 모자보건의 획기적인 향상을 위해 지역단위 보건소를 모자보건 중추기관으로 지원·육성하여 생애주기별 평생건강 관리체계의 확립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아 및 모성사망률
구 분
1993
1995
1999
2000
비고
영아사망률(천명당)
9.9
-
6.2
-
3년 주기조사
모성사망비(십만명당)
-
20
-
15
5년 주기조사
자료 : 보건위생과
모자보건사업실적
(단위 : 명)
연도별
모자보건등록관리
건강진단
모자보건교육
임산부
영유아
임산부
영유아
회 수
인 원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3,663
3,688
3,562
3,324
3,323
3,642
3,203
2,676
2,378
2,140
29,127
23,163
23,504
22,699
22,952
21,398
20,560
17,929
16,120
14,622
2,478
2,255
2,424
1,994
1,599
1,390
2,285
1,747
1,368
1,084
2,578
2,364
2,529
2,233
1,578
1,410
1,471
1,560
1,669
1,452
491
656
3,341
1,193
1,769
11,445
159,897
171,787
167,694
111,995
19,537
19,804
49,812
52,881
54,128
38,907
184,539
190,622
185,158
128,309
자료 : 보건위생과
3) 訪問保健事業
보건기관의 방문보건사업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해 보건의료문제를 발견하고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 보건교육 등 지속적·포괄적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77년 의료보험 실시와 함께 지불능력이 없는 취약계층에 대한 진료의 기능을 보건소가 담당하게 되고 1980~1985년 농어촌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거 공중보건의의 보건소 배치, 보건진료원의 진료소 배치, 통합보건사업 실시 등으로 공식적으로 “방문보건”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고, 주민에 대한 1차 보건의료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 간에 정부에서는
① 1994년부터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에서 방문보건사업 관심을 가짐
② 1995년12월29일 지역보건법 제9조 보건소 업무중 제12호에 사업의 법적 근거 마련
③ 1997년 농어촌에 방문보건사업용 차량과 방문보건세트 지원
④ 1999년 공공근로사업의 일환으로 간호사를 1,750명 보건소에 배치
⑤ 2000년 공공근로사업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사업지침 개발
⑥ 2000~2001년 정책연구과제로 채택 - 2001년도 방문간호운영지침 개발 보급
⑥ 2000년도부터 국민건강증진기금을 활용하여 대상가구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사의 가정전문간호 위탁교육 실시
가정전문간호 위탁교육 실적
구 분
2000년
2001년
2002년
전 국(명)
222
192
219
부 산(명)
15
15
16
자료 : 보건위생과
정부의 방문보건사업 시범운영에 의거 우리 시에서는 1993년도부터 통합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생활환경의 변화와 주민의 보건에 대한 인식 변화 등으로 방문보건 대상자가 급격히 늘어났으며, 인력의 구조조정으로 정규인력의 부족에 대한 대책으로 2001년~2002년에는 일용직 간호사 32명을 구·군 보건소에 배치하여 방문간호사업을 운영하게 되었다.
방문보건사업 추진실적(부산광역시)
(단위 : 가구, 명)
연도
구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가구수
4,527
5,975
5,164
8,524
13,178
11,949
17,718
18,297
9,364
18,620
가구원
16,306
19,438
14,730
17,549
36,693
20,448
39,884
45,486
24,703
37,145
서비스제공
-
-
-
-
-
-
391,456
531,628
613,403
748,749
연 계
-
-
-
-
-
-
22,108
30,292
60,209
45,302
자료 : 보건위생과
4) 癌 管理事業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정복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1996년부터 국가 암정복 10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1999년부터 국가 암관리 사업으로 자궁경부암, 유방암, 위암 등 3개암에 대한 무료 검진사업을 의료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하여 오다가 2000년에는 국가 암관리 대책을 총괄할 암관리과를 보건복지부 보건증진국내 설치하고, 2002년부터 건강보험 대상자 중 저소득 하위 20%를 대상으로 위암, 유방암에 대한 무료검진 사업을 확대하여 실시하였고, 향후 5대암인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대장암에 대한 국가적인 검진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암 검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간 우리 시에서는 1994년부터 저소득층 여성에 대한 자궁암 검진사업을,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자궁암 및 유방암검진사업을 실시하였으며, 1999년부터는 국가 암 관리사업 추진체계로 전환하여 암질환의 조기 발견·치료 및 암 환자 관리를 강화하여 시민건강증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연도별 사업추진실적
(단위 : 명)
구분
실 적
검사결과
목표
검사인원
유소견자
암확진자
계
위암
자궁암
유방암
계
위암
자궁 암
유방 암
계
위암
자궁 암
유방 암
계
위암
자궁 암
유방 암
계
277,427
66,215
70,368
78,744
223,540
57,374
98,444
67,722
4,809
1,998
936
1,875
233
69
112
520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32,000
37,000
4,100
6,500
13,000
24,369
25,150
32,769
102,539
-
-
-
-
-
3,993
5,074
4,950
52,198
3,200
3,700
4,100
5,000
8,000
11,376
11,000
15,358
8,634
-
-
-
1,500
5,000
9,000
9,076
12,461
41,707
32,000
3,700
4,100
6,500
13,000
24,369
25,150
32,774
81,947
-
-
-
-
-
3,993
5,074
4,955
43,352
32,000
3,700
4,100
5,000
8,000
11,376
11,000
15,358
7,910
-
-
-
1,500
5,000
9,000
9,076
12,461
30,685
-
3
7
12
60
463
653
1,046
2,565
-
-
-
-
-
183
242
277
1,296
-
3
7
10
29
57
108
418
304
-
-
-
2
31
223
303
351
965
-
3
7
12
29
48
40
36
58
-
-
-
-
-
19
13
11
26
-
3
7
10
20
20
22
20
10
-
-
-
2
9
9
5
5
22
자료 : 보건위생과
5) 口腔保健事業
구강보건사업은 1997. 11. 29일 정부에서 구강건강을 전담하는 부서가 마련된 것을 시작으로 구강보건법이 2000. 1. 12일자로 제정되어 공포됨으로써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실질적인 구강보건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산시 16개 보건소중 치과실 설치 또는 구강보건인력이 확보된 보건소는 6개소에 불과하다. 이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구강질환예방에 역점을 두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구강보건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왔으며 미취학아동 구강보건사업, 초등학생 불소양치사업, 노인의치 보철사업, 치아홈메우기 등 구강보건 사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취학아동 구강보건사업
(단위 : 회, 명)
연 도 별
1999
2000
2001
2002
횟수
인원
횟수
인원
횟수
인원
횟수
인원
구강보건교육
348
20,213
354
26,144
240
19,040
323
24,875
불소도포사업
239
10,163
264
14,787
211
13,610
286
20,630
불소양치사업
204
13,487
295
21,202
189
12,087
197
12,169
자료 : 보건위생과
구강보건실 설치
(단위 : 개소)
연 도 별
합 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보 건 소 구강보건실
3
1(자체)
-
-
-
-
-
2
초등학교 구강보건실
4
-
-
-
3(자체2)
-
-
1
특수학교 구강보건실
1
-
-
-
-
-
-
1
자료 : 보건위생과
대상별 구강보건사업
연 도 별
노인의치 보철사업
치아홈메우기 사업
초등학교 불소용액 양치사업
1998
1999
2000
2001
2002
-
-
-
-
304명
-
-
-
-
4,738명
234개교 267,962명
274개교 301,305명
273개교 291,099명
275개교 296,988명
279개교 298,279명
자료 : 보건위생과
6) 母子保健센타 運營
모자보건센타는 모자보건법 제7조, 부산직할시모자보건센타설치조례에 근거하여 1972. 6. 8일 부산 서구 서대신동 1가 163-11번지에 설치(부지100평, 건물268평)하여 병실 18개를 갖추고 출발하였으며, 주요업무는 산부인과 진료, 산전·산후조리, 분만개조, ·유아 관리, 예방접종 등을 실시하여 오다 1993. 10. 12일 (구)부산직할시모자보건센타가 폐지됨에 따라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1동 69-3번지,공공법인체)로 모자보건센타 기능을 이관하여 동 협회 모자보건센타에서 임산부의 산전·산후관리, 분만개조 및 영·유아관리 등 모자보건진료 업무를 운영하도록 하고 모자보건법 제 21조(경비의 보조)의 규정에 의거 동 협회 부속의원 요원의 인건비 및 장비구입비 등을 보조하고 있으며, 또한 생계유지를 위하여 자신의 병을 돌볼 여유가 없는 저소득층 여성 등의 무료건강검진 등 시민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모자보건진료사업 추진실적
(단위 : 명)
구분
연도
계
산전·산후
검 사
분만개조
영·유아
관 리
예방접종
모자보건
교 육
일반진료
1993
46,225
4,157
404
3,624
5,086
29,169
3,785
1994
34,834
3,117
332
3,470
4,232
20,653
3,030
1995
25,801
2,508
269
3,002
3,119
13,360
3,543
1996
30,157
1,984
200
2,076
2,392
16,835
6,670
1997
26,725
1,527
161
1,343
1,356
14,825
7,513
1998
36,709
2,045
246
952
812
22,237
10,417
1999
30,173
1,720
273
1,736
5,559
12,853
8,032
2000
34,272
1,438
160
5,883
14,660
9,342
2,789
2001
23,769
1,537
138
531
13,213
5,598
2,752
2002
46,007
1,921
157
678
18,030
4,708
20,513
자료 : 보건위생과
가족보건사업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도별
정 부 추 진 정 책
부 산 광 역 시
1993
· 현 출산력 수준 유지를 위한 피임보급
· 국민영양조사 사업 실시
· 선천성대사이상검사(저소득층 신생아)
실시와 이상자에 대한 사후관리
· 통합보건사업 실시
· 부산시 모자보건센타기능 수탁
(가족계획협회)
1994
· 자율 피임실천 분위기 조성
· 의료보험에 의한 피임시술 실적보고
· 저소득 여성 자궁암 검진사업
1995
· 엄마젖 먹이기 운동 확대 추진
· 구강보건사업 실시(불소양치)
· 부산시 초등학교 불소양치사업 시행
(100개교)
1996
· 일시피임(콘돔, 피임약) 무료공급
· 성교육·성상담사업 실시
· 기장군 보건소 구강보건실 설치
(자체예산)
1997
· 모든 신생아에 대한 2종검사 무료 실시
· 월경조절 시술비 삭감
· 미취학아동 조기시력검진사업
· 재가노인 복지사업 주간보호사업실시
(가족계획협회)
· 성폭력 상담소 개소 (가족계획협회)
· 저소득여성 자궁암 및 유방암 검진
· 국민영양개선사업 조사
1998
· 남아선호관 불식과 태아성감별 행위
금지에 대한 적극적 홍보강화로 성비
불균형 해소 도모
· 예방접종(무료)약품 자치단체 자체
구매로 변환
· 초등학교 불소용액 양치사업 전 초등
학교로 확대 시행 (234개교)
1999
· 모자보건선도사업실시
· 통합보건사업 명칭을 방문보건사업으로
변경
· 의료급여수급자 자궁암,유방암,위암검진
· 국가 암 검진체계로 전환
· 건강한 모유수유아 선발대회 개최
· 모자보건선도보건소운영(사상구)
· 미취학아동 구강보건사업 실시
· 사상구 모라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설치
· 가족계획협회에서 가족보건복지협회
로 명칭 변경
2000
· 취학전아동 홍역 확인사업 실시
·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 임부 산전관리 의료보험 급여 실시
· 영아성장발달스크리닝사업 실시
· 예방접종 전산화 사업
· 고혈압·당뇨병 환자관리
· 미숙아 등록사업
· 지역중심 재활시범사업
2001
· 지역모자보건의 획기적인 향상을 위해
지역단위 보건소를 모자보건 중추기관
으로 지원·육성
· 미숙아·선천성이상아 관리 교육
· 학동기 아동 건강검진
· 방문간호사(일용) 구·군 배치(2명)
· 저소득 여성가장 등 건강검진
2002
· 통일된 모자보건수첩 제작 보급
· 모자보건 특화사업 확대추진
· 노인의치보철사업 및 치아홈메우기사업
· 의료급여수급자 및 저소득 건강보험
가입자 하위 20% 위암, 유방암 검진
· 임산부 태아기형검사, 갑상선기능검사,
취학전아동 건강검진 실시
· 모유수유 전문가 교육실시
· 구강보건실 설치 : 4개소
(보건소2, 초등학교1, 특수학교1)
4. 保健環境硏究院 運營
보건위생·환경·축산물에 관한 시험·검사 및 연구를 통하여 시민생활과 관련한 환경의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964. 2. 20일 부산시위생시험소로 발족되어 1976. 10. 23일 부산직할시 보건연구소로 개칭되었고, 그후 1991. 5. 25일 보건환경연구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93. 9. 7일 부산직할시 가축위생시험소를 하부기관으로 통합하여 2002. 12월말 현재 1과 1부(8과) 1하부기관의 기구에 100여명의 직원이 시험·검사 및 연구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시험하는 가검물은 공공기관에서 직권으로 채취한 수거 가검물과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환경위생적부 가검물 및 일반신청 가검물로서 품질검사 연구 및 그 평가에 관한 사항, 환경위생 개선 및 공해방지를 위한 조사연구 및 평가 등 시민의 보건환경 향상에 기여해 오고 있다. 그 간의 주요 시험검사 및 자체 연구사업 실적은 다음과 같다.
보건환경연구원 시험검사 실적
(단위 : 건수)
연도별
분야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총 계
50,081
(8,822)
42,904
(8,132)
43,815
(7,673)
43,730
(7,120)
40,686
(6,094)
46,152
(5,273)
49,829
(6,436)
43,169
(5,209)
40,598
(5,088)
49,384
(4,684)
보
건
분
야
소 계
26,104
(4,925)
22,026
(4,718)
25,512
(4,411)
23,037
(3,337)
21,213
(2,751)
25,021
(2,501)
29,092
(3,393)
25,376
(2,569)
23,347
(2,494)
21,148
(2,337)
역학조사과
6,307
(1,136)
6,271
(1,962)
7,260
(1,571)
3,173
(437)
2,948
(283)
4,088
(104)
4,721
(375)
4,465
(241)
4,911
(406)
4,056
(258)
미생물과
13,358
(3,705)
9,343
(2,653)
11,178
(2,700)
12,699
(2,500)
10,147
(2,319)
13,238
(2,080)
15,249
(2,223)
12,071
(1,966)
10,718
(1,735)
11,592
(1,693)
약품분석과
2,165
(14)
1,931
(13)
2,017
(7)
2,087
(293)
2,642
(59)
6,978
(278)
8,060
(774)
8,032
(352)
7,033
(346)
4,913
(376)
식품분석과
4,125
(65)
4,034
(80)
4,397
(122)
4,524
(99)
4,952
(80)
농산물분석과
149
(5)
447
(10)
670
(11)
554
(8)
524
(10)
717
(39)
1,062
(21)
808
(10)
685
(7)
587
(10)
환
경
분
야
소 계
23,977
(3,897)
20,878
(3,414)
18,303
(3,262)
20,693
(3,783)
19,473
(3,343)
21,131
(2,772)
20,737
(3,043)
17,793
(2,640)
17,251
(2,594)
18,236
(2,347)
환경조사과
1,693
(37)
2,274
(10)
1,552
(4)
1,377
(-)
1,528
(-)
2,622
(-)
4,329
(-)
3,778
(-)
3,601
(-)
3,796
(-)
대기보전과
7,791
(206)
4,856
(105)
2,841
(66)
2,408
(82)
3,471
(84)
3,156
(65)
2,200
(24)
1,450
(23)
1,963
(42)
1,904
(36)
수질보전과
5,845
(698)
6,258
(440)
6,687
(1,193)
7,880
(2,855)
7,032
(2,467)
9,309
(2,119)
9,628
(2,483)
8,252
(2,161)
7,028
(2,036)
8,129
(1,867)
기기분석과
1,368
(621)
971
(317)
1,165
(667)
2,320
(251)
1,599
(199)
폐기물분석과
7,280
(2,335)
6,519
(2,542)
6,058
(1,332)
6,708
(595)
5,843
(593)
6,044
(588)
4,580
(536)
4,313
(456)
4,659
(516)
4,407
(444)
자료: 보건환경연구원, 주 : ( )는 부적합 건수 임.
주 : 1998년 약품분석과·식품분석과는 식약품분석과로 통합되고, 수질보전과·기기분석과는 수질보전과로 통합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업 추진실적
연도별
제 목
추진부서
1993
(13건)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설사유발원인균 분리 및 분포도에 대한 조사연구
·부산시내 각 지역의 일본뇌염모기 및 유해모기 밀도 조사연구
역학조사과
·생물학적활성탄소(BAC)를 이용한 폐수중 페놀의 분해에 관한 연구
미생물과
·시판 생약제제 중의 유기용매에 관한 연구
약품분석과
·조미식품의 숙성과정중 품질변화 연구
식품분석과
·과채류중 농약잔류의 경시적 변화 연구
·잔류농약의 세척에 의한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농산물분석과
·시내 주요 간선도로변의 대기오염실태 조사연구
환경조사과
·부유분진의 입경분포 및 미량물질 함량 조사연구
대기보전과
·TCE(트리클로로에칠렌) 및 PCE(퍼크로로에칠렌)에 의한 하천수질오염에 관한 조사연구
·식용수중의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에 관한 조사연구
수질보전과
·부산시 일원의 토양오염물질 조사연구
폐기물분석과
·서낙동강 난분해성물질 조사연구
기기분석과
1994
(19건)
·수용체(Receptor)를 이용한 베로톡신(Verotoxin) 생산 대장균의 검출에 관한 연구
·베로톡신(Verotoxin) 생산 대장균의 내성 프라스미드(R-Plasimid) 유형에 관한 연구
역학조사과
·세균에 의한 난분해성 염색폐수의 분해에 관한 연구
·식품 중의 리스테리아(Listeria) 속균의 분포 및 분해균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미생물과
·야생 할미꽃과 위영선의 항암효과 검색 및 항암 성분의 분리 동정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한 질산에코나졸과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
드의 동시분석기법의 개발
약품분석과
·해조류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분리 및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
·시중 젓갈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식품분석과
·과채류 중의 농약잔류의 경시적 변화 연구
·과채류 중의 잔류농약의 세척에 의한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농산물분석과
·낙동강 하류지역의 부영양화의 원인 인자와 조류성분에 관한 조사연구
·부산시내 주요 간선도로변의 대기오염 실태 조사연구
환경조사과
·다변량 분석에 의한 아황산가스 농도예측에 관한 연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악취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유기인계 농약의 분석기술에 관한 조사 연구
·수중의 TCE(트리크로로에칠렌) 의 생물학적 처리
수질보전과
·부산지역 온천수의 성분분석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일원의 토양오염도 조사 연구
폐기물분석과
·물 시료중 비소·수은의 베이퍼(Vapor)법과 그라파이트(GTA)법과의 비교분석 연구
기기분석과
1995
(10건)
·수용체를 이용한 Verotoxin 생산 대장균의 검출에 관한 연구(Ⅱ)
-Receptor을 이용한 Verotoxin 검출 방법개발
역학조사과
·세균에 의한 난분해성 염색폐수의 분해에 관한 연구
미생물과
·야생 할미꽃과 위영선의 항암효과 검색 및 항암성분의 분리 동정
약품분석과
·젓갈류의 향미 성분에 관한 연구
식품분석과
·채소류 중의 농약잔류의 경시적 변화 연구
농산물분석과
·도시하천 악취물질 조사연구(동천,삼락천)
환경조사과
·GC를 이용한 악취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세차폐수의 적정처리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과
·부산시내 지역별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폐기물분석과
·Purge & Trap을 이용한 식물중 정유 성분 분석법 개발
기기분석과
1996
(9건)
·지지매체의 표면거칠기가 미생물부착에 미치는 영향
역학조사과
·식품중의 리스테리아(Listeria) 속균의 분포 및 분해균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미생물과
·어성초 휘발성 정유성분의 항균활성과 항균성분 검색
약품분석과
·위생 물수건의 잔류염소 함유량 조사
식품분석과
·우엉 및 우엉김치의 영양학적 성분에 관한 조사 연구
농산물분석과
·삼락천, 감전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1차 년도)
환경조사과
·IC를 이용한 지하수의 지역적 음이온 분석도 조사 연구
수질보전과
·오수정화조 제거율(%)에 대한 조사 연구
폐기물분석과
·식용수중 특수 미량원소 함유량에 관한 조사 연구
기기분석과
1997
(6건)
·식품중의 리스테리아(Listeria) 속균의 분포 및 분해균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미생물과
·전통식품재료와 생약제중의 생리활성물질 검색 및 분리 동정
약품분석과
·생칡차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식품분석과
·삼락천, 감전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환경조사과
·도시 대형쓰레기 소각장 및 주변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용출액 특성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오염도 비교 연구
폐기물분석과
1998
(13건)
·위생해충 방제를 위한 생태조사
·전염성 바이러스 질병 유행예측사업
역학조사과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형별분포조사
·장출혈성 대장균 O-157 감염증 실험실 감시
미생물과
·생약재의 생리활성 물질 검색
약품분석과
·생칡차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식품분석과
·두채류의 재배과정별 잔류농약 함유에 관한 연구
농산물분석과
·주요하천별 오염부하량 조사 및 저감방안
·대기질 측정망 설계에 관한 연구
환경조사과
·부산시 하계시정에 미치는 입자상물질의 특성 및 이온성 성분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미생물에 의한 약수터 오염도 조사연구
수질보전과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용탈 특성연구
·폐수처리오니 및 공정오니의 적정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폐기물분석과
1999
(14건)
·부산지역 전염성 바이러스 감염환자로부터 분리한 바이러스의 질병과 특성
역학조사과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형별 분포 조사
미생물과
·학교주변의 즉석제조 판매식품에 대한 안정성 조사연구
·시중 유통 한약재중의 잔류농약 함유량 조사연구
식약품분석과
·두채류의 재배과정별 잔류농약 함유에 관한 연구
농산물분석과
·주요하천별 오염부하량 조사 및 저감방안
·대기질 측정망 설계에 관한 연구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의 공간 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하천수질의 계절적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조사과
·부산지역 초기 및 후속강우의 무기이온 성분농도 거동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다류에 의한 지하수의 수질변화 조사
·내분비장애물질 일명 환경호르몬 환경잔류 실태조사
수질보전과
·Media를 이용한 정화조 효율 개선방안 연구
·폐기물의 유해물질 함유량 조사연구
폐기물분석과
2000
(8건)
·부산지역 전염성 바이러스 감염환자로부터 분리한 바이러스의 질병과 특성
역학조사과
·부산지역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살모넬라속균의 혈청학적 분석 및 항균제 감수성
미생물과
·자판기용 온 캔 음료의 저장온도와 보관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식약품분석과
·부산지역 유통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 실태조사 연구
농산물분석과
·부산 인근지역의 광역적 대기오염에 대한 조사 연구
·부산시 지역별 대기질 평가 및 조사 연구
환경조사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성분 분석 및 적정 처리 방안 연구
대기보전과
·폐어망을 이용한 오수처리시설 수질 개선방안 연구
폐기물분석과
2001
(11건)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설사원인 바이러스 검색
역학조사과
·최근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쉬겔라균의 항균제 내성양상 및 분자역학적 연구
미생물과
·시중 유통 김치에 대한 인공감미료 사용실태 및 숙성중 특성변화 비교 연구
식약품분석과
·부산지역 유통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 실태조사 연구(Ⅱ)
농산물분석과
·지리정보체계 (GIS)를 이용한 부산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대기오염
예측모델링에 관한 연구
·지리정보체계 (GIS)를 이용한 부산시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수질오염
예측모델링에 관한 연구
·오존발생기전에 미치는 주요인자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지역별 대기질 평가 및 조사연구
환경조사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성분 분석 및 적정 처리방안 연구
대기보전과
·수질검사업무의 전산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질보전과
·폐어망을 이용한 오수처리시설 수질 개선방안 연구
폐기물분석과
2002
(16건)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설사원인 바이러스 검색
역학조사과
·최근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쉬겔라균의 항균제 내성양상 및 분자역학적 연구
·병원성 세균에 대한 천연물 추출액의 항균 효능 연구
미생물과
·지방 민속주(산성막걸리)와 일반 탁주의 품질특성 비교 연구
·흡연 및 금연에 따른 소변중 니코틴함량 조사
식약품분석과
·부산지역 유통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 실태조사 연구(Ⅲ)
·시중 유통 채소류중 잔류농약 세척 저감 효과 연구
농산물분석과
·지리정보체계 (GIS)를 이용한 부산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대기오염
예측모델링에 관한 연구
·지리정보체계 (GIS)를 이용한 부산시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수질오염
예측모델링에 관한 연구
·오존발생기전에 미치는 주요인자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바람장의 실시간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환경조사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성분 분석 및 적정 처리방안 연구
·부산지역 대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성분분포에 관한 연구
대기보전과
·부산지역 지하수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과
·폐어망을 이용한 오수처리시설 수질 개선방안 연구(Ⅱ)
·부산시내 토양의 깊이별 토양오염도 조사 연구
폐기물분석과
자료 : 보건환경연구원
축산물위생검사소 시험검사 실적
(단위 : 건)
연도별
분야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축산물위생검사소
-
-
-
-
-
212
1,612
6,282
7,432
4,744
자료 : 보건환경연구원
※ 1993년 보건환경연구원으로 통합
※ 1998년 6. 14부터 축산물가공품검사 실시(보건복지부 → 농림부이관)
축산물위생검사소 연구사업 추진실적
연도별
제 목
추진부서
1993
·부산지방에서 사육중인 애완견으로부터 분리한 피부사상균에 관한 연구
·환견으로부터 파보바이러스 분리 및 생물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축산물위생
검사소
1994
·In situ hybridization 화학법을 이용한 개 파보바이러스 동정
〃
1995
·In situ hybridization 화학법을 이용한 개 파보바이러스 동정
〃
1996
·실험동물에 대한 설파제 투여에 의한 체내잔류량 조사
·돼지폐렴 유래 Pasteurella spp의 특성 및 Plasmid profiles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