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임해배산형의 지형적 특성을 지닌 도시로 바다를 매립한 지역을 포함하여 30% 정도만이 평지로 형성되어 있어 도로망 역시 과거에는 해안선을 따라 동서를 축으로 한 벨트형의 간선도로가 건설되어 왔다. 그러나 1995년 광역시로의 승격과 2002년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월드컵 등 개항이래 최대규모의 국제행사를 대비하여 지난 10여간의 도로건설 사업은 기존 동서축은 물론 남북을 축으로 하는 도로건설 사업도 활발하여 해상 물동량을 대륙으로 수송하고 대륙물류를 해상으로 운송하는 물류거점도시로서 거듭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100년을 내다보고 건설된 체계적인 도로망은 부산을 21세기 세계해양 수도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2. 基本 道路網
도심 교통체증 해소, 항만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 세계로 열리는 선진 해양도시 건설을 위해 수립한 부산광역시 도시기본계획과 대도시권 광역종합교통망 확충계획 등에 의해 추진한 기본 도로망은 다음과 같다.
1) 廣域高速道路 및 循環網
① 광역고속도로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 고
경부고속도로(부산~언양)
26.7
4→6차로
1998~2005
확 장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
33.9
4→8차로
1996~2001
확 장
남해고속도로지선
(냉정~감전)
20.0
4→6차로
2001
확 장
(신항만 배후수송로)
부산~대구간 고속도로
82.1
23.4
1995~2006
신 설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47.2
6차로
1998~2006
신 설
부산~거제간 고속도로
33.2
28.3
1998~2010
신 설(민자유치)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② 외곽순환고속도로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
고
좌천~월평(국지도
60호)
18.1
25
1999~2005
월평~김해
상동
(국지도
60호)
18.1
25
1999~2006
시행주체
: 경남
김해
상동~한림간
17.1
25
2006~2011
시행주체
: 경남
한림~진례간
4.5
25
2006~2011
시행주체
: 경남
남해고속도로(진례~장유)
12.0
4→8차로
1996~2001
시행주체
: 건교부
장유~과학산업단지
~부산신항
12.0
6차로
2006~2011
시행주체
: 건교부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③ 외부순환고속도로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
고
75호광장~녹산산단
~송정
국도2호선
9.0
35
1997년
준공
3개구간
: 18.24㎞
생곡매립장
접근도로
3.2
40
1997년
준공
해운대
신시가지 우회도로
6.0
30
1997년
준공
부산과학산업단지
진입도로
6.8
30
1996~2004
2개구간
: 21.15㎞
부산신항배후도로
(가락I?C~초정I?C)
14.4
40
1998~2007
명지대교
건설
5.1
6차로
2003~2008
4개구간
: 29.02㎞
제6도시고속도로
(초정I?C~구서I?C)
11.5
4~6차로
2003~2009
구서I?C~철마~일광
12.4
4~6차로
2004~2008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④ 내부순환도로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
고
66호
광장~구평고개
2.9
35
1988년
준공
5개구간
: 22.2㎞
감만동
4단계부두~도시가스
4.5
35
1994년
준공
컨테이너배수
수영도로(1단계)
1.9
35
1998년
준공
미남R~만덕터널~덕천I?C
6.2
35~40
1996년
준공
감전I?C~66호
광장
6.7
40
1993년
준공
감천항
배후도로
5.1
35
1994~2006
4개구간
: 23.75㎞
남항대교
건설
1.9
26
1997~2006
광안대로
건설
7.4
26
2002년
준공
다대항
배후도로 건설
9.3
40
1996~2005
천마터널
및 접속도로
1.6
35
2005~2007
4개구간
: 15.44㎞
영도통과도로
확장 및 고가도로
2.8
35
2003~2008
북항대교
건설
3.0
26
2001~2008
온천천
고가도로
8.0
26
2005~2008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2) 都市高速 道路網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
고
제1도시고속도로
(문현동~원동~구서I?C)
15.2
4차로
개설완료
1980년
준공
제2도시고속도로
(감전I?C~개금동~문현동)
12.7
4차로
개설완료
1994년
준공
제3도시고속도로
(제5부두~수정산~백양산~낙동강)
10.8
4차로
개설완료
2001년
완공
제4도시고속도로
(센텀시티~구서I?C~노포I?C)
15.9
4차로
2006년
?1단계
: 6.3㎞(준공)
?2단계
: 5.4㎞(1999년)
?3단계
: 4.2㎞(2006년)
제5도시고속도로(덕천I?C
~금곡시계~대동I?C)
6.0
8차로
2002~2010
다대항배후도로
3단계 구간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3) 主幹線 道路網
도
로 명
연장(km)
폭원(m),
차로수
사업기간
(개설시기)
비고
황령
제3터널
4.8
30~35
2002~2007
도심일원
터널 및 접속도로
전포로~하마정
1.5
35→100
1994~2006
병목정체구간
해소 L=34.49㎞
어린이대공원~하마정
1.5
15~20→25~40
2001년
준공
연산R~신리
삼거리
1.3
20→30~34
2002년
준공
가
야 로
3.5
30→50
2000년
준공
기장~송정간
6.5
8→30
2000년
준공
흑
교 로
1.0
13→25
2005년
준공
연산R~구,사직터미널
2.6
20→35~50
2001년
준공
전
포 로
1.5
25→50
2001년
준공
공
항 로
11.4
8→50
2001년
준공
광안해수욕장
해변도로
2.3
8→20
2002년
준공
사직~초읍간
도로
2.0
40~90
2002년
준공
미연결
도로개설
(7개노선)
L=10.795㎞
동매교~신평산단간
1.0
30~35
2002년
준공
구포대교~구포3동
토지구획정리구간
1.0
30~35
2004년
준공
북부산세무서~백양로
11.2
25~30
2002년
준공
황령산
순환도로
2.1
12
2000년
준공
민락?수영강변도로
2.1
30
2002년
준공
연산고분군~토곡
1.6
20
2003년
준공
자료 : 도로계획과, 부산광역시 도로정비기본계획
3. 道路現況
(단위 : ㎞)
연도
구분
총연장
개설도로
미개통도
도로율
(%)
포장
(%)
소계
포장도
사리도
1993
계
2,786.5
1,908.0
1,797.2
110.8
878.5
14.4
93.6
국도
113.0
113.0
113.0
-
-
-
100
광역시도
2,673.5
1,795.0
1,684.2
110.8
878.5
-
93.8
1994
계
2,766.5
1,945.2
1,838.8
106.4
821.3
14.8
94.0
국도
113.8
113.8
113.8
-
-
-
100
광역시도
2,652.7
1,831.4
1,725.0
106.4
821.3
-
94.2
1995
계
2,765.7
1,944.4
1,838.0
106.4
823.3
14.8
94.0
국도
113.0
113.0
113.0
-
-
-
100
광역시도
2,652.7
1,831.4
1,725.0
106.4
823.3
-
93.4
1996
계
3,010.0
2,194.4
2,149.3
45.1
815.6
16.1
97.5
국도
140.5
140.5
140.5
-
-
-
100
광역시도
2,869.5
2,053.9
2,008.8
45.1
815.6
-
97.8
1997
계
3,010.0
2,194.4
2,194.3
45.1
815.6
16.1
97.5
국도
146.4
146.4
146.4
-
-
-
100
광역시도
2,863.6
2,048.0
2,002.9
45.1
815.6
-
97.5
1998
계
3,134.5
2,267.9
2,225.1
42.8
866.6
16.7
97.9
국도
149.3
149.3
149.3
-
-
-
100
광역시도
2,985.2
2,118.6
2,075.8
42.8
866.6
-
98.0
1999
계
3,134.5
2,268.0
2,225.1
42.9
866.5
16.7
97.9
국도
154.6
154.6
154.6
-
-
-
100
광역시도
2,979.9
2,113.4
2,070.5
42.9
866.5
-
97.7
2000
계
3,149.9
2,366.0
2,325.4
140.6
783.8
17.2
98.3
국도
124.9
124.9
124.9
-
-
-
100
광역시도
3,025.0
2,241.1
2,200.5
40.6
783.8
-
98.2
2001
계
3,149.9
2,366.0
2,325.4
40.6
783.8
17.2
98.4
국도
124.9
124.9
124.9
-
-
-
100
광역시도
3,025.0
2,241.1
2,200.5
40.6
783.8
-
98.4
2002
계
3,296.1
2,562.8
2,522.3
40.1
733.3
17.9
98.4
국도
125.0
125.0
125.0
-
-
-
100
광역시도
3,171.1
2,437.8
2,397.3
40.1
733.3
98.3
자료 : 도로계획과
4. 道路施設物
1) 橋梁 및 陸橋 現況
연
도
교
량
육
교
개
소
연장(m)
개
소
연장(m)
1993
230
-
112
3,427.0
1994
237
-
124
3,829.0
1995
280
37,926.9
124
3,829.0
1996
310
39,650.9
130
4,529.0
1997
297
41,357.4
132
4,371.0
1998
301
48,350.1
140
4,590.0
1999
301
48,349.8
141
5,023.0
2000
298
46,678.5
146
5,024.0
2001
305
58,425.8
158
5,216.0
2003
292
51,078.8
157
5,460.3
자료 : 도로계획과
2) 터널 및 地下車(步)道 現況
연
도
터
널
지하차도
지하보도
개
소
연장(m)×2련
개
소
연장(m)
개
소
연장(m)
1993
10
15,720.0
5
1,550.0
17
1,374.8
1994
10
15,720.0
5
1,550.0
20
1,558.4
1995
11
19,440.0
5
1,550.0
23
1,664.6
1996
14
22,569.3
7
2,265.5
23
1,664.6
1997
15
23,669.7
10
3,194.5
22
1,355.9
1998
15
23,669.7
11
3,656.0
24
1,492.8
1999
15
23,669.7
11
3,656.0
27
1,659.0
2000
15
23,669.7
11
3,656.0
24
1,680.4
2001
33
32,887.4
13
3,736.0
26
1,836.0
2002
33
32,887.4
12
4,427.0
27
1,882.6
자료 : 도로계획과
5. 釜山거리의 街路燈
1963년 직할시 승격과 함께 충무R~영주1파출소~초량역(현 정발장군 동상부근)간에 한전용 콘크리트주 상단에 깔떼기(꼬깔)모양의 금구를 사용하여 형광등 300등을 설치한 것이 부산 가로등사에 실제적인 기원이라 볼 수 있다.
곧이어 1966년부터는 수은 램프가 도입되어 콘크리트주에 수은등 100W, 가오스형 등기구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1970년까지 948등을 운용하였으며, 1971년부터는 콘크리트주 대신에 원형마디 철관주로 바꾸면서 광원의 용량도 100W를 300W로 강화함과 동시에 배전선로도 가공방식에서 지중매설 방식으로 개선하여 도시미관을 고려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점멸방식 또한 수동식에서 일광자동 점멸방식으로 개량하였으며 1977년부터는 강관 원형 데파폴을 사용하게 되었다.
1971년부터 1980년까지 6,000여등이 증설되는 등 본격적인 가로등 설치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적·질적 성장과정에서 두 번의 에너지 파동에 의해 기설치된 가로등을 격등 소등해야 하는 등 어려움도 겪었으나 1982년 1월 5일 야간통행금지의 해제로 획기적인 전기를 맞이하였다.
전기요금 산정방식이 정액요금제에서 종량요금제로 변경되고 격등 소등제를 폐지하는 등 가로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효용성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에너지 소비절약 시책과 아울러 항구도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1983년부터 1987년까지 기존의 고압 수은램프 300W를 고압나트륨 250W로 개량하였으며 1984년부터는 해풍에 부식되지 않으면서 외관이 아름다운 FRP주에 조광면적이 넓은 세종로형 등기구를 적용하였다.
1985년부터 기존의 등주 부착형 일광식 자동점멸기 대신에 지상자립형 배전함으로 시설을 개량하기 시작하면서 1981년부터 1990년까지 12,246등을 증설하여 시내일원의 가로등 수량이 19,200여등에 이르게 되었다.
1991년 1월 17일 중동(걸프)전쟁과 관련하여 비상시 에너지절약 추진 시책에 따라 격등소등제를 시행하였고 1990년대 중반 전력개발이 실수요에 못미치는 등 수급의 불안정으로 인한 궁색한 대안으로 격등소등제가 지속되어 이로 인하여 시가지는 어두워지고 도심환경은 침체되는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그간 전력사정이 다소 호전되고 교통량이 폭증함에 따라 밤길 교통안전을 확보하고 시민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격등소등제는 대부분 해제하였으나 1998년말 IMF경제난 극복의 일환으로 전격적으로 격등소등제는 다시 실시되었으며, 현재에도 부분적으로 격등 소등제를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경제적 또는 국민정서상의 이유에 기인한 것으로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검토의 필요성을 안고 있는 부분이다.
2000년들어 시민생활 편의를 위해 밝은 밤길 만들기에 노력한 결과, 2002년 12월말 기준으로 가로등 56,112등, 교량등 1,237등, 터널등 26,422등 등 총 154,066등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의 기존 가로등 시설은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없지 않았으나 1991년 8월 28일 부산광역시 도로의 조명시설 및 관리기준에 관한 규정이 제정됨으로써 교통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준이 확립되었으며, 조명시설 본래의 목적인 도로의 효율적 기능 보완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며 품격 높은 도시환경 창조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고 하겠다.
연도별 가로등 현황
(단위 : 등)
연도
계
운
전 자
보
행 자
소계
가로등
교량등
터널등
지하
차도등
광장등
소계
보안등
육교등
보행등
지하
보도등
기타
1995
80,696
40,069
26,915
1,140
10,024
1,713
277
40,627
38,741
791
513
551
31
1996
89,743
46,522
32,030
823
11,782
1,713
174
43,221
41,346
793
377
675
30
1997
103,407
56,018
34,372
861
18,422
2,069
294
47,389
45,476
819
394
657
3
1998
117,042
65,114
38,235
878
21,777
3,765
459
51,928
49,373
879
950
679
47
1999
120,335
67,663
40,603
1,007
20,680
4,900
473
52,672
50,254
840
885
676
17
2000
123,324
69,393
42,172
1,112
20,680
4,930
499
53,931
51,321
894
855
676
16
2001
136,339
80,120
50,468
1,122
22,078
5,930
564
56,177
53,564
947
742
808
116
2002
154,066
93,410
56,112
1,237
26,422
8,982
657
60,656
57,578
906
683
981
508
자료 : 도로계획과
6. 街路名 制定
부산시 고시 제169호(1978. 3. 2)로 32개의 가로명을 제정한데 이어 1980년 10월에 준공, 개통된 도시고속도로를 부산시 고시 제184호(1980. 9. 8)로 번영로를 제정하였고, 부산시 고시 제405호(1992. 11. 12)로 총연장 10.59km를 개통한 바 있는 제2도시고속도로인 동서고가로를 추가 제정고시한 바 있으며, 부산시 고시 제252호(1997. 10. 9)로 5개 가로명을 제정하여 2002. 12월말 현재, 가로명이 부여된 노선은 총 90개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