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13章  産業經濟

第1節 經濟政策


1. 槪 說


1) 1990年代의 釜山經濟


  1980년대 후반 환율, 금리, 유가 등의 3저 영향으로 이례적인 호황을 지속하였던 부산경제는 1991년 걸프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세계경제 침체 등과 같은 대외적인 불안요인과 장기호황을 겪는 과정에서 형성된 고비용-저효율의 구조 등으로 그 활력이 크게 떨어졌다. 특히, 1997년 11월에는 IMF를 맞이하여 금리 및 물가의 상승, 기업의 도산과 구조조정 등으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1998년 경제성장률은 -6.7%를 나타나는 등 심각한 경제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1990년대 부산의 경제는 신발, 섬유 등을 중심으로 한 저부가가치의 산업구조와 더불어 제조업의 수출부진 등으로 저성장을 지속하게 되었으며, IMF와 관련하여 종합금융회사 5개가 모두 폐쇄 또는 합병되는 등 지역금융구조의 급격한 개편과 아울러 이로 인한 기업의 자금난으로 부산지역의 기업은 대규모 부도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산시는 1970년대 정부의 대도시 성장억제정책으로 인한 지역기업들의 시외이전 가속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녹산국가산업단지의 조성, 신평·장림지방산업단지 완공(1984년), 정관농공단지 조성(1989년), 신평·장림협업화산업단지 조성(1992년) 등의 산업입지 여건을 개선하였고, 삼성자동차의 유치(1994년) 등으로 경공업중심의 산업구조를 성장산업으로 개편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또한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부산이 가지고 있는 천혜의 항만기능을 활성화시켜 물류산업 등의 항만관련산업 육성 및 국제교역의 중심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가덕도 신항만(1997년 11월 착공)을 개발하고 지역기업의 원활한 자금지원과 금융지원 중추관리기능 확보를 위하여 한국선물거래소 유치(1998년 9월) 및 문현금융단지 조성(1996년 10월 착공) 등 항만물류산업과 관광산업, 금융산업, 소프트웨어산업, 영상산업의 성장유망사업과 자동차·부품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신발산업, 섬유·패션산업, 수산·가공산업의 구조고도화산업인 10대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향후, 부산은 산업입지 여건의 개선과 산업구조 고도화, 지역특화산업의 육성, 중추관리기능의 확보, 10대 전략산업 육성시책의 내실있는 추진으로 동남경제권의 중추도시이자 동북아 해상무역의 국제교류거점 해양도시로서 경쟁력을 갖춘 국제도시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2) 2000年代의 釜山市 經濟政策


  외환위기를 조기에 극복한 부산경제는 2000년대 들어 각종 경제지표상 꾸준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국 및 타 시·도와의 격차가 완화되고 있고, 또한 각종 국제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로 인해 지역브랜드 이미지가 대폭 개선되어 기업활동 여건개선에도 커다란 성과가 있었다.

  2000년대의 부산경제는 일자리 찾기를 통한 고용안정 실현, 녹산산업단지의 입주활성화로 산업기반 구축,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및 신발진흥센터 설립, 디자인센터유치 등의 산업인프라 확충 등을 통하여 부산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보완하고 새로운 국제환경에서 도약하기 위한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역경제부문에서는 바이오기업지원센터(2002년 1월) 및 기술거래소(2002년 3월), IT벤처센터(2002년 7월), 정보산업진흥원(2002년 10월) 등을 설립하여 산업구조 고도화에 노력하였으며, 금융단지 입주업체 조기 건축요건 조성 및 LME 창고 지정(3개소),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개소(2000. 12월), 지역디자인센터를 유치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도시 만들기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문화·관광부문에서는 부산비엔날레 및 부산국제영화제 개최, 아시아영화진흥기구(NETPAC)의 본부 유치(2002년 11월) 등 국제문화행사의 성공적 개최와 아울러 영화·영상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아·태도시관광진흥기구(TPO)의 창설(2002년 8월) 및 센텀시티 관광특구 확대 지정(2002년 4월) 등 관광도시의 기반확충과 국제도시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항만·수산부문에서는 컨테이너처리 세계 3위(2001년 대비 11% 증가, 900만 TEU)의 위상 유지 및 부산항만공사의 설립 추진(2004년 1월 개소예정) 등을 통하여 항만기능 강화 및 시설확충을 꾀하였으며, 공영수산물도매시장 건설(감천항) 및 국제수산물거래소 설치(2005년 개장예정) 등을 통하여 국제수산물류·무역 중심도시 육성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부산의 주요경제지표 현황

구        분

단  위

규        모

기준년도

부  산

전  국

전국비중

면              적

762

99,538

0.8

2001

인              구

경 제 활 동 인 구

천명

천명

3,786

1,768

48,289

22,877

7.8

7.7

2001

2002

지 역  총  생 산

1 인 당 지 역 총 생 산

10억원

천원

32,759

8,814

534,440

11,289

6.1

-

2001

2001

공    업    용    지

45.5

721.09

6.3

2001

제 조 업 체 수

제 조 업 체 종 업 원 수

개체

9,813

183,494

105,873

2,647,995

9.3

6.9

2001

2001

제 조 업 출 하 액

제  조  업  부 가 가 치

십억

십억

20,949

8,596

583,218

221,860

3.6

3.9

2001

2001

수  출

수              입

백만달러

백만달러

4,387

4,852

147,648

137,550

3.0

3.5

2002

2002

항  만  물  동  량

수  출  물  동  량

컨 테 이 너  물 동 량

천톤

천톤

천TEU

165,676

72,403

9,453

935,125

181,232

11,890

17.7

40.0

79.5

2002

2002

2002

건 축 허 가 면 적

천㎡

11,398

97,717

11.7

2002

예 금 은 행 예 금

예 금 은 행 대 출 금

어  음  교  환  액

억원

억원

10억원

341,474

311,431

90,934

5,124,194

4,716,843

10,834,500

6.7

6.7

0.8

2002

2002

2002

외  국  관  광  객

2,000,439

5,347,328

37.4

2002

자  동  차  대  수

921,084

13,949,440

6.6

2002

전  력  사  용  량

천MWH

14,352

278,924

5.1

2002

실 업 률

%

3,6

3.1

-

2002

도  로  율

%

17.9

20.6

-

2002

주 택 보 급 률

%

92.5

100.6

-

2002

하 수 도 보 급 률

%

78.2

87.6

-

2002

상 수 도 보 급 률

%

98.8

97.0

-

2002

자료 : 경제정책과

  주  : 도로율, 하수도보급률, 상수도보급률의 전국규모는 7대 주요도시의 규모임


최근 10년간 주요경제지표 추이

구   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지역내총생산

(10억원)

부산

18,962

21,338

24,135

26,883

27,760

27,225

29,366

30,305

32,759

-

전국

270,858

310,369

357,722

398,639

432,195

424,757

465,440

503,452

534,440

-

전국대비 비중(%)

7.00

6.88

6.75

6.74

6.42

6.41

6.27

6.02

6.13

-

1인당 총생산(천원)

4,939

5,547

6,265

6,991

7,234

7,113

7,694

7,962

8,814

-

산업생산

(’00=100)

부산

106.8

106.7

106.5

105.5

99.0

84.7

89.1

100

107.7

120.0

전국

52.2

58.0

64.9

70.4

73.7

68.9

85.6

100

101.3

108.7

중소기업

조업률(%)

부산

86.8

88.7

89.0

87.6

85.3

70.0

68.3

74.1

75.9

80.5

전국

77.9

81.3

81.0

80.7

79.2

68.0

76.6

78.3

73.7

76.8

실업률

(%)

부산

4.4

4.2

3.5

3.4

3.9

8.9

9.1

6.4

5.2

3.6

전국

2.8

2.4

2.0

2.0

2.6

6.8

6.3

4.1

3.7

3.0

실업자(천명)

74

71

62

60

70

156

159

113

91

64

수  출

(백만달러)

부산

6,007

6,058

6,463

6,227

5,949

5,084

5,145

5,444

4,567

4,836

전국

82,236

96,013

125,058

129,715

136,164

132,313

143,685

172,268

150,439

147,648

전국대비 비중(%)

7.30

6.31

5.17

4.80

4.37

3.84

3.58

3.16

3.0

3.0

수  입

(백만달러)

부산

4,371

4,851

5,738

5,900

5,261

3,190

3,864

4,422

4,309

4,852

전국

83,800

102,348

135,119

150,339

144,616

93,282

119,752

160,481

141,098

137,550

어음부도율

(%)

부산

0.48

0.58

0.47

0.44

0.87

1.98

0.48

0.46

0.48

0.44

전국

0.13

0.17

0.20

0.17

0.52

0.52

0.43

0.40

0.38

0.11

부도업체수(개)

1,140

1,206

1,387

1,223

1,924

2,546

622

593

511

423

물가상승률

(%)

부산

4.3

6.9

4.5

5.3

5.2

7.9

1.3

2.0

4.1

2.6

전국

4.8

6.3

4.5

4.9

4.4

7.5

0.8

2.3

4.1

2.7

신 설 법 인(개)

1,225

1,863

1,867

2,355

2,490

2,387

3,223

3,255

3,578

3,620

시외이전업체(개)

97

130

110

147

176

164

141

247

251

296

자료 : 경제정책과


2. 生産과 就業構造


1) 地域內 總生産


  부산의 지역내 총생산은 1993년 18조 9,617억이었던 것이 점차 증가하여 2001년에는 32조 7,594억원으로 1993년과 비교하여 72.8% 증가하였으며, 1997년 IMF의 영향으로 1997년과 1998년에는 감소하였으나 1999년 이후에는 꾸준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

  부산의 지역내 총생산을 전국의 지역내 총생산과 비교해 보면, 1985년 이후 2000년까지는 전국 성장률을 하회하는 수준이었으나 2001년에는 9.0% 성장하여 경남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지역경제가 이전의 침체에서 벗어나 새로이 도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02년에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9% 내외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총생산(GDRP)과 증감률 추이

(단위 : 10억원, %)

연도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총생산액(10억원)

18,962

21,338

24,134

26,883

27,760

27,225

29,366

30,305

32,759

증감률(%)

3.6

7.1

6.0

7.7

-0.4

-7.6

7.4

5.2

9.0

전국구성비(%)

7.0

6.9

6.7

6.7

6.4

6.4

6.2

6.0

6.1

자료 : 통계청(2001년 부산의 지역내총생산)

산업별 GRDP 성장률 추이

(단위 : %, 배)

             연도

   구분

1995

1997

1998

1999

2000

2001

 

 

 

01/954)

기여도1)

기여율2)

구성비3)

부산광역시

6.0

-0.4

-7.6

7.4

5.2

9.0

9.00

100

100

1.36

농림어업

26.0

16.6

-14.3

-5.3

-10.0

4.6

0.09

1.0

2.1

1.12

제 조 업

1.0

-5.3

-18.1

8.7

11.0

13.0

2.36

26.2

18.3

1.14

기가스수도사업

1.0

0.7

5.9

7.2

11.8

0.5

0.02

0.2

3.7

3.74

건 설 업

9.3

-5.9

-14.9

-17.7

-0.7

10.3

0.81

9.0

8.2

0.88

도소매업

9.3

-2.1

-7.3

7.0

7.5

4.0

0.62

6.9

16.1

1.39

음식숙박업

8.1

3.1

-13.8

3.8

6.7

7.2

0.19

2.1

2.9

1.30

운수창고

3.6

6.6

12.5

17.7

9.0

23.5

3.14

34.9

10.6

1.61

통 신 업

2.9

12.0

20.2

9.3

19.0

13.4

0.62

6.9

3.6

1.87

금융보험업5)

4.7

-14.0

-25.6

73.3

4.1

-10.8

-0.40

-4.4

4.0

1.53

부동산사업서비스

6.9

2.8

-8.5

12.8

-3.3

5.1

0.67

7.4

13.0

1.32

사회및개인서비스

9.3

5.3

-3.6

11.3

0.4

11.8

0.69

7.7

7.5

1.84

정부서비스생산자

6.3

-1.1

-3.9

1.2

2.7

-1.0

-0.06

-0.7

7.4

1.46

민간비영리단체

2.2

5.7

-2.7

-4.1

1.9

8.7

0.24

2.7

3.5

1.67

자료 : 한국은행, 지역내총생산 추이

  주  : 1) 해당산업의 GRDP 증분/2000년 전체 GRDP*100

         2) 해당산업의 기여도/전체성장률×100

         3) 명목기준

         4) 명목기준 95년 대비 2001년 GRDP의 배수임. 1보다 크면 95년에 비해 생산증가를, 1보다 작으면 생산감소를 나타냄

         5) 금융귀속서비스 제외


2) 産業構造


  1993년 부산의 산업구조는 농림·어업부문이 2.7%, 광공업부문이 24.3%, 건설 및 전기가스·수도업부문이 12.7%, 서비스업 및 기타부문이 60.3%를 차지하던 것이 2001년에는 농림·어업부문이 2.1%, 광공업부문이 18.3%, 건설 및 전기가스·수도업부문이 11.8%, 서비스업 및 기타부문이 67.8%를 차지하였다.

  부산의 산업구조는 농림·어업부문과 광공업부문, 건설 및 전기가스·수도업부문은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 및 기타부문은 증가하여 산업구조가 점차 3차산업(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별 취업인구면에서도 1993년에는 1차산업 34천명, 2차산업 491천명, 3차산업 1,071천명이던 것이 2002년에는 1차산업 31천명, 2차산업 366천명, 3차산업 1,320천명으로 나타나 산업별 취업인구도 3차산업 위주로 점차 개편되고 있는 추세이다.

산    업    구    조

(경상가격 기준, 단위 : %)

연도

농림·어업

광 공 업

건설및전기

가스 수도업

서비스업및 기타1)

1993

2.7

24.3

12.7

60.3

1994

2.3

22.5

13.9

61.3

1995

2.6

21.8

13.8

61.8

1996

2.7

20.1

15.2

62.0

1997

3.4

18.5

14.7

63.4

1998

2.8

18.1

13.5

65.6

1999

2.6

18.4

11.6

67.4

2000

2.2

18.3

11.7

67.8

2001

2.1

18.3

11.8

67.8

자료 : 통계청 부산통계사무소(2001년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

  주  : 1) 도소매·음식숙박업, 운수·창고·통신업, 금융·보험업, 부동산임대사업, 사회 및 개인 서비스업, 정부 및 민간비영리서비스 생산자


산 업 별   취 업 인 구

(단위 : 천명, %)

구  분

합     계

(전산업)

1  차 산 업

(농림어업)

2 차 산 업

(광공업)

3  차  산  업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1993

1,597(100.0)

34(2.1)

491(30.8)

1,071(67.1)

1994

1,625(100.0)

36(2.2)

463(28.5)

1,125(69.2)

1995

1,701(100.0)

57(3.4)

447(26.3)

1,197(70.4)

1996

1,700(100.0)

51(3.0)

422(24.8)

1,226(72.1)

1997

1,704(100.0)

51(3.0)

400(23.5)

1,253(73.5)

1998

1,604(100.0)

39(2.5)

374(23.3)

1,190(74.2)

1999

1,584(100.0)

41(2.6)

381(24.0)

1,163(73.4)

2000

1,645(100.0)

40(2.4)

384(23.4)

1,220(74.2)

2001

1,654(100.0)

33(2.0)

371(22.4)

1,250(75.6)

2002

1,716(100.0)

31(1.8)

366(21.3)

1,320(76.9)

자료 : 통계청 부산통계사무소(부산광역시 고용동향)


3) 經濟活動人口


  최근 10년간의 부산지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인 59%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1997년말 외환위기 당시 일시적으로 58%대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을 보였으나 2002년에는 평균 수준인 59.6%의 경제활동참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1993년 이후 3~4%대를 유지하던 실업률은 1997년말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998년에는 8.9%, 1999년에는 9.1%로 높아졌으나 2002년에는 3.6%의 실업률을 유지하는 등 최근 전국 평균을 하회하는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경제활동인구동향

(단위 : 천명, %)

구  분

노 동 가 능 인 구 (15세 이상)

경제활동

참 가 율

실업률

경 제 활 동 인 구

비 경 제

활동인구

소  계

취업자

실업자

1993

2,802

1,671

1,597

74

1,131

59.6

4.4

1994

2,830

1,695

1,625

71

1,135

59.9

4.2

1995

2,914

1,763

1,701

62

1,152

60.5

3.5

1996

2,943

1,760

1,700

60

1,183

59.8

3.4

1997

2,963

1,774

1,704

70

1,189

59.9

3.9

1998

2,979

1,760

1,604

156

1,219

59.1

8.9

1999

2,984

1,743

1,584

159

1,241

58.4

9.1

2000

2,987

1,758

1,645

113

1,229

58.9

6.4

2001

2,986

1,745

1,654

91

1,241

58.4

5.2

2002

2,985

1,780

1,716

64

1,205

59.6

3.6

자료 : 통계청 부산통계사무소(부산광역시 고용동향)


4) 産業活動 動向(生産)


   부산지역의 산업활동 동향은 1997년말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998년에는 산업생산지수는 84.7, 출하지수 86.7, 재고지수 81.3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최근 완연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2년의 산업생산지수는 전국이 108.7로 2001년과 대비하여 7.3%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부산은 120.1로 2001년 대비 10.5%의 증가율을 보였고, 서울 및 인천, 대구 등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보면 부산의 산업활동은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출하·재고지수 추이

(2000=100)

구 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생 산

106.8

106.7

106.5

105.5

99.0

84.7

89.1

100.0

107.7

120.1

출 하

107.1

106.8

107.5

106.8

101.5

86.7

90.3

100.0

104.5

114.9

재 고

66.4

71.2

66.6

80.4

81.6

81.3

89.7

112.2

116.9

136.1

자료 : 부산통계사무소(부산지역 산업활동동향)

  주  : 계절조정 전 수치, 재고는 연말 분기말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