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항공수송은 1948년 10월 30일 대한민국항공사(Korean National Airlines, KAL)가 미국에서 제작한 스틴슨(Stinson) 단발 경비행기 3대를 도입하여 서울~부산간을 취항함으로써 해방후 최초로 민간항공 수송이 시작되었다.
1958년 1월 30일 수영에 부산비행장을 건설하여 항공수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고, 항공수송이 빠르고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인식되면서 매년 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963년 9월 30일 김포국제공항에 이어 부산국제공항으로 승격됨으로써 항도 부산의 또 하나의 국제관문이 되었다.
1963년 9월 1일 한·일간(부산~복강간) 정기항공노선이 개설되어 국제선이 취항하기시작하였고, 수요가 늘어나는 항공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는 1962년 4월 26일 대한항공공사법시행령을 제정 공포함에 따라 1962년 11월 30일 대한민국항공사를 발족한지 14년만에 해산하고 1958년까지 민간항공을 공사체제로 운영하여 왔으나 만성적인 재정적자로 민간항공이 발전되지 못해 1969년 2월 28일 대한항공공사(KAN)를 민영화한 (주)대한항공(KAL)이 설립됨으로써 민간항공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경제성장과 더불어 매년 증가되는 국내외 여객 및 화물에 비례하여 부산국제공항 확장계획을 검토하였으나 지리적 여건 및 불리함 때문에 확장이 불가능하여 공군비행장이 위치한 김해로 국제공항을 이전하기로 확정하고, 1974년부터 기초조사 및 공항시설공사를 시작하여 1976년 8월 1일 준공하여 김해국제공항을 개설하였다. 이때부터 DC-10 등 대형항공기가 취항할 수 있는 전천후 국제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고 국내외 항공수송을 위한 부산의 관문으로 항공수송은 날로 발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1980년대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DC-10, A300-600, MD82, B767, B737 등 최신 기종이 투입되었고 공항운영의 원활화와 여객 서비스 증진을 위하여 1983년 5월 16일 공항 운영권을 한국공항공단으로 이관하였다. 이때부터 공항발전은 급속도로 이루어져 국제적인 행사인 ’86년 아시안게임과 ’88년 서울올림픽에 참가하는 외국인 수송에 큰 역할을 하였다.
1988년 12월 23일 제2의 민간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주식회사(AAR)가 설립되어 바야흐로 복수항공시대가 열렸고 매년 증가하는 항공교통량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 1989년 7월 18일 레이다 관리시설 신설공사를 착공하여 1991년 1월 15일 완공하였다.
날로 증가하는 공항여객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1989년 9월 22일 국내선 청사 신설공사를 착공하여 1992년 12월 15일 완공함으로써 연간 1,300만명의 여객을 수송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게 되었고, 태평양시대의 주요 관문인 부산의 국제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1991년 7월부터 1992년 3월 31일까지 평행활주로 신설을 위한 기초조사 및 설계를 완료하고, 1999년 설치를 완공함으로써 초대형항공기 B747~400기종 취항 및 미주지역 국제노선이 증설되었다.
아울러 노후된 국제선여객터미널 신축을 위해 공사기간중 대체시설인 임시 국제선여객터미널을 2002. 6월 완공하였고, 국제선여객터미널 신축공사는 2002. 12월 착공하여 2006년 완공할 계획으로 있다.
앞으로 부산이 국제물류 중심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공항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부산권 신공항 건설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추진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2. 輸 送
1) 輸送實績
① 국내선
연도별
여 객(명)
화 물(ton)
연도별
여 객(명)
화 물(ton)
1993
5,448,226
107,917
1998
6,539,249
138,492
1994
6,384,563
124,607
1999
7,151,853
148,979
1995
7,434,262
133,610
2000
7,887,892
166,991
1996
8,050,514
144,068
2001
1,498,982
50,094
1997
8,590,220
150,570
2002
1,801,927
60,218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② 국제선
연도별
여 객(명)
화 물(ton)
연도별
여 객(명)
화 물(ton)
1993
1,133,385
27,060
1998
952,526
34,224
1994
1,046,226
29,433
1999
1,116,163
40,492
1995
1,022,721
34,120
2000
1,335,464
49,442
1996
1,112,349
35,805
2001
1,498,982
50,094
1997
1,218,615
36,020
2002
1,801,927
60,218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2) 就航路線 및 機種
2002년말 현재 김해공항과 연결된 노선과 1993년부터 2002년까지 김해공항과 취항을 개시한 도시는 다음과 같다.
① 국내선
노 선
기 종
취항개시 내역
취항도시
취항개시일
인천, 김포,
제주, 양양
A330, A321, A300, B767, B737,
F100, F100, MD82
인천(대한·아시아나항공)
2001. 3.29
양양(대한항공)
2002. 4. 3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② 국제선
노 선
기 종
취항개시 내역
취항도시
취항개시일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까, 북경, 상해,
청도, 서안, 심양, 홍콩,
사할린, 모스크바,
방콕, 블라디보스톡,
사이판, 괌, 호놀룰루,
마닐라
A340, A330, A321,
A320, A319, A310,
A300, B767, B737,
IL62, MD90, MD82,
MD11F, MD11,
DC10, TU154
서안(중국 서부)
2001.10.28
모스크바(이스트라인항공)
2002. 9. 8
블라디보스톡(블라디보스톡항공)
1995. 8.28
사할린(사할린항공)
1998.10. 3
호놀룰루(노스웨스트)
2002. 4.18
마닐라(필리핀항공)
2000. 7.15
북경(아시아나항공)
1996. 6. 4
심양(아시아나항공)
2002. 6.18
괌(아시아나항공)
2002. 1. 5
방콕(아시아나항공)
1997. 6. 4
상해(대한항공)
1996.12.11
청도(대한항공)
2001. 9.11
홍콩(대한항공)
2002. 2. 8
사이판(대한항공)
2002. 3.31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3. 施 設
1) 釜山國際空港(수영)
해운대구 재송동 6번지에 위치하였던 부산국제공항의 부지면적은 1,094,133㎡였으며, 활주로 규모는 2,012m에 폭이 45m였다. 당시 활주로 길이 및 강도로서는 B-747 기종까지 취항 가능하였으나 계기착륙장치(ILS) 시설이 없어 악천후에는 항공기 취항이 불가능한 실정이었고 당시 1일 수송능력 2,400명 규모로서는 대형항공기 취항 등으로 급증하는 관광객과 수출화물을 감당하기가 어려워 1976년 8월 1일에 완공된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전 당시의 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산국제공항 시설규모(수영)
부지
여객청사
활주로
계류장
주차장
착륙대
항 행
안전시설
1일 수송능력
1,094,133㎡
6,503㎡
(2동)
2,012m×45m
20,000㎡
10,628㎡
167,000㎡
NDB(PN) VASIS
2,400명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2) 金海國際空港
① 1976년 8월 1일 개설한 김해국제공항은 급증하는 관광객과 수출화물 수송에 대처하고 활주로 길이와 강도를 국제규격화(2,740m×45m)하여 DC-10 등 대형항공기 취항이 가능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72.10. 2 부산국제공항 김해이전 대통령 재가
1974. 9.21 ~ 1974.12. 3 김해공항 개발 기술조사 실시
1975. 2.13청사 신축공사 시작
1975.12.30 국내선 청사공사 완료
1976. 6.30 국제선 청사공사 완료
1976. 8. 1 김해국제공항 개설
② 매년 증가하는 항공교통량의 원활한 관제를 위해 레이다 관제시설 신설사업을 1989년 7월 18일에 착공하여 1990년 11월 29일 완공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88. 4월~10월 기본설계(유신설계공단)
1989. 7.18 공사시작
1990.11.29 공사완료
1991. 1.15 운영개시
③ 서울~부산이 1일 생활화됨으로 인한 여객수요 급증에 따른 국내선 여객처리 능력해소를 위해 국내선 청사 신축사업을 1989년 9월 22일 착공하여 1992년 12월 15일 완공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87. 4.16 ~ 1987.10.20 기본설계
1987.12.30 ~ 1988. 9.29 실시설계(교우종합건축사사무소)
1989. 9.22공사시작
1992.12.15공사완료
④ 초대형 항공기 B747~400기종 취항 및 미주지역 국제노선 증설 등 김해국제공항을 국제 규격화하고자 평행활주로 신설사업을 1992년 7월말 착공하여 1999년 12월에 완공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87.10월기본설계 수립(3,200m×60m)
1991. 7월 ~ 1992. 3.31기초공사 및 설계완료(한국종합개발공사)
1992.10월 공사시작
1999.12월 공사완료
⑤ 관제사각지역을 해소하고 노후시설을 대체하여 항공기 안전운항을 도모하고자 김해공항 관제탑 신축공사를 1996년 5월에 착공하여 1998년 9월에 완공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95. 4월 ~ 1996. 9월 실시설계용역 완료
1996. 5월공사시작
1998. 9월공사완료
⑥ 국제선여객터미널 신축을 위하여 공사기간중 대체시설로 활용하고자 김해공항 임시 국제선여객터미널 신축공사를 1999년 12월에 착공하여 2002년 6월에 완공하였다. 그 추진 경위는
1998.12월 ~ 1999.12월 실시설계용역 완료
1999.12월공사시작
2002. 6월공사완료
⑦ 2000년대 증가하는 항공수요에 따른 지상교통 수요처리를 위하여 공항진입도로 체계 개선을 위해 김해공항 진입도로 입체교차로 건설공사를 2001년 12월에 착공하여 2004년 1월에 완공예정이다. 그 추진 경위는
1998.12월 ~ 1999.12월 실시설계용역 완료
2001.12월공사시작
2004년 공사완료(예정)
⑧ 대형 항공기 운항이 가능하도록 기존 유도로 폭과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김해공항 유도로 보강공사를 2002년 11월 착공하여 2005년 5월 완공예정이다. 그 추진 경위는
1997. 4월 ~ 1997.11월 실시설계용역 완료
2002.11월 공사시작
2005년 공사완료(예정)
⑨ 기존 노후된 국제선 여객터미널이 협소하여 2000년대 여객처리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김해공항 국제선여객터미널 신축공사를 2002년 12월 착공하여 2006년 완공예정이다. 그 추진 경위는
1998.12월 ~ 1999.12월 실시설계용역 완료
2002.12월 공사시작
2006년 공사완료(예정)
2002. 12월말 현재 김해국제공항의 시설현황은 다음과 같다.
김해국제공항 시설 현황
구분
여객터미널
(㎡)
화물터미널
(㎡)
부지(천㎡)
활주로(m)
계류장
(천㎡)
주차장
(㎡)
항행안전
시설
국내선
37,282
9,685
1,373
2,743×45
3,200×60
391
99,333
(3,167대)
ILS외 4종
국제선
18,647
7,860
자료 : 부산지방항공청
3) 釜山圈 新空港 建設
①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 부산은 국제물류 중심도시로서의 지리적 입지요건이 잘 구비되어 있으나 항만·철도에 비해 공항시설이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으로 항공시설이 국제물류 선점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세계 도시들이 허브(Hub)공항을 증설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우리 부산에도 대형 항공기를 수용하고 24시간 운영하는 세계적 수준의 공항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부산·경남권 일원 부지 약 350만평 정도로 신공항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② 김해국제공항의 실태 2002년 4월 중국 민항기 사고이후 건설교통부에서 시행한 「김해공항안전성확보방안」 용역결과에서 활주로 직선방향에 신어산(603m), 돗대산(237m)이 위치하여 항공기 이·착륙시 비행안전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추진되고 있는 김해국제공항 2단계 확장공사가 2005년에 준공되면 여객처리 능력이 현재 184만명에서 233만명으로 수용능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나, 우리 시 수요예측 조사결과 2005년에는 226만명에서 점차 증가 추세를 보여 2010년에는 589만명으로 시설수용의 한계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김해공항은 대형 항공기(B747, B767) 이용이 곤란하고 민항기와 군용기의 공동사용으로 관제권 이원화와 항공기 소음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주민생활불편 등이 잔존하고 있다.
③ 그 동안 추진상황 부산권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을 정부 등에 4차례 건의한 바 있으며, 남부권 국제공항 발전전략 심포지움 개최, 신공항대책팀(Task Force) 구성과 중앙정부의 설득 논리 등을 개발하기 위해서 2003년 4월에 「부산권 신공항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 연구」을 교통개발연구원에 용역 발주하여 동년 6월 11일 착수보고회를 마친 바 있다.
④ 향후 추진계획 「부산권 신공항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 연구」용역이 2004년 8월말에 완료되면 부산권에 신공항을 건설해야 하는 타당성이 더욱 논리적으로 개발될 것이다. 우리 시에서는 용역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안을 마련하고 정부를 설득하여 부산권 신공항 건설계획이 2005년도에 수정될 정부의 제2차공항개발중장기계획에 반드시 반영시켜 부산권 신공항 건설이 국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