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15章  交通·通信

第1節 市內交通

1. 交通政策

1) 交通與件과 政策方向

  ① 교통여건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고도성장에 따른 사회의 복잡다원화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대도시 교통은 기존의 문제점은 물론, 급증하는 교통수요 증가에 따른 교통시설 공급의 탄력적 대응이 미흡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부산의 경우 도시구조의 특성과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난이 심각하여 많은 사회·경제적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도시 교통의 문제점은 크게 대별하여 승차난, 소통난, 주차난과 함께 자동차문화의 미정착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부수적으로 투자재원 확보의 어려움과 교통행정 조직의 비효율성 등을 들 수 있다.
  도시교통의 공통문제라고 할 수 있는 교통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 외에도 부산시가 안고 있는 특수한 교통여건으로는 먼저 역사적 여건을 지적할 수 있다.
  부산시의 인구는 해방 당시 1945년 281,160명이던 것이 1965년에는 1,419,808명으로 20년 동안 5배의 증가를 나타냈고 2002년말 현재 인구는 3,747,369명으로 해방 이후 매우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으나 부산이 6.25동란 등 우발적 도시 성장기를 겪으면서 도시문제에 대한 계획이나 준비를 할 겨를도 없이 맹목적으로 팽창한데서 오늘날 교통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원인 이외에도 금정산, 백양산, 고원견산, 황령산 등 4대 산이 시가지를 4등분하고 있어 산지 사이로 난 협곡을 따라 도시가 형성된 관계로 지형적으로 교통망 형성에 취약성을 안고 있는데다가 도로망은 남북축을 따라 발달되어 상대적으로 동서간 도로망은 더욱 열악한 실정에 있다.
  도로망이 취약한 동서간 교통축은 필요한 교통량을 수용하지 못하여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로망이 비교적 발달된 남북간 교통축은 너무 많은 교통량이 집중되어 교통혼잡이 발생되는 기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전국 최대규모의 항만이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항만화물 수송을 위한 대형화물 차량의 통행이 매우 빈번한 실정이나 항만화물 수송을 위한 전용도로가 없어 대형화물 차량의 시내도로 통과로 도심의 교통체증이 심각한 실정이다.


  ② 교통정책 방향
  도시성장으로 인한 인구의 증가는 교통수요의 증가를 가져오며, 생산 및 사회활동의 증가는 통행회수의 증가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시민소득의 증가와 아울러 여가이용의 보편화로 자가용승용차가 급증하고 생활권의 광역화로 인한 지역간 교통수요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교통 수요의 증가에 따른 교통대책으로 2000년대는 선진국형 대중교통 중심체계를 구축하여 지하철, 버스의 수송분담률을 70% 이상 유지한다는 장기목표아래 지하철 1, 2, 3호선의 조기확충으로 지하철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기반을 조성하고 현재 건설하고 있는 항만배후도로 10개 노선 77.1㎞를 2004년까지 완공하여 도심을 통과하고 있는 항만교통량을 우회하여 처리할 계획이다.
  또한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버스전용차선제의 확대시행과 지하철과 연결되는 환승시설을 확충하는 등 대중교통 우선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부산의 교통수단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통수단은 시내버스이다. 현재 시내버스의 운영은 해가 갈수록 수송분담률이 떨어져 경영상의 문제가 점차 심각해짐으로써 시민이 요구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시내버스 운영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차량의 통행 못지 않게 중요한 문제는 자동차의 주차문제로서 주차장을 늘려 수요에 대응하는 공급정책과 자동차의 도심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불법주차 단속강화, 도심 주차요금의 인상 등 수요억제 측면을 고려하여 조화있게 양 정책을 추진하되 주차시설 확충은 역세권 및 시외곽 주차장 중심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당장의 시급한 교통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통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는 교통운영체계 개선(TSM)사업의 지속적인 추진과 자가용승용차 10부제 자율참여, 승용차 함께타기, 가까운 거리 걷기운동 등 교통수요관리정책을 적극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부산시에서는 2002 아시안게임과 FIFA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부산의 교통시스템과 시민 교통문화 수준을 선진국형으로 탈바꿈시켜 21세기 선진도시 부산의 위상에 걸맞는 디지털 교통도시를 창출하기 위하여「신교통정책 21」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교통정책의 목표는 2001년을 부산교통개선의 원년으로 삼고 2003년까지 선진문화 교통도시 기본체제를 확립하며, 2005년까지 선진문화 교통도시로서의 면모를 수립하여 2010년까지 세계일류 교통도시 반열에 진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부산교통은 빈틈없는 교통정책을 마련하여 차질없이 추진한다면 2005년까지는 아시아 도시 중 교통부문 최소 5위내로 평가되는 중급의 선진교통도시가 가능하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10년 이내(2010년)에 세계유수의 선진도시와 어깨를 같이하는 교통부문 최우수 선진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 車輛登錄 現況

  부산시의 자동차등록현황을 1963년 3,810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0년후인 1973년에는 5배인 19,471대, 20년후인 1983년에는 21배인 80,981대, 30년후인 1993년에는 123배인 469,622대, 38년후인 2002년말 현재는 921,084대로서 1963년에 비하여 무려 242배나 증가하는 자가운전자 시대를 맞이하게 되어 경제성장과 자동차의 등록대수 증가의 비례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차량등록사업소에서는 민원인들의 편의를 위하여 1996년에는 차를 가져오지 않아도 모든 자동차등록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고, 1997년에는 자동차·건설기계 번호판 재교부 업무를 민간에 위탁하였고, 자동차·건설기계등록원부 발급을 전국 어디서나 FAX민원으로 가능하게 하였으며, 1998년에는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발급 전산화로 신속한 민원처리가 가능하여 민원불편 사항을 해결하였다.
  1999년 1월에는 차량등록 인터넷 홈페이지(www.car.or.kr)를 전국 최초로 개설하여 자동차 신규등록과 말소, 주소지 및 소유자이전 등 민원신청시 필요한 구비서류와 수수료·처리시한·유의사항·자주 발생하는 민원사례를 알려 주어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다양한 민원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건설기계 관리의 전산화도 추진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원거리 민원불편 해소를 위해 2000년 9월 1일부터 지하철 1호선 부전역내 현장민원처리센타를 개소하여 이전등록 외 9종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민원편의 제공 차원에서 본소와 현장민원처리센타 주변 공영주차장을 확보하여 1~2시간 무료주차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민원안내를 위해 민원실 안내전담창구를 개설하여 장애인·노약자에 대한 무료대서, 민원안내 전단 제작 배부, 타 시·도 전입차량 변경 및 신규등록 차량에 대해 번호판 탈·부착을 지원해 왔으며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로 민원인 전용 화장실에 장애인용 변기 3기를 설치하였다.
  최근 11년간 차량등록현황, 2002년말 차량등록현황, 2002년 차량등록실적은 다음과 같다.


차량등록 현황

(단위 : 대, %)

구 분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국산차

(증가율)

406,756

(17.4)

469,622

(15.5)

535,108

(13.9)

604,078

(12.9)

671,958

(11.2)

720,614

(7.2)

719,862

(△0.1)

760,699

(5.7)

812,369

(6.8)

862,699

(6.2)

921,084

(6.8)

 

승 용

259,489

309,488

361,209

417,752

476,275

517,957

516,456

534,132

547,405

589,257

638,173

 

승 합

40,187

42,384

45,305

47,318

50,247

53,317

54,155

66,155

92,069

87,697

87,903

 

화 물

104,388

114,944

125,313

135,001

141,138

144,863

144,853

155,775

167,899

180,393

189,023

 

특 수

2,692

2,806

3,281

4,007

4,298

4,477

4,398

4,637

4,996

5,352

5,985

외제차

(증가율)

770

(9.6)

842

(9.4)

995

(18.2)

1,431

(43.8)

2,166

(51.4)

2,702

(24.7)

2,790

(3.3)

2,867

(2.8)

3,053

(6.5)

3,546

(16.1)

4,435

(25.1)

자료 : 차량등록사업소

2002년말 차량등록 현황

(단위 : 대)

구 분

소계

승용

승합

화물

특수

건설기계

938,730

921,084

638,173

87,903

189,023

5,985

17,646

관  용

3,218

3,148

1,061

571

1,395

121

70

자가용

855,335

850,522

609,485

81,877

158,781

379

4,813

영업용

80,177

67,414

27,627

5,455

28,847

5,485

12,763

자료 : 차량등록사업소
주  : 1. 부산시인구 4.1명당 1대, 1.3세대당 1대(자가승용차 1.98세대당 1대)
       2. 외제차 등록대수 : 4,435대


2002년 차량등록 실적

(단위 : 대)

2001.12.31

현재

증    가

감    소

2002.12.31

현재

소계

신규

전입

소계

말소

전출

862,699

165,335

108,257

57,078

106,950

38,891

68,059

921,084

자료 : 차량등록사업소

2. 市內交通 現況

1) 交通手段別 運行狀況


  ① 시내버스

1990년대 들어 경제력의 증가로 점차 자가용승용차가 대중화되고 지하철이 확충되면서 시내버스 수송분담률은 급격히 감소하여 1990년에는 46.8%, 1999년 32.6%의 수송분담율을 보이다가 급기야 2002년에는 26.9%로 하락하여 버스산업이 침체기에 빠져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버스업계의 경영수지가 악화됨으로써 서비스 제공이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해 이용을 기피하게 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또한 시내버스 이용성향을 살펴보면, 경제적 약자인 학생이나 노약자 등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버스산업의 경영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요금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버스의 사회적 기여도나 필수성을 고려하여 정부에서는 2001년도부터 버스업계에 대한 재정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지원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수송수요 감소에 따른 경영난으로 시내버스업체수는 1990년도 51개사에서 2002. 12월말 현재 38개사로 줄어들었으며, 버스 수송공급력을 감안한 구조조정을 실시하여 1999년도 이후 167대를 감차하였다. 한편, 사회활동의 다변화에 따른 심야시간대 이용시민 편의를 위해 1995년부터 심야버스를 도입하여 2002. 12월말 현재 7개노선에 49대를 운행하고 있으며, 1996년부터 특급좌석버스를 도입하여 2002. 12월말 현재 3개노선에 31대를 운행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요금결재 수단을 첨단화하여 1998년 하나로교통카드에 이어 2000년부터 전자화폐인 마이비카드를 도입함으로써 운송수입금의 투명성을 확보하였고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버스통합정보관리시스템(TIMS)을 2000년부터 운영하여 정류소 안내방송의 자동화와 운행관리를 체계화하였다.

  쾌적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일반버스의 냉방화 사업추진으로 시내버스 전 차량의 냉방화가 달성되었으며, 환경친화적인 천연가스버스(CNG버스)도 2002. 12월말 현재 102대가 운행되고 있고, 점차 확대 보급할 계획으로 있어 대기환경이 대폭 개선되리라 본다. 또한 부산의 도시 이미지에 부합되는 버스 외부 디자인을 개발하여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2002. 12월말 현재 45%의 진척을 보이고 있다.


시내버스 운행현황

연도별

노선수

(개노선)

운행회사수

(개사)

운행차량수

(대)

1일 1대당 운송인원

(명)

1993

202

47

2,744

1,032

1994

211

43

2,747

927

1995

232

42

2,763

910

1996

225

42

2,749

875

1997

232

42

2,797

922

1998

218

40

2,789

720

1999

201

40

2,722

682

2000

197

39

2,720

625

2001

205

38

2,696

616

2002

194

38

2,671

588

자료 : 대중교통과

  ② 택 시

  1963년 정부직할시로 승격되었던 그 해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던 택시는 소규모로 운영되어 왔으나(12개업체 598대) 1968년 전차 운행의 폐지로 대폭 증차한 이후 매년 빠짐없이 증차하여 2002년말 현재 24,614대로 사실상 대중교통수단의 기능(2002년도 시민수송분담률 16.6%, 1일 운송인원 972천명)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도별 택시 보유대수 현황은 다음 표와 같다.

  또한, 일반(회사)택시 운수종사자의 횡포방지와 승객에 대한 서비스 개선을 위하여 운영한 개인택시 면허제도는 1977년부터 1981년까지 기본자격소유자를 대상으로 추첨하여 면허를 부여하였고, 1982년부터 면허우선순위제를 채택하여 면허해 왔다. 그러나 1989. 3. 29일 자동차운송사업법시행규칙 제15조 제7항이 개정되어 개인택시 면허우선순위 제정권한이 시장에게 위임됨에 따라 1989. 5. 22일 시 자체 개인택시 면허우선순위(부산시 고시 제168호)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적용해 오고 있으며, 2002년말까지 제23차에 걸쳐 총 13,418대의 개인택시를 신규 면허함으로써 장기무사고 모범운전자에게 혜택을 줌과 동시에 승객에 대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이용시민 편의제공과 운전기사 근로환경 개선 등을 위해 1988년 3월부터 중형택시제도를 최초로 도입하여 보급한 결과, 2002년말 현재 전체 택시 24,614대중 24,416대(99.2%)가 중형택시로 운행되고 있으며, 나머지 198대는 이용승객에 대한 고급교통수단 제공 및 택시 선진화를 위해 1995년 도입된 모범택시로 운행되고 있다.


택시업체 및 개인택시 현황

연도별

(대)

일반택시

개인택시

(대)

한시택시

업체수(개사)

차량대수(대)

1993

21,820

107

10,873

10,947

-

1994

22,115

107

11,175

10,940

-

1995

22,785

110

11,246

11,539

-

1996

23,087

109

11,244

11,843

-

1997

23,285

106

11,240

12,045

-

1998

23,547

104

11,251

12,296

-

1999

23,837

102

11,251

12,586

-

2000

24,084

102

11,251

12,833

-

2001

24,347

101

11,251

13,096

-

2002

24,614

101

11,251

13,363

-

자료 : 대중교통과

2) 公路運賃 變遷過程


  ① 시내버스 요금

  시내버스 요금은 종전에는 인가제였으나 1998. 6. 14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으로 신고제로 전환되어 시·도지사가 요금의 기준 및 요율을 결정하고 업체에서 요율범위내 신고하도록 하였으며, 1998년도부터는 하나로교통카드제를 실시하여 시민들이 대중교통 이용시 현금, 토큰 등 각종 승차권을 소지하는 불편 해소와 함께 교통카드 이용시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업체에서는 교통수입금 관리 전산화로 업체의 경영합리화와 수입금 누수 시비의 오해소지를 해소하여 노사간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었다.

  또한 1998년 1월 31일 이전까지는 현금 승차시 할증요금을 적용하였으나 이후부터는 토큰, 회수권, 교통카드를 사용시에 요금을 할인해 주도록 제도를 변경하였다.

  한편, 1997년과 1999년, 2001년에는 시민 부담을 감안하여 요금을 조정하지 않았고, 2000년에는 요금을 조정하면서 초·중·고등학생의 할인폭을 대폭 확대(중·고생 33.3%, 초등생 66.7%)하였으며, 현금 지급시 거스름돈 반환불편 해소를 위해 10원 단위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연도별 시내버스 요금조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별 시내버스 요금조정 현황

                                                                      (단위 : 원)

연도별

일 반 버 스

좌석버스

심야버스

특급좌석

일반인

중고생

초등학생

1992. 2.16

210(180)

150

100

500

-

-

1993. 1.25

210(260)

150

100

500

-

-

1994. 2.27

290(300)

200

140

600

-

-

1995. 3.20

320(350)

240

150

700

1,300

 

1996. 2.26

360(400)

240

150

700

-

-

1996. 8.16

400(410)

270

150

800

1,300

1,100

1998. 1.31

520(500)

350(340)

200(200)

1,000(970)

1,300(1,250)

1,200(1,100)

2000. 6.25

600(580)

400(400)

200(200)

1,200(1,100)

중고생 900

1,400(1,300)

중고생 900

1,300(1,200)

중고생 900

2002.12. 1

700(680)

500(450)

200(200)

1,400(1,300)

중고생 1,000

1,600(1,500)

중고생 1,000

1,500(1,400)

중고생 1,000

자료 : 대중교통과

주  : (  )은 1998.1.31이전 : 현금승차시 할증요금

             1998.1.31이후 : 토큰, 회수권, 교통카드 사용시 할인요금


  ② 택시요금

  1961년 이전까지의 택시 요금은 2㎞까지 20원, 2㎞ 이상 탑승할 경우에는 구간을 정하여 요금을 수수했으나 1962년부터는 주행거리가 표시되는 요금미터기가 설치됨에 따라 기본요금(2㎞이내) 30원에 탑승거리 초과 500m마다 50원씩 주행요금을 받았다. 1985. 11. 1일 부터는 거리시간병산제가 도입되어 기본요금 600원, 주행요금 500m 초과시마다 50원, 시간요금 96초마다 50원씩 수수했으며, 시간요금을 가산할 시는 시속 15㎞ 이하 주행될 경우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내교통 체증이 극심한 만덕로 일부와 가야로 일부에는 1987. 3. 15일 부터 시간요금을 적용하지 않은 때도 있었으나 1992. 12. 9일 동서고가로 1차 개통과 더불어 가야로 교통유통이 원활해짐에 따라 해제되었다. 일반택시 요금은 2001. 7. 2일 요금조정된 후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모범택시는 1994. 12월 제도도입 운행일부터 기본요금(2㎞)이 2,000원, 주행요금 250m 초과시마다 200원, 시간요금 60초 초과시마다 200원씩 수수하고 있다.


택시요금 조정내역

조정일자

소형택시

중형택시

기본요금

(2㎞까지)

주행요금

시간요금

기본요금

(2㎞까지)

주행요금

시간요금

1991. 2.13

750원

초과300m당 50원

72초당

50원

800원

초과424m당

100원

102초당

100원

1992. 6.14

800원

초과279m당 50원

67초당

50원

900원

초과381m당

100원

92초당

100원

1994. 2.15

-

-

-

1,000원

초과279m당

100원

67초당

100원

1995.10.15

-

-

-

1,000원

초과247m당

100원

60초당

100원

1998. 3. 1

-

-

-

1,300원

초과210m당

100원

51초당

100원

2001. 7. 2

-

-

-

1,500원

초과172m당

100원

42초당

100원

자료 : 대중교통과


3. 大衆交通 改善


1) 버스서비스 改善


  1990년대 이후 시내버스의 서비스 개선사업은 경제수준의 향상과 사회적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여 이용자 편의 위주로 대폭 전환되어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였으며, 서비스 개선사업을 꾸준히 추진하여 온 결과, 2002년 녹색교통운동 및 전국 71개 시민단체에서 평가한 시내버스 이용만족도 조사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등 이용자 편의 위주의 서비스 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① 시내버스의 고급화

  1995년부터 추진한 도시형버스의 냉방화사업의 추진실적은 2002. 12월말 현재 100%에 달하여 전국에서 가장 빠른 추진실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해양도시 부산의 도시 이미지에 부합되는 버스 외부 디자인을 개발하여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여 2002. 12월말 현재 45%의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위성항법장치(GPS)을 이용한 버스 정보 관리시스템을 2000년부터 도입하여 정류소 안내방송의 자동화와 운행관리를 첨단화함으로써 버스산업 IT분야의 성장을 주도하였다.


  ② 심야버스 및 특급좌석버스 운행

  경제활동의 다변화에 따라 심야시간대 이용시민 편의를 위해 23:40~02:00까지 운행하는 심야버스를 1995년부터 도입하여 2002. 12월말 현재 7개 노선에 49대를 운행하고 있으며, 1996년에는 도심과 시 외곽지역을 신속히 연계하는 특급좌석버스를 도입하여 현재 3개노선 31대가 운행중이며 운행 타당성조사를 통해 확대 보급될 전망이다.


  ③ 이용자 만족을 위한 서비스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실시중인 무사고 100일운동은 1996년 이후 2002. 12월말 현재까지 31개사가 92회 달성(연평균 35%업체)하여 전국 최우수 실적을 거두었으며, 부산업체중 규모가 큰 업체인 삼신교통의 경우 무사고 400일 이상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시내버스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국 최초로 1996년부터 운전자 근무복을 양복과 와이셔츠, 넥타이 등 정장으로 대체하여 품위 향상에 주력하였고, 1999년부터 추진해 온 운전자 친절 인사하기운동은 2002. 12월말 현재 73% 이상의 친절도를 보여 친절운동이 정착되는 추세이며, 아울러 서비스 지도점검반을 운영하여 평가를 통해 친절기사 표창 및 외국 선진지 견학, 개인택시면허 등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친절도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④ 환경친화적인 버스 운행

  천연가스 버스는 기존 경유버스보다 70% 이상까지 배출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고 특히 시민들이 체감하는 매연은 전혀 배출되지 않아 폐암 발생요인인 미세먼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오존 영향물질도 70% 이상까지 저감시킬 수 있어 대도시 오존 발생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에 우리 시는 2002년도 월드컵축구대회와 아시안게임 개최에 대비하고 대도시의 조속한 대기질 개선을 위하여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환경친화적인 천연가스버스(CNG버스)를 2001년부터 도입하여 2002. 12월말 현재 102대가 운행되고 있고, 점차 확대 보급할 계획으로 있어 대기환경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택시서비스 改善


1967년 당시 부산시내에는 834대의 택시가 운행되어 38개 택시업체가 평균 22대 정도의 차량을 보유한 소규모 경영으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였으나 이듬해인 1968년 전차 운행의 폐지와 더불어 업체수와 차량대수가 크게 증가되어 2002. 12월말 현재 71개 업체에 차량대수가 1,390대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택시 운송사업이 지입제 위주로 운영되어 사업경영 형태도 진부하고 보유차량도 노후하여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서비스 향상을 꾀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1979년도에는 택시 제도운영의 건실화를 꾀하기 위해 건설교통부의 택시지입화 특별보완 조치에 따라 당시 지입제로 운행되는 1,243대의 택시를 시한부(한시)로 전환·면허함으로써 지입차량의 정리를 실시하여 연차별 택시회사에 양도하거나 개인택시 면허로 전환하여 1986년까지 모두 정리되면서 택시 직영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에 대비하여 외래방문객에 대한 친절봉사와 공항택시의 무질서 행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1986. 4월 모범운전자 공항출입발대식을 실시하였으며 1988. 3월 중형택시 제도를 도입하여 운전기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냉·난방 장치 부착을 의무화하여 시민의 쾌적한 운송을 도모하고 대중교통수단인 택시를 고급교통 수단화하여 서비스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나 서비스 개선은 효과를 크게 보지 못하였고 시민의 불편은 여전하여 1994년 12월 마침내 모범택시제도를 도입, 택시 서비스의 획기적 전환 계기를 마련하였다.


  ① 중형택시 운행

  1988년 2월 8일 대중교통수단으로 전락한 택시를 고급교통수단으로 향상시키고 냉·난방장치 및 대기가스 정화장치, 타코메타기 부착을 의무화하여 운전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시민의 쾌적한 수송을 위해 대도시의 모든 택시를 단계적으로 중형화하기로 하였다. 당초 전환목표는 당시 총 면허대수(회사택시 8,120대, 개인택시 5,734대)의 30%로 잡고 회사택시는 업체별로 대수를 책정하여 증차나 대·폐차시 전환을 의무화하였고 개인택시는 신규면허시 중형차로 등록한 결과, 2002년말 현재 전차량이 중형차 이상으로 운행되고 있어 이용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는데 기여하였다.


  ② 모범택시제도 도입

  1992년 7월 2일 그 동안의 택시서비스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정책과 이용시민의 편의 증진을 위한 각종제도가 시행되어 왔으나 승차 거부, 합승행위, 난폭운전 등의 고질적인 택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고급택시제도 시행방안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고급택시제도 시행방안에 의하면 택시의 문제는 80%가 넘는 실차율과 20%이상 되는 수송분담률로 인하여 대중 교통수단으로 전락한데 있다고 보고 선진외국도시처럼 택시를 고급교통수단화 함으로써 필요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친절한 택시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 시는 1994. 12월 모범택시제도를 도입하여 498대를 인가, 배기량 1,9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로 법인택시회사를 위주로 운행하였다. 1997년 국가경제의 어려움으로 IMF(국제통화기금)의 통제시대가 발생하여 승객이 급감하고 외국인 전용차량으로 전락하는 등 경영상태가 악화되어 150대를 제외한 차량은 중형택시로 전환하여 운행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한편, 모범택시의 운행확대를 위해 1997년도에 개인택시 사업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여 2002년말 현재는 49대가 운행중에 있으며, 향후에는 미래발전적 경영마인드가 확실하고 택시의 고급화, 정보화에 앞장서고 있는 개인택시를 중심으로 운행하여 이용승객에게 한 단계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③ 운전기사휴게소 건립·운영

  운전기사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대시민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1997년 휴게소 건립계획을 수립하여 재송동, 다대동, 덕천동, 김해공항 등 5개소에 296백만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운전기사휴게소를 건립, 1일 평균 150여명(개소당)의 택시기사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일반차량 운전자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운전기사 휴게소 건립현황

소   재   지

건축면적(㎡)

사업비(천원)

개소일

  부산시 해운대구 재송동 885-2

48.36

68,924

1997.11. 6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1521-1

29.25

49,904

1998. 2. 9

  부산시 북구 덕천동 457-31

32.76

49,957

1998. 5.11

  부산시 사상구 덕포동 784

48.36

58,994

1998. 5.15

  부산시 강서구 대저2동 2779-1

39.90

69,000

1998. 6.16

자료 : 대중교통과


  ④ 택시 정보화사업(TAXI INFORMATION PROJECT) 추진

  2002년에 개최된 월드컵축구대회, 부산아시안게임 등 국제행사의 성공적 개최 및 택시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과 택시문화를 선진화하기 위해 외국어 동시통역, 택시 요금 전자결재, 영수증 발급, 콜시스템 확대(GPS) 등 종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택시정보화사업을 개인택시를 우선 민자투자사업으로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한국통신프리텔 외 5개 업체가 214억원을 투자하여 2002년말 현재 6,000대에 장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 차량을 목표로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종합단말기가 장착된 차량은 부산의 상징인 바다와 갈매기를 표상화한 로고 등을 부착하여 브랜드 택시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법인택시도 추진사업자 선정과 단말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택시 정보화의 앞날이 기대되고 있다.


4. 交通運營體系 改善(T.S.M)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다가온 자동차시대는 불과 몇 년 동안에 다양한 교통수요를 유발시켜 교통체증, 승객혼잡, 대기오염 등의 교통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같은 제반 교통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쉽게 고려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새로운 도로의 건설, 기존도로 확장, 지하철 건설, 입체교차로 건설 등의 교통시설 확충을 들 수 있겠으나 이러한 사업들은 소요기간이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까지 5~10년이하 소요되는 장기사업들이며, 또한 이 기간 동안 증가된 교통량에 대한 대책이 없으며 투자비도 대규모로서 계속적인 투자비 마련은 한계가 있고 당장의 교통문제를 해결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교통수요 조정보다는 공급적인 측면이 강한 문제가 있다.

  그래서 교통문제를 우리보다 먼저 접한 선진도시에서는 이미 1950년대 초부터 기존의 도시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통소요별로 고도의 공학적 접근방법을 도입, 단기적이며 투자비가 적게 소요되는 교통개선 기법을 연구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제기법들을 T.S.M(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따라서 T.S.M은 이미 건설된 교통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볼 수 있고 또한 단순히 교통시설의 운영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택시 운영개선이나 보행자의 안전 등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이러한 교통운영체계 관리기법은 구미 도시에서 1970년대 초반부터 실시된 교통대책의 일종이며, 이는 도시교통학 사조에 나타난 큰 변화로써 종전의 도로건설과 같은 장기적이고 투자적인 교통정책방향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교통운영체계 관리기법은 1950년대부터 다루어 오던 교통공학의 기법, 즉 교차로개선, 신호주기 조정, 도로시설물 관리 등을 토대로 하여 1970년대 초반에 들어오면서 교통에 관련된 각양각색의 단기적 교통개선기법을 교통운영체계관리 기법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틀 속에 포함시켜 체계화시킨 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교통체계관리기법을 적용하게 된 근본적 배경을 살펴보면, 유럽 도시에서는 교통체증으로부터 악화된 도심지를 자동차공해로부터 보호하려는 노력과 대중교통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끔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인 배려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미국과 유럽 도시에서는 1970년대부터 여러가지 종류의 교통영향관리기법이 개발되면서 2002. 12월말 현재 유럽의 130개 도시와 미국의 70개 도시에서 시행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 도시에서는 1970년대 중반부터 도입되어 도시교통개선 연구에 적용되어 오다가 1980년대 초반부터 서울에서 처음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부산의 경우에는 1987. 1. 1일 교통종합계획 업무를 담당할 교통기획담당관실이 발족되면서 교통운영체계 개선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02. 12월말 현재까지 41,653백만원을 투자하여 12개 유형의 사업으로 1,400개소를 개선하였다.

  이러한 교통체계관리기법은 그 효과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나 차량 교통량의 급격한 증가로 교통흐름이 복잡해지고 지금까지의 T.S.M 사업이 지점위주로 시행됨에 따라 교통정체현상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다른 지점으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교통축별 교통정체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통개선사업 마스터플랜 마련을 위해 교통축별 교통종합개선 5개년 사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T.S.M 사업 연도별 투자내역

구분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유형

12

2

10

11

12

7

7

7

6

8

11

5

8

4

7

5

개소수

1,400

84

238

125

214

150

309

59

22

28

22

6

34

41

36

32

사업비

(백만원)

41,653

950

2,868

2,040

2,662

2,397

2,800

2,596

11,576

1,150

2,879

315

2,188

1,795

2,631

2,806

자료 : 교통기획과


1) 交叉路 構造改善 事業


  그동안 기존의 교차로 설치형태 및 운영에 대한 교통공학적 기술축적 미흡으로 기 설치된 교차로 면적이 과다하여 교차로의 통과시간 증가 및 단위 녹색시간당 교통량이 저하되었으며, 횡단보도 위치의 부적정으로 2중 정차현상 발생 및 좌·우회전 교통량과 직진 교통량의 분리처리 미흡으로 교통처리용량이 떨어져 교차로 개선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02년말까지 572개소가 개선되었다.


교차로 신호체계개선사업 추진실적

   (단위 : 개소)

1988~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572

319

20

21

20

23

20

6

34

41

36

32

자료 : 교통기획과


  또한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사업으로 횡단보도 위치조정, 신호주기 단축, 교통류 방향별 분리처리 등을 통하여 교차로 교통처리체계를 합리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차선 및 신호체계 개선을 병행 시행함으로써 교통처리용량을 제고시켰다. 그러나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사업에 대하여는 일부 반대의견이 있으나 교통의 도류화 및 특히 안전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2) 交通信號體系 改善事業


  교차로의 각 방향별 교통량이 많지 않을 때는 자연적 교통흐름으로도 문제가 없으나 교통량이 증대하여 엉킴이 발생될 때는 큰 정체요인이 될 수 있고 사고유발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막대함으로 신호등 설치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신호등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1983. 12월 부산지방경찰청 교통과에서 교통정보센타를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교통신호기 총괄

(단위 : 기)

구  분

총 계

2001년 현황

2002년도 실적

신 설

철 거

교체,보수,이설

총  계

1,384

1,356

28

9

219

교차로

소 계

822

790

27

-

134

전 자

490

464

26

-

73

일 반

332

326

6

-

61

보  행

소 계

536

538

1

6

82

전 자

216

213

3

-

39

일 반

320

325

1

6

43

가변등

소 계

26

28

-

3

3

전 자

9

9

-

-

1

일 반

16

19

-

3

2

경보등

소 계

1,067

1,064

3

-

22

자료 : 교통기획과

지역별 교통신호기 현황(2002년말 현재)

(단위 : 기)

        구분

서별

교 차 로

보   행

가 변 등

경 보

전 자

일 반

전 자

일 반

전 자

일 반

1,384

490

332

216

320

9

16

1,067

중  부

27

18

 

2

7

-

-

21

동  래

132

43

31

27

31

-

-

87

영  도

41

10

9

7

15

-

-

63

동  부

32

14

2

5

11

-

-

40

부 산 진

98

42

13

14

23

2

4

125

서  부

47

17

3

14

13

-

-

49

남  부

135

61

16

22

30

-

6

86

해 운 대

196

54

77

19

46

-

-

163

사  상

122

56

22

24

20

-

-

59

금  정

85

20

22

13

30

-

-

120

사  하

135

44

29

19

40

1

2

80

연  산

84

32

9

19

14

5

5

46

강  서

143

36

64

21

22

-

-

81

북  부

107

43

35

10

18

1

-

47

자료 : 교통기획과


3) 一方通行制 및 貨物車 通行制限


  ① 일방통행제

  양방통행은 도로폭원이 협소하고 교통량이 많은 이면도로는 부적합하며, 교차로간 거리가 짧고 교차로가 많은 구역은 더욱 더 극심한 교통정체와 혼잡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교통사고 위험 가중 및 간선도로와 연계기능 미흡으로 전체 교통처리에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일방통행을 시행하게 되면 교통흐름의 단절방지와 교차로내 엇갈림 감소로 소통능력 증대 및 질서확립과 각 도로별로 교통량을 적정 분산하여 간선도로와 순환체계를 자연스럽게 형성시키게 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한 방향으로 단순화시켜 교통안전 제고와 보행편의 증진을 가져오게 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는것을 여러 사례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 시에서는 2002. 12월말 현재 372개구간(L=92.74㎞)에 대하여 일방통행을 시행하고 있으며 금후 구역단위 일방통행제 시행, 이면도로의 일방통행제 등을 적극적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일방통행 구간

구  분

1992년까지

1993~2002년

일방통행

372개구간 92.74㎞

74개구간 43.8㎞

298개구간 48.94㎞

자료 : 교통기획과

  ② 화물차 통행제한

  「도로에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구간을 정하여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는 도로교통법 제6조의 규정에 의거 우리 시에서는 교통체증이 극심한 간선도로의 출‧퇴근시간에 사람통행 우대라는 기본전제하에 산업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시간대별로 화물차 통행제한을 시행하고 있다. 앞으로 항만배후도로건설이 완료되면 주요간선도로에 대하여 컨테이너 등 대형화물차의 통행제한을 부산지방경찰청과 협의하여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4) 어린이保護區域 交通安全施設 補强


  어린이는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밝고 건강하게 자라나야 함이 주지의 사실이나  학교 주변에서의 교통사고 발생으로 어린이들의 보호에 미비점이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 시에서는 안전한 통학로 확보와 어린이들의 교통질서의식 함양을 위하여 학교주변에 교통안전시설을 지속적으로 설치해 왔으며 2002년까지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실적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실적

(단위 : 개소)

구  분

초등학교

유치원

비  고

지정수

77

-

77

 

자료 : 교통기획과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및 정비실적

신호기(기)

안전표시(개)

노면표시(개소)

신호기

경보등

소계

어 린 이

보호표지

속도

제한

표지

진입

금지

표지

기  타

서  행

표지등

소계

횡단

보도

어린이

보호

노면표시

기타

주의

지시

201

69

8,655

3,009

1,497

409

113

3,627

2,496

1,319

368

809

자료 : 교통기획과


5) 可變車線制 施行


  가변차선제는 도로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중의 하나로서 방향별 교통량이 심한 불균형을 이룰 때 주된 교통량이 통과하는 방향에 보다 많은 차선을 할당하는 기법으로 러시아워에 시행하고 평시에는 보통도로로 사용하는 것이 통례이며 이 기법 시행으로 시간당 처리교통량을 최고 30%정도 확대시킬 수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2002. 12월말 현재 우리 시의 실시현황은 9개구간 L=12.5㎞로서 교통여건이 허용되는 부분부터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가변차로제 설치 현황

가 로 명

시 행 구 간

운 영 시 간

거리(㎞)

시 행 일

비 고

수 영 로

문현교차로~KBS앞

사용중지(지하철 공사)

3.8

1989. 7

1990.11

1차 시행

2차 시행

만 덕 로

광덕물산덕천교차로

사용중지(지하철 공사)

2.4

1996. 5

 

괴정배고개

사하초교~배고개

출근 07:0010:00

퇴근 10:00익일 07:00

1.0

1990.12

2001.5 폐지

낙 동 로

구포고가교구포삼거리

출근 06:3009:30

일시중지(공사중)

1.8

1993.12

 

중 앙 로

양정R~서면R

출근 06:3009:00

1.8

1994. 3

 

서면R~광무교

출근 06:3009:00

0.7

1994.10

 

양정2PB~양정R

출근 06:3009:00

0.4

1996. 7

 

연산R~새약국

퇴근 18:0021:00(평일)

12:00~18:00(토요일)

0.6

1996. 7

 

교대R~연산R

출근 06:3009:00

0.6

1998. 7

2001.2 폐지

다 대 로

장림전화국성보냉장

출근 06:0019:00

1.2

1994. 3

2001.5 폐지

연 산 로

신리삼거리연제구청

출근 06:0009:00

0.2

1998. 8

 

을 숙 도

하구둑 다리위

출근 07:0008:10

0.8

2001. 7

 

자료 : 교통기획과


6) 버스 專用車路制 施行


  버스는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막대한 수송분담으로 그 기여도는 매우 크며 그러한 역할 분담 및 대중교통 우선이라는 민주적인 질서의식에 비추어 보아도 특별한 대책이 있어야 함은 너무도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수송효율이 높은 버스에게 통행우선권을 부여하여 정시성을 확보하고 대중 교통수단의 교통 원활을 도모하여 승용차 이용을 간접적으로 규제함으로써 노면교통의 정체 악순환을 완화하고자 1990년도부터 버스전용차선제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2002. 12월말 현재 실시현황은 19개구간 79.5㎞로서 금후 가야로 등 시역 내 주요 간선도로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버스전용차로제 실시노선 현황

노 선 명

구      간

연장(㎞)

시행일자

방 향

운영시간

비고

자갈치길

충무동R → 남포파출소

1.0

1987. 9

일방향

전  일

일방

명 륜 로

수안R → 명륜초등교

0.7

1989.10

일방향

전  일

 

구 덕 로

옛시청교차로 → 자갈치사거리

0.7

1993. 8

일방향

07:00~09:00

17:00~21:00

 

중 앙 로

금정경찰서 ↔ 옛 시청교차로

17.77

1994. 4

양방향

"

 

낙 동 로

대티터널 ↔ 하단교차로

3.9

1995.10

양방향

"

 

구포고가교 ↔ 낙동주유소

1.0

1996. 2

양방향

"

 

충 렬 로

원동IC ↔ 미남교차로

4.8

1997. 4

양방향

"

 

만 덕 로

광덕물산 ↔ 덕천교차로

1.8

1996. 2

양방향

"

중지

수 영 로

KBS앞 ↔ 문현교차로

3.8

2001. 8. 8

양방향

"

 

금 정 로

금정경찰서 ↔ 부산종합터미널

4.8

2001.11.15

양방향

"

 

가 야 로

서면교차로 ↔ 당감입구

0.68

2002. 9.27

양방향

"

 

자료 : 교통기획과


5. 交通誘發施設 整備


1) 市外·高速버스터미널 移轉


  ① 고속버스 정류장 이전

  1969년 12월 부산역 부근에 산재한 고속버스 정류장을 도심지 공해 및 교통난 완화조치로 1970년 11월 동구 범일동 860번지로 이전하였으나 도심권의 확장과 교통량의 증가로 1983년 9월 동래구 온천동 1412번지로 고속버스터미널을 신축·운영해왔다, 그러나 날로 가중되는 도심 교통난 해소를 위해 1993년 12월 행정쇄신위원회의 터미널 이전 검토요청에 따라 1995년 4월 고속버스 및 동부시외버스터미널 이전계획을 수립, 1998년 8월 터미널이전 기본계획안을 확정하였고 2000년 4월 이전에 따른 교통영향평가심의 및 실시설계용역을 완료하였으며, 2000년 11월 금정구 노포동 133번지 일원(55,275㎡)에 착공하여 2001년 9월 준공함으로써 명실상부한 현대식 터미널(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이전하여 운송을 개시하게 되었다.


고속버스 정류장 현황

이  전  전

이  전  후

추 진 내 용

·소재지 : 온천동 1412-4

·부  지 : 29,368㎡

·건  물 : 6동30,514㎡

·사업비 : 120억원

- 대 합 실 : 1,974㎡

- 정 류 장 : 11,359㎡

- 편익시설 : 1,445㎡

·소재지 : 노포동 133

·부  지 : 52,275㎡

·건  물 : 12,082㎡(4층)

·사업비 : 213억원

- 대 합 실 : 2,514㎡

- 정 류 장 : 44,900㎡

- 편익시설 : 1,689㎡

·1994. 3  터미널이전계획 수립

·2000. 4  터미널건립기본용역 수립

·2000. 5  도시계획시설 결정

·2000.11  착공

·2001. 9  준공 및 운송개시

자료 : 교통관리과


  ② 서부시외버스 정류장 이전

  서구 충무동 로타리에 위치한 경남버스 주차장을 부산진구 범일동 830번지로 임시이전하고자 하였으나 회사측의 반대로 이전하지 못하다가 1970년 10월 16일 동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러나 1971년 1월 12일 자동차정류장법이 공포 시행되고 1973년 5월 25일 부산시 고시 제279호로서 부산시 북구 괘법동 533번지 일대 33,597㎡를 정류장지역으로 지적고시 함으로써 잠정적으로 이전하여 운영해왔던 서부터미널을 도심 외곽지역으로 이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아울러 동 고시지역으로 이전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기로 하고 재부공과대학 교수를 초빙하여 부산시의 정류장 현황과 계획, 이전에 대한 시기 문제 등을 중점 검토한 결과, ① 이전계획지의 위치는 타당하다. ② 이전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으며 부지매입, 건축 등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므로 필요한 행정적 조치를 조속히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1976년 4월 1일 부산시에서는 경남버스 조합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7월말까지 부지를 매입하도록 권유하였으나 진척이 없어 20여회 에 걸쳐 사업추진을 촉구한 결과 1982년 9월에 사업자가 선정(서부시외버스터미널 주식회사 박남수)됨으로써 이전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어 1985년 2월 16일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완공하고 운송개시를 하였다.


서부시외버스 정류장 현황

이  전  전

이  전  후

추 진 내 용

·소재지 : 범일동 830

·운송일 : 1970년 10월

·차량수 : 18개사 604대

·건  물 : 6동 375㎡

·소재지 : 괘법동 533

·부  지 : 33,064㎡

·차량수 : 17개사 340대

·건  물 : 7동 연27,060㎡

·사업비 : 120억원

·1973. 5  지적고시

·1982. 9  사업자 선정

·1982.11  부지매수

·1983.10  공사착공

·1985. 2  운송개시

자료 : 교통관리과


  ③ 동부시외버스 정류장 이전

  동부시외버스 정류장은 1970년 10월 16일 서구 충무동 로타리에서 부산진구 부전동 61번지에 이전하여 운영하였으나 정류장으로서 시설이 미비하고 도심지에 위치하여 교통체증을 가중시킴으로써 도시교통난 해소를 위해 외곽지역으로 이전하고자 1973년 8월 31일 부산시고시 제341호로서 동래구 온천동 1412번지를 정류장 부지로 고시하였으나 고속버스 정류장 부지의 협소로 동 지역을 고속버스 정류장으로 합병하고 동래구 온천동 403번지 일원 36,300㎡를 이전지로 결정하여 1984년에 착공, 1987년 6월 5일 터미널을 준공하여 운송개시를 하였다. 그러나 계속 늘어나는 도심지의 교통체증 해소를 위하여 1993년 12월 행정쇄신위원회의 고속버스 터미널 이전 검토요청시 동일 이전 안건으로 추진하여 금정구 노포동 133번지 일원에 2001년 9월 고속버스 터미널 준공과 더불어 시외버스승객의 지하철을 통한 도심지 연계수송 등 현대식 시외버스 터미널을 준공하여 운송개시를 하게 되었다.


동부시외버스 정류장 현황

이  전  전

이  전  후

추 진 내 용

·소재지 : 온천동 502-3

·부  지 : 29,497㎡

·건  물 : 6동 연19,013㎡

·소재지 : 노포동 133

·부  지 : 52,275㎡

·건  물 : 12,082㎡(4층)

·사업비 : 213억원

- 대 합 실 : 2,514㎡

- 정 류 장 : 44,900㎡

- 편익시설 : 1,689㎡

·1994. 3  터미널이전계획 수립

·2000. 4  터미널건립 기본용역 수립

·2000. 5  도시계획시설 결정

·2000.11  착공

·2001. 9  준공 및 운송개시

자료 : 교통관리과


2) 貨物터미널 造成


  화물터미널은 1992. 11. 12일 화물유통촉진법 제28조 규정에 의거 화물터미널 공사시행인가를 받아 1993. 10. 23일 공사를 착공하였다.


  ① 사업추진경과

    ○ 1990.11.17   부산종합화물터미널(주) 법인설립

    ○ 1990.11.21   유통단지조성사업시행자 지정[부산종합화물터미널(주)]

    ○ 1992.11.12   화물터미널 공사시행 인가(191,670㎡)

    ○ 1993.10.23   화물터미널 공사착공

    ○ 1995. 3.14   부분준공 및 개장(공정 약 86%)

    ○ 1998. 4. 2   부도발생

    ○ 1998.12.16   화의인가(부산지법)

    ○ 2002.12. 3   화물터미널(주) 소유 주요자산(토지 및 건물) 경락 ⇒ 론스타사


  ② 사업개요

    ○ 위    치 : 사상구 엄궁동 651-1일원(낙동강입구 매립지)

    ○ 규    모 : 계획부지 57,980평(매입부지 50,953평) 건물 18,023평

    ○ 시 설 명 : 도시계획시설(유통업무설비 : 화물터미널 및 배송센타)

    ○ 사 업 비 : 1,243억원(부지매입 847, 공사비 396)

    ○ 사업기간 : 1993. 10~2003. 10. 31일(부분준공 86%)

    ○ 자 본 금 : 285.8억원(부산시 출자 28.9억원, 10.1%)

    ○ 사 업 자 : 부산종합화물터미널(주) 대표이사 황철호


  ③ 시설운영

    ○ 주차장면적 : 19,465평(2,700대)

    ○ 콘테이너야드 면적 : 15,599평

    ○ 입주업체수 : 172개사

    ○ 화물처리능력 : 화물차량 4,260대/일, 물동량 18,322T/일

    ○ 임직원 : 21명(임원 2, 직원 10, 계약직 9)


  ④ 부도발생사유

    ○ 자본금 대비 부지매입비 과다소요(평당 50만원 → 148만원)

      - 수자원개발공사의 토지는 1990. 11월 사업자지정 당시 평당 50만원으로 예상하였으나, 1991. 6월 계약당시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에 의거 공시지가 도입으로 평당 148만원에 계약을 체결하여 자본금 대비 금융비용이 과중되었음

    ○ 사업비 조달에 따른 금융비용 과중

    ○ 사업비 대부분을 은행융자에 의존하여 이자부담 가중

    ○ 출자(증자)에 의한 자본금 조성 한계

      - 12차에 걸쳐 7,363천주를 발행하였으나 참여주주 대부분이 영세한 운송사업자로 자금력이 부족하여 2,859천주만 인수(인수율 38.8%)

    ○ 부분준공 이후 시설이용률 저조(67%)


6. 駐車施設 擴充


1) 駐車施設 現況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주차난이 날로 심각해져 주차문제가 도시교통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2002년말 현재 우리 시의 총 주차장은 498,167면으로서 1992년말 133,899면에 비해 대폭 증가하였지만은 차량등록대수의 증가에는 따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 시에서는 차량구입전 자체 주차장을 확보하는 시민의식 전환, 도심진입억제를 위한 도심외곽지역 공영노외주차장 건설, 주차장 설치자금 지원, 내집 마당 주차장 갖기 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연도별 주차장 현황

    구분

연도

노  상

노외공영

노외민영

건물부설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개소

면수

1993

9,450

168,099

1,071

34,960

17

3,196

1,039

24,114

7,324

105,892

1994

18,200

282,207

1,064

40,528

21

4,791

1,297

27,628

15,400

198,255

1995

22,473

366,460

2,707

73,702

29

6,027

1,744

35,601

17,993

251,130

1996

22,233

331,576

3,163

77,445

36

5,464

1,920

38,375

17,114

210,292

1997

23,466

391,964

3,570

76,252

38

5,964

2,065

41,607

17,793

268,141

1998

22,839

401,500

3,200

51,000

62

6,500

2,231

42,200

17,346

301,800

1999

23,519

421,427

3,308

71,836

59

7,497

2,352

46,714

17,800

295,830

2000

24,520

439,274

3,737

79,032

73

9,282

2,343

46,297

18,367

304,663

2001

26,353

464,721

3,768

80,816

79

10,957

2,483

48,040

20,023

324,908

2002

27,468

498,167

3,668

75,983

90

11,976

2,575

49,387

21,135

360,821

자료 : 교통관리과,  주 : 주차장 확보율 - 1992년 32.9% → 2002년 54%


2) 駐車施策 推進


  부산시에서는 부족한 주차시설 확충을 위해 꾸준한 주차시책을 추진한 결과 1984년말 20,960면이던 주차장이 2002년말 498,167면으로 17년 사이에 무려 24배나 증가하였다.

  공영노외주차장 건설은 1989년이후 지하철1호선 동래역, 온천장역 등과 지하철2호선 전포역, 중동역 등에 차량의 도심진입을 억제하여 교통정체를 완화하고 도심 대기환경등을 개선코자 대규모 역세권주차장을 설치하고, 주차시설의 확충을 위하여 학교운동장 지하 등 공공용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차장을 건설하는 등 3,773개소 89,340면의 공영주차장을 관리하고 있으며, 또한 민영주차장을 확충하기 위해 1999년 주차장설치 신고제를 통보제로 전환하여 민영주차장 설치운영을 촉진하였다.

  또한 주차요금의 자율화 및 주차장 설치자금 지원 등 지원시책을 규제완화와 지원을함께 추진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는 내집 주차장 갖기사업과 주거지 주차정보 시스템 구축사업, 공영주차장 무인자동화시스템 구축사업 등 선진주차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건축물 등에 대한 부설주차장의 주차공간 부족에 따른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2002년 8월 주차장설치및관리조례를 개정하여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최소 1세대 1주차면 이상 확보될 수 있도록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대폭 강화하였다.


3) 駐車需給 展望 및 發展方向


  부산시의 주차시설은 지속적으로 확충되어 왔으나 양적 측면에서 자동차 대수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2002년 12월말 기준으로 주차면수 대 자동차 대수의 비는 0.541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년간 자동차등록수 및 주차면 증가 추이

최근 10년간 자동차등록수 및 주차면 증가 추이 그래프입니다.

자료 : 교통관리과


연도별 주차수급실태

연도

자동차대수

주차장수

주차면수

주차면수/자동차대수

1993

469,622

9,450

168,099

0.358

1994

535,108

18,200

282,207

0.527

1995

604,078

22,473

366,460

0.607

1996

671,958

22,233

331,576

0.493

1997

720,614

23,466

391,964

0.544

1998

719,862

22,839

401,500

0.558

1999

760,699

23,519

421,427

0.554

2000

812,369

24,520

439,274

0.541

2001

862,699

26,353

464,721

0.539

2002

921,084

27,468

498,167

0.541

증가율(%)

8.0

15.2

14.6

5.9

자료 : 부산통계연보


  차량 중 46%가 합법적인 주차장소가 없는 등 주차공간 부족문제가 심각한 실정으로이러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공영·민영주차장의 공급, 부설주차장 확보, 역세권 주차장 확충 등 공급방안과 주차장 상한제 확대시행, 강력한 불법 주·정차 단속 등 관리방안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연도별 주차정책 성과지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주차정책 성과지표

구  분

단위

1997년

2001년

2006년

2011년

적정기준

주거지주차장확보율

(차고지증명제 실시)

%

20

80

95

100

100%

주차장 상한제 실시

 

1급지

상업지역

1급지

상업지역

지하철역세권내상업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주차정보시스템

시행구

-

2개구

14개구

14개구

 

주거지전용주차제 실시

5개구

(시범실시)

14개구

(시범확대)

14개구

(전면실시)

차고지

증명제

실시

 

역세권 환승주차장 확보

2,496

4,000

7,000

10,000

 

무인자동화시스템

%

-

계획수립

100

100

’02년도 192면

현장적응

테스트 실시

역세권주차장 환승률

%

35.8

50.0

70.0

100

 

자료 : 부산광역시 교통정비기본계획(2000~2011)


  주차시설의 확충이 주차문제 해결에 있어 가장 좋은 방법이나 도심지내 주차시설 용지확보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 추진중인 내집 마당 주차장 만들기 사업, 주거지 전용주차제 실시 등의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일본에서 시행중인 차고지증명제와 싱가포르의 자동차 총량제 정책과 주차수요관리 정책 도입 등을 적극 검토하여 차량증가를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7. 디지털 交通인프라 擴充


1) 하나로交通카드시스템 導入


  하나로교통카드는 한 장의 I.C카드로 지하철·버스·택시·주차요금·유료도로통행료 등 교통요금은 물론 다른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 대가 지불도 가능한 전자화폐시스템이다. 하나로교통카드는 요금체계에 따라 일반용, 대학생용, 중·고생용 등 3종류로 구분된다.

  2002년말 기준으로 하나로교통카드 보급은 4,563천매(일반 3,015천매, 대학생 592천매, 중·고생 956천매)이다. 하나로교통카드 이용촉진을 위하여 카드를 이용할 경우 교통요금을 할인해 주고 있는데 시내버스의 경우 일반인은 700원에서 680원, 중·고생은 450원으로 할인해 주고, 좌석버스는 1,400원에서 1,300원, 특급버스는 1,500원에서 1,400원으로 할인되고 있으며, 지하철의 경우는 1구간은 일반인이 600원에서 540원, 중·고·대학생은 480원으로 할인해 주고 2구간은 일반인이 700원에서 630원, 중·고·대학생은 560원으로 할인해 주고 있다.

  그리고 경영상태가 어려운 마을버스도 10~20원을 할인·적용하고 있다. 하나로교통카드제 시행에 따라 시민들은 대중교통 이용시 현금과 토큰 등 각종 승차권을 소지하는 불편을 없애주고 규정된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업체에서는 교통수입금 관리의 전산화로 업체의 경영합리화를 꾀할 수 있어 사업자와 운전자와의 수입금 누수에 대한 오해 소지를 해소하여 노사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시는 교통이용자의 신속·정확한 파악으로 교통대책을 적기에 수립할 수 있고, 교통시설 확충 및 교통서비스 개선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요금 결정의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2002. 12월말 현재 하나로교통카드는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택시, 유료도로 톨게이트, 자판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그 사용범위를 확대하여 공영주차장에 2003년부터 연차별로 도입하고 인접 경남지역으로 사용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하나로 교통카드 도입경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시

항    목

세  부  내  용

1995. 7.25

하나로교통카드 시스템구축

기본계획 수립

·시스템구축 기본계획 수립

·간사기관 : 동남은행

1995. 9.16

하나로카드 추진협의회,

실무협의회 구성

·추진협의회 : 부산광역시, 교통주체, 동남은행

·실무협의회 : 추진협의회 소속 실무자

1995.11.24

하나로교통카드 기술자문단 구성

·기술자문 : 서울대, 부산대, LG산전 등 관련 전문가

1996. 2.15

하나로교통카드 추진협의회 심의

및 의결사항 통보

·하나로교통카드 시스템 구축 기본합의

·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확정

·리더기 부문 기술제안 공모

1996. 3.10

리더기 기술제안서 심사 및

업체선정

·리더기업체 선정 등(경덕전자, KD통신)

1996. 4. 2

하나로교통카드 추진협의회 개최

·추진상황보고, 시험운영 계획보고, 리더기 전시

1996. 8.10

하나로교통카드 운영협의회 개최

·하나로교통카드 운영협약서 체결

1997. 1~7

시스템 구축 및 테스트

·지하철 전시스템, 시내버스 517대, 택시 5,500대

1997. 8.26

하나로교통카드 추진협의회 개최

·카드운영 부속협약서 및 보안관리 협약서 체결

1997. 9. 1

하나로교통카드 부분 시행

·지하철1호선(581대), 시내버스(517대),

  택시(5,500대)

1998. 2. 3

버스, 지하철 전면 시행

·지하철1호선 전시스템(581개 단말기)

·시내버스 3,003대(예비차 포함)

1998. 6.17

마을버스, 도시고속도로 부분시행

·마을버스 89대, 도시고속도로 3개 요금소(6대)

1998. 8.20

마을버스, 도시고속도로 전면시행

·마을버스 341대(기장, 강서 제외)

·도시고속도로(동서고가로, 번영로) 3개 요금소

  (개금, 대연, 반여) 28개 게이트

1999. 6.30

지하철2호선(개통) 시행

·지하철2호선 1단계 구간(서면~호포) 시행

2001. 3

민자터널 전면 시행

·구덕터널, 만덕2터널, 황령터널, 백양터널

2001. 5

커피 자동판매기 시행

·부산대학, 공공기관 등 커피 자판기에 설치

2001.12.17

개인택시 시행

·개인택시 13,096대 가운데 7,216대 시행

자료 : 교통기획과

2) 交通情報蒐集·提供시스템 構築


  교통분산과 도로이용효율 증대로 교통혼잡 비용을 저감하고 최적경로 정보제공을 통해 희망 목적지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등 시민편의 극대화 및 시간대별, 요일별, 계절별 교통량을 분석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교통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조성을 목적으로 2001. 8월부터 교통정보수집·제공시스템 구축사업을 시작하여 2002. 9월 완료하였다.

  정보수집 방법은 교차로마다 교차로의 위치를 차량에게 알려주는 위치비콘을 설치하고 도로변에 프로브카(도우미 차량)의 정보를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비콘을 설치하여 프로브카가 위치비콘을 만날 때마다 주행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각 구간별 평균 통행 시간과 속도를 계산해 내는 시스템이다.

  이 사업은 2001. 8월 민간사업자인 ㈜비앤지로티스와 부산시가 협약을 체결하여 민간자본으로 추진한 것으로 총 사업비 80억원이 투자되었으며, 시 전역 편도 2차로 이상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인터넷, 가변교통안내전광판, 휴대폰, PDA, ARS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주요 정보는 기본교통정보(구간소통 정보, 정체구간 정보), 부가교통정보 (사고·공사정보, 최단·최적경로 정보), 지도정보(지형지물 정보, 맵 디스플레이), 홍보안내 정보(부산시정관련 홍보, 뉴스 속보) 등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3) 可變交通案內電光板(VMS) 運營


  부산의 교통정체는 날로 더해가고 시민들이 교통흐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은 상황에서 운전자가 교통진행 상황을 한 눈에 알고자 하는 정보제공의 욕구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연차별로 가변교통안내전광판을 설치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정체지역 등을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우회도로 안내 등 시민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 시는 2006년까지 총 100개의 전광판을 설치·운영할 계획이며, 2002. 12월말 현재 주요 간선도로와 도시고속도로 입구 등에 59개의 전광판이 운영되고 있다.

  운영 주체별로 살펴보면 민자유치로 설치한 문자형 35개와 경찰청에서 설치한 문자형 18개가 있고, 시가 설치한 방향표시형(도형식) 전광판 6개소가 있다.

  연도별 설치현황 및 계획은 다음과 같다.


연도별 설치현황 및 계획

연도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설치개수

100

7

(문자형)

31

(문자형)

21

(문자형 12

도형식  9)

6

(도형식)

15

15

5

자료 : 교통기획과

4) 交通데이터베이스 構築


  교통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분석·조회·출력할 수 있는 교통DB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2002년 4월부터 시 홈페이지「교통정보광장」을 통해 인터넷서비스를 하고 있다. 교통DB관리시스템은 각종 교통조사와 문헌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서 시민들이 교통과 관련된 자료를 보다 빠르고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교통관련 부서는 교통정책수립의 기초자료와 평가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에 의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펼칠 수 있다. 「교통정보광장」은 교통통계, 교통현황에 대한 많은 자료들을 지도와 연계하여 검색할 수 있고, 시민들이 대중교통수단의 불친절, 난폭운전 등 불편사항과 교통정책에 대한 건의사항도 인터넷을 통해 접수하고 처리할 수 있다.


8. 交通文化 定着


1) 事業用車輛 運行秩序 確立


  1963년에는 사업용차량이 2,634대에 불과하였으나 날로 사업용차량이 증가하면서  불법운행, 난폭운행 등으로 이용시민의 불편사례와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대도시의 새로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차량의 불법운행을 근절하여 시민의 교통편의와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시에 지도·단속부서를 설치하고 경찰과 합동으로 위반사항을 적발하여 과징금처분, 운행정지처분 등 행정처분을 함으로써 사업용차량에 대한 지도·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1992. 7. 1일 각 구청에 지역교통과를 설치하여 교통취약지에 대한 지도·단속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또한 사고 및 신고건수가 많은 빈발업체에 대하여는 별도 집중지도단속을 실시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민의 교통불편사항을 파악하여 명랑하고 편리한 생활교통을 구현하기 위하여 1983. 7. 1일부터 교통불편신고센타를 시청 교통지도과 및 경찰청 교통과에 설치하여 교통에 관한 애로사항이나 불편사항을 지속적으로 접수처리하고 있다.


법규위반차량 행정처분 내역

연도별

면허대수

(대)

처분대수

(대)

비율

(%)

면허취소

(명)

처 분 별(대, 천원)

운행정지

과징금

경 고

1993

44,437

5,445

12.2

20

468

1,123,065

4,977

1994

46,194

6,322

13.7

0

256

1,411,950

1,835

1995

49,338

5,200

10.5

22

373

1,091,900

68

1996

50,728

5,014

10.1

0

329

1,132,540

4,454

1997

51,927

4,230

8.1

0

70

878,480

0

1998

51,987

2,724

5.2

64

26

625,410

0

1999

56,306

1,879

3.3

19

9

587,410

0

2000

51,192

5,137

10.0

20

1,943

9,045,695

5,174

2001

64,558

4,987

7.7

11

51

435,300

3,393

2002

68,734

5,273

7.7

13

43

340,450

2,302

자료 : 교통관리과


2) 不法 駐停車 團束


  1990. 11. 2일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단속전담 인력 및 장비가 보강되어 지속적인 단속을 실시하여 왔으나 운전자의 주·정차에 대한 의식 및 준법정신 경시풍조로 불법 주·정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어 2001. 6. 29일 도로교통법의 개정으로 주차단속공무원을 확대하여 검·경 합동단속 및 16개 구·군의 집중단속 등 불법 주·정차를 줄여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속적인 주차장 확충을 통하여 주차질서가 확립될 때까지 불법 주·정차 단속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불법주차단속 현황

                                                                   (단위 : 대)

구분

1998

1999

2000

2001

2002

832,920

723,758

684,807

756,448

781,239

1월

65,923

48,044

55,565

37,084

72,711

2월

83,515

41,951

58,597

56,492

51,596

3월

86,565

63,096

75,756

75,860

69,442

4월

79,510

64,829

57,779

64,312

60,621

5월

59,507

60,761

63,782

62,349

66,801

6월

51,505

60,401

60,220

74,048

43,885

7월

76,102

65,903

58,070

71,180

69,783

8월

72,884

63,340

58,040

66,555

67,447

9월

69,853

55,580

44,267

56,617

64,719

10월

65,315

63,889

44,012

56,019

68,147

11월

69,104

68,867

52,421

67,926

74,342

12월

53,137

67,097

56,298

68,006

71,745

자료 : 교통관리과


9. 交通文化硏修院 運營


  운수종사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여객에 대한 서비스 증진 등을 위하여 필요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제27조 제1항), 시·도지사는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운수종사자가 연수기관을 직접 설립·운영하거나 이를 지정하여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시에서는 2001. 11. 1일 연수원설치및운영조례를 제정하여 운수종사자의 자질향상과 시민의 교통질서 확립을 위하여 사단법인 부산광역시교통문화연수원을 설립하고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다.

  2002. 4. 2일 우리 시와 연수원간 “연수원 운영 위·수탁계약서”를 체결하고(2002. 4. 2~2005. 4. 1, 3년) 연수원 관리운영, 운수종사자 교육, 시설물임대 등을 위탁하였으며, 282백만원의 시 예산을 투자하여 2002년 4월부터 연말까지 정기교육 143회 54,263명, 신규교육 32회 2,724명 등 총 56,987명에 대한 교육실시와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초등학교생)을 6회 2,542명, 시설임대 24건 5,122천원의 실적을 거두었다. 2003년도 교육은 연 233일 63,700여명을 대상으로 정신교육과 직무교육, 소양교육을 실시할 계획으로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수종사자의 자질향상과 시민의 교통질서 및 안전의식 향상으로 선진교통문화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연수원 시설 현황

소 재 지

면  적

기  구

  북구 금곡동 291-1

·대지 7,000평

·건물 1,285평(지하 1층, 지상 2층)

2과 13명

(원장, 교수부장, 총무과, 교학과)

자료 : 교통관리과


교통문화연수원 설립 추진경과

년 월

추   진   경   과

1982. 7

연수원설립지침 시달(교통부)

1984. 9

부산광역시운수사업체종사자교육시설설립및운영기금적립조례 개정

1984.11

종합연수원 건립기본계획 수립(새마을지도과)

1990. 7

도시계획사업 실시설계인가

1992. 2

부지매입 완료

1997. 2

부지조성 공사

1999. 9

도시계획사업실시설계 변경인가

2000.12

교통문화연수원 건립공사 착공

2001.12

법인 설립 허가 및 등기완료

자료 : 교통관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