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10節 區別 沿革


1. 中   區


  통일신라시대 양주 동래군 동평현에 소속되었다가 고려시대 울주군 동래현, 조선시대에는 동래부로 개칭되었으며, 강화도조약 체결후 개항과 더불어 전국 각처에서 모인 상인들이 현재의 영주터널위에 정착함으로써 새로운 마을이 생겼으며, 1957. 1. 1일 중구로 승격되었고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현재는 행정, 금융, 정보통신 등의 다중업무지역, 자갈치시장, 용두산공원, PIFF광장 등의 문화관광중심지, 1·2부두, 중앙부두, 국제·연안여객부두 등의 부산항 관문지, 광복로, 남포동, 국제시장 등 상가시장 밀집지역으로 유명하다.

중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757년

1914. 4. 1

1951. 9. 1

1957. 1. 1

1988. 5. 1

1999. 1. 1

2000.12. 1

○ 양주 동래군 동평현에 편입(신라 경덕왕)

○ 부산부에 편입

○ 중부출장소 설치

○ 중구로 승격(구제실시)

○ 자치구제 실시(10개동)

○ 보수1, 2동이 보수동으로 통합(9개동)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8개소)


2. 西   區


  암남동 동물검역소 주변 해안가에서 신석기시대 말기 유적인 암남동 패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BC 2000년경 부터 해안가를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어 사람이 살아온 것으로 추정되며, 삼한시대에는 변한지역의 소국,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국, 고려시대에는 동래현, 조선시대에는 동래부에 소속되었다가 1957. 1. 1일 서구로 승격되었으며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현재 구덕산, 천마산, 장군산 등 빼어난 산세와 푸른 바다 송도, 부산의대, 동아대, 고신의대, 공동어시장 등 부산의 교육, 문화, 수산업 중심지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서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10.10. 1

1951. 9. 1

1957. 1. 1

1975.10. 1


1983.12.15


1988. 5. 1

1989. 1. 1

1998.10. 1




2000.11. 1

2003. 1. 1


○ 부산부에 편입

○ 서부출장소 설치

법률 제407호(1956. 12. 17 공포)로 부산시 구제(區制)실시(33동 1출장소)

○ 市조례 제870호(1970. 8. 30 공포)로 서구 사하출장소를 시직할 출장소로

    승격, 행정구역 분리

○ 대통령령 제11248호(1983.10. 8 공포)로 사하구 신설(사하출장소 13개동 관할)

    → 사하구 개청으로 법정구역 분리

○ 자치구 승격 개청(18개동)

區조례 제100호(1988. 12. 30 공포)로 초장동 일부를 토성동에 편입

○ 區조례 제421호(1998. 10. 1 공포)로 洞 통·폐합(18개동→15개동)

   ·부용동,  부민동   →  부민동

   ·토성동,  충무동   →  충무동

   ·아미1동, 아미2동  →  아미동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5개소)

○ 區조례 제592호(2003. 1. 20 공포)로 서구청사 이전

   ·서대신동 2가 270 → 토성동 4가 2의 3

3. 東   區


  동구지역은 일찍부터 항만을 끼고 발전한 관계로 외국과의 교역이 끊이지 않았고 상업이 발달했던 점으로 미루어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이라 여겨지며, 삼한시대에는 변한,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국, 신라·고려시대에는 동래부 동평면에 속했다.

  임진왜란때는 정발장군이 부산진성을 사수하다가 순절하였고 3.1독립만세운동이 부산에서 제일 먼저 일어나는 등 역사와 충절의 고장이며, 1957년 1월 1일 부산시 구제(區制) 실시로 동구로 명명되었고,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동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10. 1. 1

1913.12. 1

1914. 4. 1

1949. 8.15

1951. 9. 1

1957. 1. 1

1966. 1. 1

1970. 7. 1


1975.10. 1


1977. 7. 1

1982. 5. 1

1985.12. 1

1986. 7. 1

1987. 1. 1

1988. 5. 1

1989. 1. 1

1993.12. 1

1995. 1. 1

1998. 9.17


2000. 7.15

○ 동래군 부산면에 편입(초량동은 사중면에 편입)

○ 동래군 부산면, 사중면은 부산부에 편입

○ 부산부 부산면에 소속

○ 부산부를 부산시로 개칭

○ 부산시 초량출장소 설치

○ 부산시 구제(區制) 실시(중·서·영도·동·부산진·동래구) - 9개동

○ 18개동으로 분리

○ 초량4동이 초량4,6동으로, 좌천2동이 좌천2,4동으로, 범일4동이 범일4,6동으로

    분리(21개동)

○ 범일3동 일부를 남구에 편입, 일부는 범일2동과 범일5동에 편입, 범일3동

    폐지(20개동)

○ 범일4동 일부가 범일6동으로 편입, 수정4동 일부가 수정1동에 편입

중구 대창동3가가 초량동으로 흡수, 수정동 일부가 좌천3동으로 편입

○ 초량5동이 초량3동으로 흡수(19개동)

○ 초량3동 일부를 초량1동에 편입

○ 중구 영주2동 산1번지 일부가 초량1동으로 편입

○ 자치구제 실시

○ 부산진구 범천동 동천 일부가 동구에 편입

○ 중구 영주동(초원아파트)일부가 동구에 편입

○ 부산광역시 동구로 명칭 변경

○ 좌천1,2동을 통합하여 좌천1동으로, 좌천3동과 범일5동을 통합하여

    범일5동으로 명칭변경(17개동)

범일5동 일부를 범일2동으로 편입, 범일4동 일부를 좌천4동에 편입


4. 影島區


  동삼동(東三洞), 아치섬(朝島), 영선동(瀛仙洞) 바닷가 주변에서 발견된 조개무지(貝塚) 및 지금까지 출토된 유물을 통하여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삼한시대에는 변한(弁韓), 신라시대에는 가야(伽倻)연맹내에 있었던 거칠산국(居漆山國), 고려시대에는 동래현(東萊縣)에, 조선시대에는 동래부(東萊府)에 소속된 바 있고, 1957. 1. 1일 영도구로 승격되었으며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현재에는 한국해양대학교, 한진중공업, 대동조선 등 조선공업과 수산·해양의 요충지이며, 태종대, 절영계곡 등은 천혜의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영도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881년

1914년

1951. 9. 1

1957. 1. 1

1988. 5. 1

1994. 7. 1

1998.10. 1

2000.11. 1

○ 절영도진(絶影島鎭) 설치

○ 부산부에 편입

○ 영도출장소 설치

○ 영도구로 승격 (12개동)

○ 자치구 개청 (16개동)

○ 동삼1동이 동삼1,3동으로 분동

○ 과소동 통폐합(17개동 → 14개동)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4개소)


5. 釜山鎭區


  당감동(동평현)지역에서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삼한, 삼국시대 변한의 소국의 하나인 거칠산국에 속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신라시대에는 거칠산국 대증현, 조선시대에는 동래부 동평현, 동래구 서하면으로 변천되어 왔고, 1936년 부산부로 편입,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7년 부산진구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한 교통의 요충지로, 서면을 중심으로 현대식 시설을 갖춘 대규모 유통업과 각종 상가, 금융, 위생, 업무시설이 밀집하여 부산의 중심적 도시기능을 행하는 지역으로 부산의 맥을 이어가는 발전의 모태가 되는 지역이다.


부산진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36. 4. 1

1953. 9.10

1957. 1. 1

1975.10. 1

1989. 1. 1


1993. 7. 6


1993. 8. 3


○ 부산부 부산진출장소 설치(16리)

○ 대연출장소 설치(1936.4.1설치된 부산진출장소에서 분리되어 6동 관할)

○ 부산진구로 승격 (21개동)

○ 부산진구 구포 및 사상출장소를 통합, 시직할 북부출장소 설치(24개동)

○ 대통령령 제12557호(1988.12.22공포)로 區 경계 조정

   ·범천동 일부 → 동구와 남구로 각각 일부 편입

○ 區조례 제290호(1993.7.6공포)로 법정동 경계 조정

   ·초읍동 일부 → 연지동에 편입

○ 區조례 제291호(1993.8.3공포)로 행정동 및 법정동 경계 조정

   ·범천제2동 일부 → 부전제2동에 편입

1995. 6. 7


1998. 7. 1





1999. 7. 5



○ 區조례 제342호(1995.6.7공포)로 행정동 및 법정동 경계 조정

   ·당감제3동 일부 → 개금제3동에 편입

○ 區조례 제454호(1998.7.1공포)로 행정동 통합(29동→25동)

   ·양정제1동과 양정제3동 → 양정제1동

   ·양정제2동과 양정제4동 → 양정제2동

   ·전포제2동과 전포제4동 → 전포제2동

   ·부암제1동과 부암제2동 → 부암제1동

○ 區조례 제489호(1999.7.5공포)로 행정동 경계 조정

   ·당감제3동 일부 → 당감제4동(편입)

   ·가야제2동 일부 → 가야제3동(편입)


6. 東萊區


  동래는 삼한시대 변진독로국(弁辰瀆盧國)의 유지(遺址)이며 한때 거칠산국(居漆山國)의 치소로서 신라에 병합되면서 거칠산군으로 되었다가 신라 경덕왕 때 동래군 동래현(東萊縣)으로 개칭되고, 조선 명종 때 도호부로 편제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수차의 개편을 거쳐 1949년 부산시 동래출장소로 개편된 후 1957년 구제(區制) 실시로 동래구로 되었으며, 1963년부터 현재의 해운대구, 금정구, 수영구, 연제구 거의 전역이 동래구로 관할하다가 1995년 연제구를 최종적으로 분구한 이후 현재까지 14개동을 관할하고 있다.


동래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757년  

1018년  

1547년

1910.10. 1


1949. 8.15

1957. 1. 1

1963. 1. 1 

1966. 1. 1

1970. 7. 1


1973. 4.20

1975.10. 1


1976. 4. 9

1978. 1. 1


1978. 2.15

○ 동래군 동래현(통일신라 경덕왕 16년)

○ 울주군 동래현(고려 현종 9년)

○ 동래도호부(조선 명종 2년) : 1592년 동래현, 1599년 동래부

○ 부산부 : 1914.3.1 동래군, 1923.2.15 동래면, 1930.12.29 동래읍,

             1942.10.1 부산부 동래출장소

○ 부산시 동래출장소 : 1951.9.1 부산시 동래출장소(區制 실시 전제)

○ 부산시 동래구

○ 부산직할시 승격시 3출장소(수영, 해운대, 북면) 34동 관할

○ 연산 2동을 연산 2·3동으로 분동(3출장소, 35동)

거제동을 거제1·2·3동으로, 연산2동을 연산2·4동으로, 장전동을

    장전 1·2·3동으로 분동(40동)

○ 반여동을 반여1·2동으로 분동(41동)

연산2동을 연산2·5동으로, 동상동을 동상1·2·3동으로, 반송동을

    반송2동으로 분동, 남구 신설로 수영동, 민락동, 광안동을 이관(42동)

동래구 해운대출장소가 시직할 출장소로 됨(42동중 36동 관할)

○ 반여1·2동, 반송1·2동, 재송동, 석대동을 해운대 출장소로 이관

    (42동중 30동 관할)

○ 부산진구 금성동이 동래구에 편입

1979. 1. 1


1979. 8. 8



1980. 4.10

1982. 9. 1

1985.12. 1


1988. 1. 1

1988. 5. 1

1990. 1. 1

1991. 4.15

1995. 3. 1

2000.11. 1

○ 온천2동을 온천2·3동으로, 사직1동을 사직1·2동으로, 부곡동을 부곡1·2동

    으로 분동(46동중 34동 관할)

명륜동을 명륜2동으로, 사직1동을 사직3동으로, 거제3동을 거제4동으로,

    연산3동을 연산6동으로, 연산4동을 연산7동으로, 동상2동을 동상4동으로,

    반여2동을 반여3동으로, 반송1동을 반송3동으로 분동(54동중 40동 관할)

○ 해운대구 신설로 14개동을 해운대구로 이관(40동)

연산1동을 연산1·8동으로, 안락동을 안락1·2동으로 분동(42동)

연산8동을 연산9동으로, 서3동을 서3·금사동으로, 부곡2동을 부곡3동으로,

    구서동을 구서1·2동으로 분동(46동)

○ 금정구 신설로 20개동을 금정구로 이관(26동)

○ 區 자치제 실시

○ 명장동을 명장1·2동으로 분동(27동)

○ 구의회 개원(의원 44명)

○ 연제구 신설로 13개동을 연제구로 이관(14동)

○ 동사무소 기능전환으로 주민자치센터 개소(14동)


7. 南   區


  역사적으로 삼한시대에는 변한, 삼국시대에는 금관가야의 거칠산국에, 고려시대는 양주군에, 조선시대에는 동래부에 소속된 바 있고, 1975. 10. 1일 남구로 승격되었으며,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바다와 어우러진 천혜의 절경, 부산의 상징 오륙도, 이기대자연공원, 문화회관, 부산박물관 등 문화시설이 갖춰진 쾌적한 주거지역으로 각광 받고 있다.


남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36. 4. 4

1942.10. 1

1957. 1. 1

1975.10. 1

1988. 5. 1

1995. 3. 1

1999. 1. 1

1999.10. 8

2001.10. 1

○ 부산부에 편입

○ 수영출장소 설치

○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동래구 수영출장소 개편

○ 남구로 승격(19개동)

○ 자치구 개청(30개동)

수영구 신설, 남구 일부(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를 수영구 편입

○ 문현2, 5동 통합→문현2동으로 조정

○ 구청사 소재지 변경(대연6동 1268-1)

○ 洞기능 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9개소)


8. 北  區


  낙동강과 금정산 및 백양산이 자리한 천혜의 자연경관을 갖춘 지역으로써 1998년부터「숲의 도시 북구 가꾸기」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로 탈바꿈되고 있으며, 또한 남해고속도로와 경부선철도, 지하철 2·3호선의 통과로 부산 서북부의 관문이자 교통의 요충로써 물류유통 중심도시로 변화되고 있으며, 화명 신시가지와 만덕택지 개발조성 등 대규모 주거단지 형성과 전국 최초의 디지털도서관 개관에 이어 한국방송통신대학 개교, 부산인력개발타운 건립 등으로 정보·문화도시로도 각광받고 있다.


북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63. 1. 1

1978. 2.15

1988. 5. 1

1989. 1. 1

1994. 7. 1


1995. 1. 1

1995. 3. 1

1996. 7. 1

2000.10. 1

2002. 2. 8

○ 부산직할시 승격 편입(구포읍, 사상면 편입)

○ 북구 승격(김해군 대저, 가락, 명지 편입)

○ 부산직할시 북구 자치구제 시행(18개동)

○ 강서구 분리

○ 구포1동이 구포1동·구포3동으로 분동, 모라2동이 모라2동·모라3동으로

    분동(현 사상구)

○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개칭

○ 사상구 분리

○ 북구 보건소 개소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1개소)

○ 북구 디지털도서관 개관


9. 海雲臺區


  해운대 지역은 삼한시대의 장산국으로 기록에 처음 나타나며 삼국시대는 신라에 소속되어 거칠산국(居漆山國)으로 되었다가 통신신라시대에 동래군으로 개칭된 이래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동래현, 동래도호부 등에 소속되었으며 조선후기 동래부 동하면으로 존속되었고, 20세기에 들어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부산부와 동래부의 일부, 기장군을 합하여 동래군으로 개편(1914.3.1)되었고 동래출장소와 수영출장소로 분리(1942.10.1)되었으며 해운대출장소로 변경(1953.9.17)된후 동래구 해운대출장소로 편입(1957.1.1), 해운대구 승격(1980.4.1), 자치구로 승격(1988.5.1)되었다.


해운대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53년


○ 1942. 10. 1 설치된 부산부 수영출장소에서 분리, 해운대출장소(우동, 중동,

    좌동 관할) 설치

1957. 1. 1


○ 법률 제407호(1956. 12. 17 공포)로 구제실시와 동시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

    출장소로 됨

1976. 4. 9


○ 시조례 제957호(1976. 4. 9 공포)로 시직할출장소로 승격(동래구 해운대

    출장소 폐지)

1978. 1. 1


○ 시조례 제1185호(1977. 12. 22 공포)로 동래구 직할동 6개동(반여제1동,

    제2동, 석대동, 반송제1동, 제2동, 재송동)을 해운대출장소에 편입(12동)

1980. 4. 1



○ 대통령령 제9630호(1979. 9. 26 공포)로 동래구 분구, 해운대구 신설, 해운대

    출장소관할 14개동을 관할함

○ 시조례 제1436호(1980. 3. 28 공포)로 해운대출장소 폐지

1994.12.26


○ 대통령령 제14434호(1994. 12. 22 공포)로 구간 경계조정

   ·해운대구 반여동 일부→금정구 금사동 편입

1998.10. 1


○ 부산광역시해운대구 조례 제468호(1998.10.1)에 의거 과소동 통·폐합

   ·석대동, 반송제1동→반송제1동(17개동→14개동)

1999. 5.13



○ 대통령령 제16,309호(1999.5.13 공포)로 구간 경계조정

   ·재송1동 일부→수영구 망미동, 수영동으로 편입

   ·반여1동 일부→동래구 명장동, 안락동으로 편입

2000.2.25

○ 동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3개소), 좌동은 대동제 시행으로 제외

2003.1.10

○ 좌동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설치)


10. 沙下區


  사하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패총 등의 유적으로 보아 신석기 이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며,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했고,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군, 통일신라시대에 동래군, 고려시대에 동래현, 조선시대에는 동래도호면 사천면(이후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나뉨)에 속했던 바 있고, 1975년 市 직할 사하출장소로 독립하였다. 1983.12.15일 북구 관할에 있던 을숙도, 일웅도를 편입함과 동시에 출장소에서 구로 승격하여 오에 이르고 있고, 지역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있는 신평·장림공업단지와 몰운대, 다대포해수욕장, 을숙도 등의 관광명소, 다대포객사, 정운공 순의비 등의 문화재가 있다.


사하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10.10. 1

1942.10. 1

1983.12.15

1988. 5. 1

1991. 4.15

1995. 1. 1

1995. 7. 1

○ 부산부 사하면

○ 부산부에 편입, 사하출장소 설치

○ 區 승격(13개동 및 북구 대저2동 일부 관할)

○ 자치구제 실시

○ 사하구 초대의회 개원

○ 부산광역시 사하구로 명칭 변경

○ 초대 민선구청장 취임

1998. 7. 1

2000.11. 1

2002. 7. 1

○ 제2대 민선구청장 취임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6개소)

○ 제3대 민선구청장 취임


11. 金井區


  삼한시대 변한(弁韓)에 소속되었다가 금관가야(金官伽倻)에 예속되었으며, 이후 거칠산국(장산국)에 이어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동래군(東萊郡), 고려시대에는 동래현(東萊縣), 조선시대에는 동래부(東萊府)에 소속된 바 있으며, 동래부 7면중 동면과 북면 일부가 현재 금정구에 속하며, 1988. 1.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1988. 5. 1일 자치구가 되었다.

  경부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지하철 1호선의 기종점이자 부산종합버스터미날이 위치하는 육로교통의 요충지이며, 부산대학교, 금정산과 범어사, 금정체육공원, 회동수원지  문화·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금정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42.10. 1

1963. 1. 1

1975.10. 1

1988. 1. 1

1988. 5. 1

1992. 9. 1

1998.11. 1

2000.11. 1

2001.11. 1

○ 동래출장소 설치

○ 북면출장소 설치

○ 동래구에 편입

○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 신설(20개동)

○ 자치구 승격

○ 부곡1동이 부곡1, 4동으로 분동

○ 과소동 통폐합(21개동 → 18개동)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6개소)

산간, 농촌지역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2개소)


12. 江西區


  강서지역은 유서깊은 가야문명의 발상지이자 가락국 건국터전으로서 역사변천에 따라 금관군, 김해소경, 김해부, 금주군, 금주현, 김해도호부, 김해군 등으로 행정구역 명칭이 바뀌어 왔으며,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어 부산시대를 연후, 1989년 1월 1일 가락, 녹산, 천가동을 추가로 편입시켜 구세를 확장하면서 자치구로 승격하여 서부산시대의 주역으로서 21세기 세계적인 일류 도시건설을 지향하고 있다.

강서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896. 8. 4

○ 칙영(勅令) 제36호로 양산군에 편입

1906. 1. 9

○ 김해군 대저면으로 승격

1973. 7. 1

○ 대통령령 제6543호로 김해군 대저읍으로 승격

1978. 2.15




○ 법률 제3014호(1977. 12. 19 공포)로 부산직할시에 편입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일원과 가락면 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

     일원 및 명지면의 중리, 동리, 진목리, 조동리, 평성리, 신전리 일원을

     부산시 북구에 편입(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 4개동 신설)

1983. 5. 1

○ 市조례 제1833호(1983. 4. 7 공포)로 시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1983.12.15




○ 대통령령 제11248호(1983. 10. 8 공포)로 대저2동 일부(을숙도 및 일웅도)를

    사하구 하단동에 편입

○市조례 제1875호 및 1876호(1983. 11. 7 공포)로 법정동 및 행정동 경계조정

   ·대저1동 일부 → 강동동   ·강동동 일부 → 대저1동과 대저2동에 편입

1989. 1. 1



○ 법률 제4051호(1988. 12. 31)로 강서구 설치 및 시·도간 경계조정

   ·북구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녹산면과 의창군 천가면을 강서구에 편입

1995. 3. 1



○ 법률 제4802호(1994. 12. 22 공포)로 시·도간 경계조정

   ·경상남도 진해시 용원동, 가주동 일부지역(녹산국가산업단지지역)을 

     강서구에 편입

2000. 1.12



○ 법률 제6,114호(2000.1.12)로 부산광역시 등 4개시·도 관할구역 조정

   ·강서구 녹산동 일부(1.03㎢)를 경남 김해시에 편입

   ·경남 김해시 일부(1.03㎢)를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

2000. 4. 1

○ 신호지방·녹산국가산업단지 5.11㎢ 신규 지적 등록(강서구 면적 175.44㎢)

2001. 3.16

○ 명지주거단지 토지 신규 등록 1.842㎢(강서구 면적 176.55㎢)


13. 蓮堤區


  연제(蓮堤)는 삼한때 부터 취락을 이루어 왔으며 거칠산국(居漆山國)의 치소(治所)였고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제4대 탈해왕 때 거칠산국을 정벌, 신라에 병합하고 그 뒤 신라 지증왕 6년에 거칠산군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16년 지방행정제도를 개혁할 때 명칭이 동래군으로 변경된 이래 고려 현종 9년 동래현, 조선 태조 6년 동래진, 명종 2년 동래도호부, 조선후기 동래도호부 서면(西面)에 소속되었다.

  1957. 1. 1일 부산시의 구(區)제 실시로 동래구에 편입되어 있다가 1995. 3.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었고, 연산동의 연(蓮)과 거제동의 제(堤)를 따서 연제구라는 구 명칭이 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부산의 중심구로 시청, 법원, 검찰청, 경찰청 등 행정타운 입지로 공공업무 기능의 요충지이다.

연제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42.10. 1

1946.10. 4

1966. 1. 1

1970. 7. 1

1975.10. 1

1979. 8. 8


1982. 9. 1

1985.12. 1

1995. 3. 1

2000.11. 1

○ 부산부에 편입

○ 연산리는 연산1동, 연산2동, 거제리는 거제동으로 됨

○ 연산2동을 연산2동,3동으로 분동

○ 거제동을 거제1,2,3동으로, 연산2동을 연산2,4동으로 분동

○ 연산2동을 연산2,5동으로 분동

거제3동을 거제3,4동으로, 연산3동을 연산3,6동으로, 연산4동을

    연산4,7동으로 분동

○ 연산1동을 연산1,8동으로 분동

○ 연산8동을 연산8,9동으로 분동

○ 동래구에서 연제구로 분구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개소 : 13개소)


14. 水營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했으며, 6가야 이후 금관가야 거칠산국에 속하다가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동래군, 고려시대에는 양주군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이 위치하여 한반도 동남 해안을 지켰던 전략 요충지이며, 임진왜란때에는 좌수영소속의 수군과 성민 25명이 왜군과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충절의 고장이다.

  1995. 3. 1일 남구에서 분구되어 수영구가 설치되었으며 역사와 문화, 전통을 이어가는 도시로서 광안리해수욕장, 수변공원, 광안대로, 수영사적공원 등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와 금련산청소년수련원, KBS, MBC와 같은 문화·언론의 중심지로 유명하며, 지하철 2·3호선 환승역을 교통중심축으로 하는 부산 동남부의 정보, 상업, 유통기능의 중심 도시로 자리잡고 있다.


수영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42.10. 1

○ 부산시 수영출장소(수영동, 광안동, 민락동을 관할)를 설치

1953. 9.10


○ 대연출장소 설치(1936. 4. 1. 설치된 부산진출장소에서 분리되어 남천동을 관할)

○ 수영동, 광안동, 민락동을 관할하는 해운대출장소 설치로 수영출장소 관할 구역 축소

1957. 1. 1


○ 법률 제407호(1956. 12. 17 공포)에 의한 區制실시와 동시에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설치(1동), 동래구 수영출장소 설치(3동)

1973. 3.10

市조례제479호(1973.3.10 공포)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가 市 직할출장소로 승격

1975.10. 1





○ 市조례 제879호(1975. 9. 26 공포)로 광안동이 광안제1동과 제2동으로 분동

    (수영출장소 4개동, 대연출장소 1개동)

○ 대통령령 제7816호(1975. 9. 23 공포)로 부산시 남구신설에 따라 동래구

    관할구역 중 수영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민락동 대연출장소 관할구역인

    남천동을 관할(5동), (대연 및 수영출장소 폐지)

1979. 1. 1

市조례 제1276호(1978. 11. 6 공포)로 수영동이 수영동과 망미동으로 분동(6동)

1979. 8. 8


○ 市조례 제1360호(1979. 7. 27. 공포)로 광안제1동이 광안제1동과 제3동으로

    분동(7동)

1979. 9.12


○ 市조례 제1371호(1979. 9. 11 공포)로 광안동 일부(0.02㎢)를 망미동

    (행정동 : 수영동)에 편입

1980. 4. 1


○ 대통령령 제9630호(1979. 2. 26 공포)로 동래구 재송동 일부(수영강 서쪽

    망미동에 접한 지역 0.03㎢)를 남구에 편입

1982. 5. 1






○ 市조례 제1713호(1982. 4. 1 공포)로 법정동 명칭변경 및 경계조정

   ·남천동 일부 → 대연동(편입),   ·광안동 일부 → 대연동(편입)

   ·망미동 일부 → 수영동(편입)

○ 市조례 제1714호(1982. 4. 1 공포)로 행정동 명칭변경 및 경계 조정

   ·남천동 일부 → 대연 제3동(편입),   ·수영동 일부 → 망미동(편입)

   ·광안제3동 일부 → 수영동(편입)

1982. 9. 1


市조례 제1757호(1982. 8. 9 공포)로 망미동이 망미제1동과 제2동, 광안제2동이

    광안제2동과 제4동으로 각각 분동(9동)

1983.10. 1

市조례 제1864호(1983. 9. 13 공포)로 남천동이 남천제1동과 남천제2동으로 분동(10동)

1987. 1. 1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 12. 23 공포) 및 市조례 제2205호(1986. 12. 31

    공포)로 행정구역 경계조정

   ·동래구 연산동 일부 남구로 편입과 동시에 망미제2동 일부(0.26㎢)를

     동래구 연산동에 편입

1995. 2.27

區조례 제346호(1995.2.27공포)로 법정동 경계조정 : 민락동 일부→수영동(편입)

1995. 3. 1

○ 법률 제4802호(1994. 12. 22 공포)로 남구를 분구 수영구 설치(남구中 남천

    제1, 2동, 수영동, 망미제1, 2동, 광안제1, 2, 3, 4동, 민락동)

1999. 5.13

○ 대통령령 제16309호(1999. 5. 13 공포)로 행정구역 경계조정

   ·해운대구 재송제1동 일부를 수영동과 망미제2동에 편입

   ·남구 대연제3동 일부를 남천제1동에 편입

   ·남천제1동 일부를 남구 대연제3동에 편입

1999. 9.14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0개소)

2002. 7.15

○ 수영구도서관 개관


15. 沙上區


  모라동과 학장동의 패총 유적지 등지에서 출토된 토기 등 유물을 통하여 기원전(BC) 2000여년 전부터 이 곳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삼한시대에는 변한,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군 대증현, 통일신라시대에는 동래군 동평현, 고려시대에는 양산군 동평현, 조선시대에 동래부 사천면, 동래군 사상면을 거쳐 1963년도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1975년도 구포출장소와 통합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에 속해 오다가 1978년도 부산직할시 북구로 승격되고, 이후 인구 증가로 1995. 3. 1일 북구에서 사상구가 분구되면서 자치구가 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조성된 사상공업지역은 현재에도 부산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E-마트, 르네시떼,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상가와 다대항 배후도로 등이 속속 들어서면서 유통·물류의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고, 낙동강 둔치내 강변체육공원 등은 시민 휴식공간으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사상구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914. 3. 1

1963. 1. 1

1975.10. 1

1978. 2.15

1979. 1. 1

1979. 8. 8

1982. 5. 1

1982. 9. 1

1991. 9.15

1994. 4.11

1994. 7. 1

1994.12.26

1995. 3. 1

1997. 7. 1

1999. 9. 1

2000. 2.25

2002. 6.21


○ 동래군 사상면 설치

○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설치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설치(구포·사상출장소 통합)

○ 부산직할시 북구 승격

○ 주례동을 주례1동과 주례2동으로 분동

○ 감전동을 감전1동과 감전2동으로 분동

○ 동간 경계조정(감전1동 일부를 엄궁동에 편입)

○ 덕포동을 덕포1동과 덕포2동으로 분동

모라동을 모라1동과 모라2동으로, 주례1동을 주례1동과 주례3동으로 분동

○ 동간 경계조정(주례3동 일부를 주례2동에 편입)

○ 모라2동을 모라2동과 모라3동으로 분동

○ 구간 경계조정(사하구 하단동 일부를 엄궁동에 편입)

○ 북구에서 분구, 사상구 설치(14개동) - 구청 소재지 : 감전2동 132-7번지

    건물 임차사용

○ 구간 경계조정(부산진구 개금동 일부를 주례2동에 편입)

○ 동사무소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14개소)

○ 동간 경계조정(학장동 일부를 엄궁동에 편입)

구청 소재지 변경[감전2동 138-8번지에 신청사 건립(보건소 포함) 이전]


16. 機張郡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 2읍 3면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리적으로는 부산광역시의 동단에 위치하여 북서쪽으로 대운산맥이 양산시와 접경을 이루고 동쪽은 동해를 마주하고 있으며, 북동쪽은 울산시 울주군, 남서쪽으로는 해운대구 및 금정구와 접하고 있는 곳으로 217여㎢의 면적은 부산광역시 전체면적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도·농복합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해안쪽으로는 일광·임랑해수욕장 등의 휴식공간과 각종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자연경관은 천혜의 관광자원으로 동부산 해양관광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기장군 연혁

년 월 일

변  천  내  용

1895년

1914. 3. 1

1973. 7. 1

1980.12. 1

1985.10. 1

1986.11. 1

1995. 3. 1

2002. 4.30

○ 동래부의 기장군으로 개명(8개면)

○ 기장군 폐지, 동래군에 귀속(5개면)

○ 동래군 폐지, 양산군에 병합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 장안면이 장안읍으로 승격

○ 양산군 동부출장소 설치(5개읍·면)

○ 부산광역시 편입, 기장군 설치(5개읍·면)

○ 읍·면 기능전환(주민자치센터 개소 : 1개소-정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