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4節 社會敎育


1. 學 院


1) 學院의 變遷 過程


  1993년 이후 학원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학부모들에게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로 인한 재정적·심리적 고통과 계층간의 위화감 조성 등 교육적 차원을 넘어 사회안정과 통합을 저해하는 사회적 불만의 요인이 되고 있던 학원의 불법·탈법 운영 및 과열 과외에 대해서 문민정부는 1993년 5월 중순부터 법질서 확립차원에서 『범죄소탕 180일 작전』의 하나로 경찰에서 일제 단속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이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와 각종 민원을 초래했다. 경찰의 사법적 차원의 학원단속은 사회적으로 문제화되고 있는 학원과 현직교사, 학원강사, 일반인의 고액·불법과외에 대해 사회 정화차원에서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했으나 경찰의 학원단속은 무계획적이고 강압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부산시내 외국어, 주산, 속셈, 웅변 등 소규모 학원들은 경찰의 단속에 일제히 반발하여 동맹휴업에 들어가는 한편, 경찰의 강압적인 단속의 즉각 중지 및 구속 학원장 석방, 비현실적인 학원의 교습과정 규제 철폐를 주장하면서 부산광역시교육청 및 부산역 광장 등에서 장기 항의 농성에 들어갔으며, 학원의 장기 동맹휴업으로 인하여 선의의 피해자인 학생·학부모의 항의 및 각종 민원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강압적인 학원단속이 사회문제화되자 경찰이 학원단속의 방향을 현직 교사 및 학원 강사에 의한 고액·불법과외 행위에 대해서만 중점 단속토록 지시하는 등의 긴급대책을 수립·시행함으로써 집단 항의농성 및 동맹휴업은 철회되었다.

  그러나 경찰의 단속으로 유발된 학원문제는 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 개정을 위한 전국적인 운동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교육부는 1993년 6월 5일 그 동안 과외교습 금지 대상이었던 유치원·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학원이나 교습소에서 예·체능과목뿐만 아니라 국어·수학·영어 등 일반 과목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과외 교습 전면 허용과 시설 기준 완화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 개정을 입법 예고하였다. 교육부의 이러한 조치는 법과 현실사이의 불일치로 인한 학원의 불법·탈법의 만연과 과외 교습의 욕구를 지도·감독으로만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자율과 경쟁 사회에 부합토록 규제위주의 내용을 크게 완화하는 조치였다.

  교육부에서는 그 동안 수렴된 여론을 바탕으로 여러가지 사안을 검토하여 1993년 6월 입법예고하였던 유치원·초등학생 일반과목 과외 교습 허용 방침을 백지화하고 불합리한 각종규정의 해제 또는 완화와 학원설립시 인가·등록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것을 등록으로 일원화하며, 학원의 시설 규모를 지역별, 교습과정별로 지역의 실정에 맞게 시·도의 조례로 정하되 과도하게 규정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1995. 8. 4)과 동법률시행령(1996. 2. 9)을 개정·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는 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 및 동법시행령이 전문 개정됨에 따라 현조례의 불합리한 규정을 해제 또는 완화하여(설립자 및 위치 변경 제한 규정, 학원과 교육환경 유해업소와의 인접한 장소의 범위, 부제교습 횟수 등) 학원 설립·운영의 자율성을 신장하기 위해 규제와 통제 위주에서 자율과 경쟁 체제를 유도하고 학원의 사회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제고시키고자 학원의 시설 규모를 현실에 맞게 하향 조정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불법 변태로 학원을 운영해 오던 소규모학원들이 학원 운영의 정상화를 도모코자 교습과정에 단과학원의 신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부산광역시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조례 개정(1997. 2. 24)과 부산광역시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규칙을 제정(1997. 4. 3)·시행하였다.

  따라서 그 동안 불법·변태 운영 및 등록외 교습과정을 운영해 온 소규모학원(주산, 속셈, 어학 등)은 중·고등학교 일반과목을 교습할 수 있는 단과학원의 교습과정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이와 아울러 지도·단속도 강화하였으며, 교육청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시정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불법·탈법 운영하는 학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청·검찰 합동 지도·단속을 실시(1997. 12. 1~1998. 2.28)하여 237개 학원에 대해 약식 기소, 벌금형을 선고하였다.

  한편 1997년 12월부터 시작된 우리 경제에 대한 IMF관리 체제는 사설 학원에 대해서도 큰 변화를 요구하였다. 경기 침체 및 불황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량 실업은 가계 소득의 감소와 이로 인해 학원 수강생이 감소하였으며, 그 동안 학부모의 과열 교육열에 힘입어 특수를 누려 왔던 각종 사설 학원들이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학원간의 통·폐합 및 시설 규모 축소 등 생존을 위한 자구 노력에 안간힘을 쏟았고, 자진 폐업 등으로 사설학원수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우리 경제에 대한 IMF관리 체제는 우리 사회의 많은 변화를 요구하였으며 그 중에서 규제의 완화는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법령에 근거없는 모든 규제에 대해 1999. 3. 1부터 효력을 상실하도록 하는 행정규제기본법을 제정·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규제개혁위원회는 법령 미근거 규제의 정비를 1998년말까지 모두 정비를 완료하도록 하고 1999년까지 시·도조례 및 규칙을 개정하도록 시달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서 학원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을 개정(1999.1.18공포)하게 되었다. 그 주요내용으로는 ①법 위반행위에 대한 형벌과 과태료를 강화함으로써 학원 등의 운영에 대한 책임성을 높이고 ②행정규제기본법에 의한 규제정비계획에 따라 재학생에 대한 과외교습기간의 제한 규정을 삭제하며 ③일정규모이상의 학원에는 반드시 두도록 규정하고 있는 사회교육전문요원의 의무배치제도를 폐지하고 ④과외교습소의 교습과목에 대한 규제를 완화한 것이다.

  또한, 동법률시행령을 개정(1999. 5. 10)하여 ①학원과 유해업소간의 거리제한을 완화하고 ②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원이 등록·운영할 수 있는 교습과정을 확대하여 1학원에서 2이상의 교습과정을 등록·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③의무적 필수시설로 되어 있는 사무실 및 양호실을 임의적 권장시설로 변경함으로써 학원의 시설기준을 완화하였으며 ④대학졸업자의 경우 전공과 관계없이 학원강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등 학원강사의 자격기준을 완화하는 한편, ⑤학습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학원이 교습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학습자가 수강 등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에 수강료의 일정액을 반환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법률시행규칙을 개정(1999. 6.15)하여 ①학원설립·운영자 등록신청시 제출서류 및 비치서류를 간소화시켜 민원사무의 처리기간을 단축하여 민원인의 행정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 소관 조례 등의 개정을 촉구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학원설립·운영에관한조례(2000. 1. 1) 및 규칙(2000. 6. 10)을 개정하여 ①학원과 교육환경유해업소와의 거리제한 범위 완화 ②학원 및 교습소의 교습시간과 부제교습횟수 폐지 ③실험실습 또는 실기 등이 필요한 학원의 과정별 반당 정원기준 변경(실습실 면적→제곱미터당 수용인원) ④학원의 시설설비 기준의 일부 신설 및 변경 ⑥실습장의 설치가능 장소를 부산광역시내에서 인접지역까지 완화 ⑦건물을 임차하는 경우 임차기간 제한 규정삭제 ⑧학원시설을 활용한 평생교육관련 규정중 평생교육법의 적용대상 규정을 삭제하였다.

  정부의 규제완화 조치로 학원의 자율성이 크게 신장되면서 학원의 설립 및 폐업이  한결 수월해지고 이에 따른 민원도 급증하게 되었다. 서점조합은 학원에서 수강생들에게 편의제공을 명분으로 하는 교재판매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로 인하여 부산광역시학원설립·운영및과외교습에관한규칙에 학원내에서의 교재판매 등 상거래행위에 대한 벌점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으로 동 규칙을 개정하였다. 또한 교육부 2001년 국정감사결과 법규위반학원에 대한 시·도별 과태료부과기준이 각시도별로 달라 형평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형평성에 맞게 개선하도록 시달되어 규칙을 개정(2001. 4.13)하였다.

  2000. 4.27일, 헌법재판소에서는 과외교습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학원관련법 조항 및 그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조항이 위헌이라고 결정함에 따라 관련조문을 정리하고 전면적으로 허용된 개인 과외교습의 투명성을 높여 과외교습으로 인한 사회적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인 과외교습에 대하여 신고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 학원관련법령의 제명을 학원설립·운영및과외교습에관한법률 등으로 개정(2001. 4. 7, 시행일 2001. 7. 8)하여 개인과외교습자의 신고내용 및 절차를 규정하였고 부산광역시학원설립·운영및과외교습에관한조례(2002. 1. 1)와 동 규칙(2001. 8. 8, 2002. 2.16)을 개정하여 개인 과외교습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감독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또한 '86아시아경기대회, '88올림픽에 대비하여 학원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교통질서 확립과 자동차 운전기술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1984. 4월, 사설강습소에관한법률 개정 및 1985. 3월, 동법시행령 개정에 의하여 위탁기간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경찰청에 위탁하였던 자동차운전학원에 관한 관계규정이 도로교통법에 포함되고 학원법에서는 삭제됨에 따라 부산광역시학원설립·운영및과외교습에관한조례에도 자동차운전학원관련 조항을 삭제(2002. 1. 1)하였다.

  학교불신, 사교육비의 증가, 학교폭력, 교원사기저하 및 불만고조 등으로 인해 공교육의 부실화가 초래되어 2002. 3.18일, 교육인적자원부의 공교육내실화 대책이 발표되었으며, 학부모들의 사교육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학교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학원에서의 심야교습행위, 불법·위법·탈법 행위에 대한 지도 점검을 보다 철저히 하고, 투명한 학원운영 및 세원탈루 방지를 위하여 수강료의 온라인 입금제를 권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학원에서의 선행학습행위는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수그러들지 않고 있으며, 온라인 입금제의 실시는 법령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공무원의 지도, 권장에 의존하므로써 빠른 확대 실시보다는 학원연합회의 자율활동으로 카드기 설치 등 온라인 입금제가 확대되고 점차적으로 학원의 자율화에 의한 제도적 정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기술계 학원 수강생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대학 미진학 청소년 등을 산업인력 공급원으로 유인하여 인적자원 배분의 효율성 도모하기 위해서 2002.11. 1일부터 기술계학원 장기과정 수강자들에게 수강료 융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2) 學院의 現況


  ① 분야별 학원현황

(2002. 12월말 현재 기준)

구   분

학원수

(개소)

수강자수

(명)

이수자수

(명)

강사수

(명)

직원수

(명)

평균수강기간(월)

월수강료(원)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총    계

4,070

278,250

414,623

10,986

3,142

66

1

180,000

40,000

기술분야

453

36,052

41,722

1,515

479

66

3

180,000

65,000

문리분야

1,499

143,999

281,117

5,610

1,513

60

5

170,000

50,000

예능분야

2,033

92,639

85,770

3,690

1,083

50

1

113,000

55,000

경영실무분야

85

5,560

6,014

171

67

40

1

170,000

40,000

독 서 실

320

28,756

65,623

336

147

99

-

66,000

50,000

자료 : 부산광역시교육청

주  : 독서실 수는 총계에 불포함


  ② 연도별 학원수 현황

(단위 : 개소)

      연도

구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학원수

4,657

4,817

4,842

5,509

5,587

4,868

4,292

4,507

3,897

4,070

독서실

353

394

1,140

1,096

480

495

476

454

342

320

자료 : 부산광역시교육청


2. 圖書館


1) 公共圖書館 沿革


도서관명

연                혁

시민도서관

·1901.10      홍도회 부산지부에서 설립

·1911. 5      사립부산교육회에서 승계 운영

·1919. 4      부산부에 이관 부산부립도서관으로 운영

·1948. 8      부산시립도서관으로 개칭

·1963. 8. 5    동광동에서 부산진구 부전동으로 신축 이전

·1968.11.20    동래분관 개관(동래구 복천동 462-2)

·1976. 1.22    수정분관 개관(동래구 수정동 1073-1)

·1982. 4. 8    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으로 개칭

·1982. 8.17    부산진구 초읍동 산51-1로 신축 이전 개관

·1995. 1. 1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으로 개칭

시민도서관

·1996.10. 1    동래분관 폐관

·1998.12.30    전자정보실 개설

·1999. 1. 1    수정분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으로 소속 변경

·1999. 5.14    홈페이지 개설(www.siminlib.go.kr)

·1999. 9. 9    위성방송수신코너 개설

·2000.12.18    부산시립공공도서관 약사 발간(70~80년대)

·2000. 7.13    부산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지정

·2000. 8      에너지 절약(에스코) 교체

·2000.12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2000.12.21    부산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홈페이지 개설

·2001. 5      이동도서관(35인승) 차량 교체

·2001. 6      가족독서회원제 실시

·2001. 8.14    범시민기증도서 모집 캠페인 진개(21,000권 지하철문고 기증)

·2001. 9.14    고문헌실 확장 이전 개관

·2001.10.20    도서택배 대출제도 운영

·2001.11      화장실 전면 개량

·2001.12.10    특수자료실 폐지

·2002.12.20    부산시민도서관 100년사(1901~2001) 발간

중앙도서관

·1987.12.16    내무부 특별지원사업계획에 의거 설립 추진

·1988.10.17    도서관 건물공사 착공

·1989. 8.17    부산직할시립중앙도서관 설립(부산시조례 제2621호)

·1989.12.22    도서관 건물 준공

·1990. 4.28    개관

·1995. 1. 1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지방자치법 개정)

·1999. 1. 1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수정분관 인수

·1999.11.26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수정분관 개축 개관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12.18    디지털 자료실 설치(홈페이지 www.joonganglib.busan.kr)

·2002. 7.24    용호 평생학습마을 개소

부전도서관

·1963. 8.15    부산시립도서관 신축

·1982. 4. 8    부산직할시립부전도서관 설립(부산직할시조례 제1716호)

·1982. 8.17    개관

·1987. 8. 8    자료실 개가제 실시

·1992. 4. 1    도서관 업무 전산화 실시

·1996.10. 7    도서분실방지시스템 설치

·1996.12. 6    열람실(2실)의 자료실 전환(참고실·정간실 분리, 교양강좌실 신설)

·1998. 3.17    진학정보특성화 도서관 지정(진학지도정보자료실, 직장문고 신설)

·1999.12.30    도서관 전산업무 UNIX체제로 전환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 2.10    홈페이지 개설(http://www.bjl.go.kr)

·2001.10.30    도서관 전산업무 KOLASⅡ로 전환

반송도서관

·1978. 1. 6    반송도서관 설립(부산직할시조례 제1192호)

·1978. 3.28    반송도서관 개관

·1987. 8.11    개가제 실시

·1992. 1. 1    무료입관제 실시

·1995. 1. 1    시립반송도서관으로 명칭변경(지방자치법 중 개정법률 제4789호)

·1996. 5.14    어린이실 설치

·1997. 5. 1    문학자료실 및 멀티미디어실 설치

·1998. 3.25    사학특성화 자료코너 설치

·1998. 8.29    교양강좌실 설치

·1999.11. 3    공공도서관 전산협력망 구축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 2.28    홈페이지 개설(www.bansanglib.or.kr)

·2001. 9      지하대피시설 철거 및 야외휴게소 설치

·2002. 6.14    디지털자료실 설치

·2002. 6.14    사학자료실·문화강좌실 설치

해운대도서관

·1981. 8. 7    부산직할시립해운대도서관설립(부산직할시 조례 1572호)

·1982. 6.10    개관

·1987. 8.18    전면개가제 실시

·1991.12. 7    아동열람실 개설

·1995. 1. 1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으로 명칭 변경

·1998. 4. 1    관광여행정보실 개설

·1998. 9.26    공공도서관 전산협력망 구축

·1999. 1. 1    기장도서관을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 기장분관으로 소속변경

·2000.11. 1    시범도서관 지정(2001~2002)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12. 4    디저털자료실 개설(홈페이지 www.haeundaelib.or.kr)

·2002. 3. 1    평생학습마을 운영

구덕도서관

·1978. 1.16    부산직할시립구덕도서관 설립

·1978. 3.28    구덕도서관 개관

·1992. 1. 1    무료 입관제 실시

·1995. 1. 1    부산광역시립구덕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지방자치법개정)

·1996. 8.27    종합자료실, 어린이실 설치

·1998. 2. 3    건강자료 특성화 도서관 지정

·1998.12. 1    공공도서관 전산협력망 구축

·1999. 8. 2    정원 휴게실 설치

·2000. 3. 1    주차장 설치

·2000. 9. 9    문화강좌실 설치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 3. 2    홈페이지 개설(http://www.guducklib.busan.kr)

·2001. 4. 2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서동도서관

·1982. 9. 6    서동(동래)도서관 착공

·1983. 1. 6    부산직할시립서동도서관 설립

·1983. 2.28    서동도서관 준공

·1983. 5.18    개관

·1987. 8. 1    자료실 개가제 실시

·1995. 1. 1    부산광역시립서동도서관으로 명칭 변경

·1996. 6.14    종합자료실, 어린이실 설치

·1998. 4. 2    환경특성화자료실 설치

·1998.11. 3    공공도서관 전산협력망 구축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1. 1. 1    홈페이지 개설(http://www.seodonglib.or.kr)

·2002.10. 1    디지털자료실 개설

구포도서관

·1983. 7.19    개관

·1985.11.29    개가제운영 시범도서관 지정

·1992. 1. 1    무료입관제 실시

·1996.11.28    도서분실방지 시스템 설치

·1997. 6. 2    도서관업무 전산화 시스템 완료

·1998. 3.17    공업자료 특성화 도서관 지정

·1999. 7.10    어린이열람실 이전 확장

·2000.10. 4    UNIX용 KOLAS 도입

·2000.11.25    부산광역시 평생학습관 지정

·2000.12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www.gugolib.or.kr)

·2000.12      진입로 확장 및 정문 이설

·2001. 6.13    종합자료실 설치

·2001.10      열린 도서관 조성(담장철거 및 공원조성)

·2002. 7.30    대림평생학습마을 개소

·2002. 8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하도서관

·1984. 7. 5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설립

·1984. 7.27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준공

·1984. 9.25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개관

·1987. 8. 6    개가제 실시

·1989. 4. 1    어린이실 개설

·1991. 4. 1    문학실 개설

·1994. 6. 8    문학실 2층 확충 이전

·1998. 3. 3    취업정보자료실 개설

·2000.11.25    부산광역시평생학습관 지정

·2001. 1.20    홈페이지 개통(http://www.sahalib.pusan.kr)

·2001. 2.28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2002. 1.30    별관건물 신축 준공

·2002. 1.30    어린이실 확대 개관

·2002. 3. 5    평생학습마을 선정(사하구 하단동 가락 2·3단지 소재)

연산도서관

·1986. 9.27    부산직할시립연산도서관 설립(부산직할시 조례 제2175호)

·1987. 3. 6    개관

·1987. 9.23    종합자료실 개가제 실시

·1989. 1.17    도서관 업무 전산화

·1995. 1. 1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지방자치법 개정)

·1995. 9.14    도서관운영위원회 구성

·1996. 6.20    어린이실 설치

·1997. 1. 3    종합자료실 확충

·1998. 3.20    해양·수산 특성화 코너 설치

·1998.11. 9    도서관 협력망 구축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0.12.19    도서관 홈페이지 개설(http://yeonsanlib.pusan.kr)

·2002. 9. 4    평생학습마을 개설

·2002.12.27    디지털자료실 개설

명장도서관

·1993. 2.17    도서관 건물 신축 착공

·1993. 9. 4    도서관 건물 준공

·1994. 1.25    부산직할시립명장도서관 설립(부산시 조례 제3083호)

·1994. 3.29    개관, 도서관 전산화 완료(LAN 설치)

·1995. 1      시립명장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지방자치법중 개정법률 제4789호)

·1995.10. 5    종합자료실 설치

·1997. 2.11    전자자료실 설치

·1998. 2. 1    전자자료 특성화 도서관 지정

·1998.11.25    공공도서관 전산협력망 구축

·1998.12.30    보존서고 설치

·2000. 9.28    유닉스 서버 설치

·2000.11.25    평생학습관 지정

·2000.12. 1    홈페이지 개설 운영(www.mjlibrary.or.kr)

·2002. 5.14    디지털자료실 개설(전자자료실 확대개편)

·2002. 8. 1    평생학습마을 개소·운영

·2002.12.17    어린이인터넷실 설치

자료 : 부산광역시교육청


2) 市立圖書館 職員‧施設‧藏書‧觀覽 現況

(2002. 4. 1 기준)

구   분

설립일

직원수

(명)

열람석

(석)

장서수

(권)

연간이용자수

(명)

연간이용책수

(권)

예산액

(천원)

(11개소)

 

284

7,294

1,426,325

4,760,165

9,887,202

3,323,782

시민도서관

1901.10. 1

56

2,375

432,823

989,782

2,760,967

154,350

중앙도서관

1990. 4.28

53

1,787

156,839

906,119

2,288,240

482,030

부전도서관

1982. 4. 8

25

506

145,822

699,587

1,537,816

1,026,991

반송도서관

1978. 1. 6

18

310

99,396

285,929

592,534

171,190

해운대도서관

1981. 8. 7

22

429

115,102

400,295

485,848

184,195

구덕도서관

1983. 1.16

17

408

96,177

255,960

234,623

165,693

서동도서관

1983. 1. 6

18

204

69,780

216,110

496,636

588,094

구포도서관

1983. 7.19

18

405

74,882

317,413

388,875

62,584

사하도서관

1984. 7. 5

19

184

73,618

211,430

347,185

161,442

연산도서관

1986. 9.27

19

300

65,926

269,254

384,397

155,738

명장도서관

1994. 3.29

19

386

95,960

207,886

370,081

171,475

자료 : 부산광역시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