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槪 說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시가 발전하여야 할 구조적
틀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구·군 행정의 바탕이 되는 주요 지표와
토지의 개발·보전, 기반시설의 확충 및 효율적인 도시관리전략을
제시하는 관련계획의 기본이 되는 전략 계획이다.
도시계획재정비는 개별적 법정 도시계획 즉, 지역·지구·구역의
지정 및 변경에 관한 계획, 도시계획시설의 설치·정비·개량에
관한 계획, 도시개발사업에 관한 계획을 일관된 체계하에 하나로 종합화한
계획이다.
도시계획재정비 사항이 곧, 주민의 건축 등 행위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계획내용이 도시기본계획과 비교하여 구체적이고 실현성 있는
내용을 담는다. 도시계획재정비는 법적 명칭으로 규정된 것은 아니며, 이미
결정되어 있는 각종 도시계획을 여건의 변화에 맞추어 재정비한다는 의미에서
편의상 사용하는 명칭이다.
도시계획재정비의 목표년도는 계획수립 시점으로부터 장래의 10년을 기준으로
하며,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 5년마다 재검토하거나 도시의 여건변화로 인하여
도시기본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수립하는 경우의 도시계획이다.
1972년의 제1차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계획재정비는 1963년 정부 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도시전반에 걸친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및 각종 도시기반시설을
결정한 것이다. 1972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1986년을 목표년도로 하는 중기계획이었다.
이 계획에서 도로 2,254개 노선 결정, 개발제한구역 86.2㎢ 지정 등 도시기능의
합리적 정비와 기존 시가지의 인구집중 억제에 대비하였다. 계획기간 중
실시집행을 위한 연차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1차년도 1972~1976년, 2차년도
1977~1981년, 3차년도 1982~1986년) 추진하였다.
제2차 도시계획재정비는 1985년의 2001년 도시기본계획(제2차도시기본계획)에
대하여 구체적인 도시종합계획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둔 중기계획이었다.
1980년을 기준년도, 1991년을 목표년도로 하여 집행기간을 1982~1991(10년간)으로
하였으며, 그에 따른 5개년 단위의 단계별 집행계획을 수립(1단계 1982~1986년,
2단계 1987~1991년)하였다. 도시계획구역 확장, 도시계획용도지역 변경,
도로확충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특히 자연녹지지역 15.472㎢를 폐지하여
주택, 상업, 공업 등 시가용지로 변경한 것이 특징이다.
제3차 도시계획재정비는 1992년의 제3차 도시기본계획에 따른 구체적 실천을
위해서 1992년을 계획기준년도로 하고, 2001년을 목표년도로 하여 1995년
5월 6일 결정되었다. 단계별 집행계획(1단계 1992~1996년, 2단계 1997~2001년)을
수립하고, 목표년도 계획인구 4,503천명을 수용할 택지 확보를 위한 주거지역
면적을 확장하였으며, (주거지역 99.35에서 114.6㎢로 15.25㎢ 증가) 확장될
주거지역은 공영개발을 유도하여 계획단위개발(PUD : planning unit development)을
통해 사업시행시 용도지역을 지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개발전에 미리 용도지역변경 결정을 하고, 그 개발권을 개별 토지소유자에게
돌아가게 하였던 종전의 방식과 다른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도지역
변경으로 인한 개발이익이 가능한 공익으로 환원될 수 있었고, 계획적인
대단위 시가지 조성이 용이했던 것이다.
한편 2000년대 도시계획을 다룬 제4차 도시계획재정비는 2000년 2월 수립하여
도시계획결정 중에 있다. 제4차 도시계획재정비는 2011년을 목표로 하는
제3차 도시기본계획(수정)에 따른 새로운 도시기능의 수용 필요성 때문이었다.
계획의 기준년도는 1996년, 목표년도는 2006년으로서 인구계획은 4,240천명이다.
부산시의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계획재정비수립 변천을 정리한 현황은 아래와
같다.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계획재정비 수립 현황
차수별 계획명칭 |
승인 또는 수립일자 |
계획년도 |
계획인구 (만명) |
계획구역 (㎢) |
사유 및 주요내용 |
기준 |
목표 |
제1차
도시 기본계획 및도시계획 재정비 |
1972.12.30 |
1972 |
1986 |
270 |
391.20 |
·최초
부산도시종합계획 |
제2차
도시 기본계획 |
1985.
7. 4 |
1980 |
2001 |
480 |
569.00 |
·낙동강
하구 매립 신도시 조성 ·부산경계구역
확장 |
제2차
도시 계획 재정비 |
1986.12. 2 |
1980 |
1991 |
420 |
548.40 |
·도시계획구역
결정 ·용도지역, 지구, 도로 등 변경 결정 |
제2차
도시 기본(수정) |
1990.11.30 |
1980 |
2001 |
480 |
569.00 |
·해상신도시계획
수용 |
제3차
도시 기본계획 |
1992.11.13 |
1990 |
2011 |
480 |
805.50 |
·낙동강,
장산, 가덕, 지사, 명지
지역 등 추가 편입 ·경부고속전철
건설 등 계획 |
제3차
도시 계획 재정비 |
1995.
5. 6 |
1990 |
2001 |
450 |
647.30 |
·용도지역,
지구, 시설 등 변경 결정 |
제3차
도시 기본계획(수정) |
1996.12.18 |
1994 |
2011 |
450 |
1,052.80 |
·기장군
및 진해시 일부 편입 ·항만,
어항구역추가 지정 |
제4차
도시 계획 재정비 |
2000.
1. 8 |
1996 |
2006 |
424 |
951.03 |
·가덕신항만
계획 수용 ·용도지역
세분화, 도시경관
보전계획 수용
·용도지역, 지구, 시설 등 |
자료 : 도시계획과
2.
2001年 都市基本計劃(1982~2001年)
정부가 1981년 12월 31일 대통령공고 제80호로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을
확정, 공포함에 따라 부산시는 상위계획을 지침으로 하여 도시계획의 골격이
되는 도시기본계획(장기도시개발의 지표결정, 목표연도 2001년)을 수립하여
1985년 7월 4일 건설부 확정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범위내에서 도시계획 재정비계획을
수립, 1986년 12월 2일자 건설부 결정고시되어 1987년 9월 지적고시하였으며,
2001년 목표연도의 도시기본계획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計劃의 基本方向
○ 2000년대를 조망한 장기적인 도시종합계획을 위한 개발모형의 정립
·고도산업사회 및 과학기술발전과 변화에 따른 대비
·국제적인 항만 및 상공도시로서의 산업생활기반의 정비
·기능 및 지리 특성에 따른 권역공간의 효율적 개발, 이용과 보전
○ 광역도시권 지위를 위한 권역내 정주 및 교통체계의 재편입
·수도권정비계획에 준하는 부산권정비계획의 배려
·도시권 정주구조의 개편과 광역교통체계의 효율적인 정비
·계획인구의 추정과 광역도시의 기능, 공간 재편입
○ 상위계획의 개발정책에 부합되는 장기적인 도시기본계획의 수립
·법정 도시계획의 기본목표에 따른 세부지표 및 기준의 설정
·부산권 및 동남해안 공업Belt의 중추적인 관리기능도시의 정비
·대도시 생활권의 중심도시로서 광역도시개발체계의 정립
2)
計劃期間
○ 도시기본계획 : 1982~2001년(20년 장기계획)
3)
計劃人口
구
분 |
1980 |
1986 |
1991 |
1996 |
2001 |
계획인구(천인) |
3,160 |
3,850 |
4,200 |
4,600 |
4,800 |
년평균증가율(%) |
- |
3.3 |
1.8 |
1.8 |
0.9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84년)
4)
經濟規模 및 所得水準 展望
구
분 |
단
위 |
1980 |
1986 |
1991 |
1996 |
2001 |
전
국 |
G.N.P
년평균성장률
1인당
G.N.P |
10억원
%
천원 |
35,031.0
6.0
919.0 |
53,677.0
7.5
1,283.0 |
75,358.0
7.0
1,680.0 |
103,245.0
6.5
2,159.0 |
138,240.0
6.0
2,734.0 |
부
산 |
G.N.P
년평균성장률
1인당
G.N.P
제1차산업
제2차산업
제3차산업
|
10억원
%
천원
10억원
%
10억원
%
10억원
% |
3,418.0
11.9
1,062.0
117.0
3.4
1,336.0
39.1
1,965.0
57.5 |
5,397.0
7.9
1,402.0
104.0
1.9
2,194.0
40.7
3,099.0
57.4 |
7,899.0
7.9
1,881.0
215.0
2.7
3,247.0
41.1
4,437.0
56.2 |
11,190.0
7.2
2,433.0
280.0
2.5
4,655.0
41.6
6,255.0
55.9 |
15,687.0
7.0
3,268.0
375.0
2.4
6,612.0
42.1
8,700.0
55.5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84년)
5)
都市環境指標
구
분 |
단
위 |
1980년 |
1986년 |
1991년 |
1996년 |
2001년 |
면
적 |
행정구역
도시계획구역 |
㎢
㎢ |
433.4
467.6 |
433.4
478.6 |
476.0
569.0 |
46.0
569.0 |
491.3
569.0 |
주
택 |
가구당인구
총
가 구
보
급 률 |
인
천가구
% |
4.6
690.0
56.1 |
4.2
910.0
62.3 |
3.9
1,087.0
68.3 |
3.7
1,243.0
72.0 |
3.6
1,333.0
75.0 |
상
하
수
도 |
상수도보급률
1일1인당급수
하수도보급률
1일1인당급수량 |
%
ℓ
%
ℓ |
88.0
275.1
50.2
280.0 |
93.0
350.0
60.0
350.0 |
98.0
400.0
70.0
400.0 |
98.5
430.0
85.0
430.0 |
99.0
450.0
95.0
450.0 |
교
통 |
도
로 율
포
장 률 |
%
% |
102.0
58.5 |
13.0
65.0 |
18.0
80.0 |
20.0
88.0 |
22.0
95.0 |
통
신 |
자동차보유대수
전화가입대수
전신전화국 |
대
대
개소 |
62,419.0
276,838.0
14.0 |
136,000.0
356,700.0
18.0 |
202,600.0
543,500.0
28.0 |
282,400.0
723,000.0
37.0 |
355,700.0
889,000.0
45.0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84)
6)
土地利用計劃
(단위
: ㎢)
구
분 |
1980년 |
2001년 |
비
고 |
계 |
467.59 |
569.00 |
(증)
101.41 |
주
거 지 역 |
84.84 |
107.22 |
(증)
22.38 |
상
업 지 역 |
13.88 |
18.33 |
(증)
4.45 |
공
업 지 역 |
29.73 |
38.34 |
(증)
8.62 |
녹
지 지 역 |
339.74 |
328.79 |
(증)
10.35 |
미
지 정 |
- |
76.31 |
(증)
76.31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84년)
7)
交通計劃
도시내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부산시 교통체계를 대순환도로, 간선도로,
지구도로로 체계화하여 대순환도로는 고속화하여 도심통과 교통량을 처리하도록
하였으며 지하철 5개노선을 건설하여 대중교통을 버스중심에서 지하철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따라서 광역간선도로망계획으로는 낙동대로(B=30~40m, L=23㎞)를 계획하여
항만물동량 처리와 남북 순환기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해 장림동에서 북구
금곡동간을 계획하였으며, 동서대로(해운대에서 남해고속도로로 연결) 및
해안도로(장림에서 수영간)도 건설할 계획이다.
또한, 3대 순환도로망을 계획하여 제1순환선을 부두도로~부산대교~해저터널~감만항을
연결토록하고 제2순환선을 장림~사하~서면~황령산터널~대연~감만~해저터널~감천~가덕으로
제3순환선을 가덕~대저~만덕~안락~수영~감만~해저터널~감천~가덕으로 계획하였으며,
간선도로망 기능강화를 위해 도시고속도로계획 및 고속전철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다.
8)
住宅計劃
부산의 주택보급률은 1980년(기준년도) 현재 56%에 불과한 실정으로서 주택보급의
원활을 기하기 위해 1991년 12월 기준 60.9%를 목표연도인 2001년까지 75%
수준으로 높일 계획으로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신규 주택단지 개발을
적극 추진하며, 불량주택지 재개발과 택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공동주택을
대량 건설하여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9)
觀光計劃
지역여건상 부산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관광객 유치 및 관광개발을
위하여 관광위락공간과 관광휴양지구의 개발과 육상 및 수상연계체계를 활성화하여
유기적인 개발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역점개발사업을 간략하게 나열하면, 임해대단위 종합관광단지를 개발(수영만~송정연안간)하고,
자연환경과 문화·사회적 관광자원의 확보와 보전을 위해 금정산성~태종대간을
연계·개발하도록 하며, 그 외에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도시전역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종합적인 계획이 수립되었다.
3.
1986年 都市計劃 再整備
제2차 도시계획재정비는 1985년의 도시기본계획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종합계획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둔 중기계획이었다. 1980년을 기준년도, 1991년을 목표년도로
하여 집행기간을 1982~1991년(10년간)으로 하였으며, 그에 따른 5개년 단위의
단계별 집행계획을 수립(1단계 1982~1986년, 2단계 1987~1991년)하였다.
도시계획구역 확장, 도시계획용도지역 변경, 도로확충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특히 자연녹지지역 15.472㎢를 폐지하여 주택, 상업, 공업 등 시가용지로
변경하는 도시계획(안)이 작성되어 시민 공직회(관계 전문가 초빙) 및 공람공고
등으로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1981년 12월 2일 건설부로부터 결정고시되어
1987년 7월 지적 고시되었다.
4.
2011年 都市基本計劃(1991~2011年)
부산시는 1981년 정부에서 수립한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수용하여 1985년에
2001년을 목표연도로 한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준으로 도시계획을
시행하여 왔으나 1986년에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이 수립되고
1989년에 명지, 녹산, 가덕 등이 부산시에 편입됨으로써, 부산시 장기도시개발
방향의 재설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정부는 특히 성장관리도시로 도시개발을 억제하여 왔던 과거의 부산시에
대한 도시개발정책을 수정하고, 부산을 수도권과 대등한 경제권을 형성할
동남권의 중추도시기능을 부여함으로써 2000년대 환태평양시대를 주도할
국제무역도시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부산시에서는 2011년을 목표연도로 한 새로운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여
1992년 11월 13일 건설부 변경승인을 득하였으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基本構想
① 개발목표
21세기에 대응하는 부산직할시의 위상에 부응하고, 장래 정치·경제·사회적
여건 변화에 대비하여 도시개발의 목표를 다섯가지로 설정하였다.
·목표1 : 시·군·구 지방자치제 실시에 부응하여 도시내
지역간의 균형발전을 유도
·목표2 : 기존의 도시문제를 해소하고 사회적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시민위주의 쾌적하고 개성있는 도시환경의 창출
·목표3 : 침체일로에 있는 부산도시경제 고도화, 활성화 촉진
·목표4 : 지역경제권의 중심도시로서 지역경제의 발전선도 및 광역적
기능분담체제 확립
·목표5 :국제활동의 중심지로서 서울에 이은 국가의 부핵으로서의
부산시의 도시 위상 확립
② 개발전략
설정된 도시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발전략은 다음과 같다.
·부산직할시의 현행 단핵구조를 다핵화하고, 주거·생산·여가·교통
등의 주요 도시기능을 도시내 지역간으로 분산배치
·현안 도시문제에 대처하여 교통시설, 주택 등 도시기본수요를 대폭
확충하며, 자연과 인공환경의 조화를 모색
·해안 및 구릉지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도시성장의 제약조건 극복
·여가공간의 확보와 도시환경의 개선에 주력하여 노인복지시설의
확충 및 시민복지체제의 구축
·금융·업무·교통 등 산업중추기능을 대폭 확충하고
첨단기술을 제조업 등 각부문에 도입하여 경제성장의 기반 구축
·인구·산업 및 광역도시시설의 광역적 분담체계를 확립
·국제항만과 공항기능을 확충, 정비하고 국제활동의 지원기능을 육성
③ 주요 정책수단
장래 부산직할시 개발의 목표와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주요정책수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부도심 및 생활권중심의 육성
·교통시설의 확충, 정비 : 도시고속도로, 전철, 지하철, 주차장
·경사지의 불량주택지 정비 및 도심지 재개발
·산지, 구릉지의 활용 및 보전
·시가지내 입지 부적격시설 이전, 정비
·해상신도시 건설
·명지, 녹산산업기지 개발
·을숙도 및 낙동강변의 고수부지 정비
·북항 수변공간의 정비
·첨단, 임공산업단지 건설
·전문유통단지의 분산, 조성
·광역도시계획의 수립, 시행
·국제공항의 이전, 확충
·항만기능의 확충 및 현대화
·국제활동을 위한 지원기능의 확충
2)
21世紀 釜山直轄市 位相
○ 국제적 차원 : 국제교역 및 국제관계 활동의 중심
○ 국가적 차원 : 서울시의 대응거점이자 국제화의 부심
○ 지역적 차원 : 지역경제 성장의 견인차로서 중추지원기능 및 고급 광역서비스의
중심지
○ 도시적 차원 : 모든 계층이 고루 잘 사는 쾌적하고 개성있는 도시
3)
計劃期間
○ 계획기준년도 : 1990년
○ 계획목표년도 : 2011년
○ 계획기간의 단계구분 : 1992년부터 2011년까지를 5년 단위로 4단계로
구분
4)
主要指標
구
분 |
단
위 |
1991 |
1996 |
2001 |
2006 |
2011 |
인
구 |
계획인구
년평균증가율 |
천인
% |
3,912.0
1.7 |
4,248.0
1.7 |
4,803.0
1.2 |
4,689.0
0.8 |
4,800.0
0.5 |
도
시
경
제
구
조 |
15세이상인구
노동참가율
경제활동인구
취
업 인 구
취
업 률
1차산업인구
2차산업인구
3차산업인구
총
생 산
1인당
총생산
1
차 산 업
2
차 산 업
3
차 산 업 |
천인
%
천인
천인
%
%
%
%
10억원
천원
10억원
10억원
10억원 |
2,918.0
74.6
1,399.0
1,343.0
96.0
40.0
533.0
770.0
11,646.0
2,977.0
233.0
3,518.0
7,895.0 |
3,279.0
77.2
1,668.0
1,610.0
96.5
40.0
630.0
940.0
18,165.0
4,276.0
297.0
6,409.0
11,458.0 |
3,548.0
78.8
1,920.0
1,862.0
96.9
40.0
717.0
1,105.0
27,833.0
6,181.0
398.0
10,510.0
16,295.0 |
3,723.0
79.4
2,166.0
2,101.0
96.9
40.0
798.0
1,263.0
42,207.0
9,001.0
531.0
16,973.0
24,702.0 |
3,864.0
80.5
2,388.0
2,316.0
96.9
40.0
869.0
1,407.0
61,496.0
12,811.0
713.0
25,381.0
35,401.0 |
토
지
이
용 |
도시계획구역
시가화구역
주
거 지 역
상
업 지 역
공
업 지 역
1인당
녹지면적 |
㎢
㎢
㎢
㎢
㎢
㎡ |
647.3
144.5
95.6
16.0
33.0
10.1 |
805.5
163.1
106.6
18.6
37.9
9.7 |
805.5
174.5
114.6
19.0
41.0
9.6 |
805.5
182.1
119.6
19.5
42.9
10.5 |
805.5
187.1
121.5
20.3
45.4
10.4 |
택
지 |
가구당
인구
총
가 구
주택실수요가구
주택보급률
주택실수요 |
인
천가구
천가구
%
천호 |
3.9
1,003.0
941.0
60.0
565.0 |
3.7
1,148.0
1,066.0
74.4
708.0 |
3.4
1,324.0
1,212.0
89.2
897.0 |
3.1
1,513.0
1,361.0
91.0
1,116.0 |
2.8
1,714.0
1,508.0
92.0
1,357.0 |
상
·
하
수
도 |
상수도보급률
1일1인당급수량
총
급 수 량
하수도보급률
1일1인당오수량
총
오 수 량
하수종말처리장 |
%
ℓ
천MTD
%
ℓ
천㎡/일
개소 |
97.8
367.0
1,404.0
91.3
345.0
1,232.0
2.0 |
98.4
382.0
1,610.0
89.3
372.0
1,410.0
4.0 |
98.7
417.0
1,854.0
89.2
411.0
1,649.0
6.0 |
99.1
439.0
2,039.0
89.7
432.0
1,816.0
8.0 |
99.4
448.0
2,137.0
90.2
440.0
1,905.0
10.0 |
교통
·
통신 |
도
로 율
자동차보유수
전화가입대수 |
%
천대
천대 |
13.6
347.0
1,201.0 |
15.2
473.0
1,549.0 |
18.0
880.0
1,896.0 |
20.0
982.0
2,327.0 |
22.0
2,265.0
2,767.0 |
보
건 |
의
사 수
치과의사수
병
상 수
종
합 병 원
보
건 소 |
인
인
상
개소
개소 |
3,500.0
530.0
14,000.0
20.0
12.0 |
4,500.0
700.0
19,000.0
25.0
13.0 |
5,200.0
950.0
23,000.0
30.0
14.0 |
6,500.0
1,040.0
29,000.0
35.0
15.0 |
7,500.0
1,500.0
33,000.0
40.0
16.0 |
교
육
시
설 |
국
민 학 교
학급당학생수
중
학 교
학급당학생수
고
등 학 교
학급당학생수 |
개소
인
개소
인
개소
인 |
238.0
47.6
136.0
52.0
111.0
52.0 |
265.0
39.7
153.0
47.5
121.0
49.6 |
290.0
36.1
174.0
43.0
140.0
45.2 |
318.0
34.5
185.0
40.9
180.0
37.8 |
331.0
33.0
212.0
37.6
210.0
35.0 |
사
회
복
지
·
문
화 |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시설
공공도서관
장
서 수
문
화 관
박
물 관
동·식물원수 |
개소
개소
개소
천권
개소
개소
개소 |
15.0
9.0
15.0
800.0
2.0
2.0
2.0 |
30.0
13.0
20.0
1,180.0
4.0
3.0
3.0 |
50.0
18.0
31.0
1,570.0
7.0
7.0
3.0 |
70.0
22.0
40.0
1,980.0
10.0
9.0
4.0 |
90.0
28.0
48.0
2,240.0
14.0
14.0
6.0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주
: 1) GRP 관련실적은 1986년 실적(1985년 불변가격)
2) 경제활동인구 및 취업인구 관련자료는 1988년 실적
5)
都市構造의 基本骨格
○ 공간구조의 계층체계 : 1도심, 5부도심체계
·도 심 : 기존 도심, 남항 해상신도시
·부도심 : 서면, 동래, 해운대, 사상, 명지, 녹산
○ 도심 및 부도심의 기능분담구조
·도 심 : 행정, 업무, 국제기능
·부도심 - 서 면 : 상업, 교통, 문화기능
- 동 래 : 관광, 위락기능
- 해 운 대 : 관광, 광역서비스 기능
- 명지·녹산 : 첨단산업, 연구기능
○ 생활권의 계층체계
·도심·부도심의 하위중심체계로서 자치구단위의 생활권 중심지
육성
·도심·부도심은 생활권의 중심기능 병행
·생활권별로 주요도시기능을 분산배치하여 구별 균형발전 도모
·자치구단위의 생활권은 다시 중·소생활권으로 계층체계화
6)
部門別 計劃
① 생활권 계획
○ 14개 대생활권, 54개 중생활권, 220개 소생활권 설정
○ 대생활권 인구배분계획
(단위
: 천명, 인구밀도 : 249.52인/ha)
연도
생활권 |
1989 |
1991 |
1996 |
2001 |
2006 |
2011 |
총시가화
면적 |
합
계 |
3,856 |
3,912 |
4,248 |
4,503 |
4,689 |
4,800 |
221.74 |
중·동구 |
277 |
273 |
280 |
280 |
269 |
249 |
10.19 |
서
구 |
214 |
213 |
237 |
255 |
279 |
296 |
12.79 |
영
도 구 |
211 |
209 |
229 |
241 |
241 |
235 |
10.50 |
부산진구 |
538 |
540 |
548 |
544 |
515 |
472 |
18.20 |
동
래 구 |
605 |
607 |
615 |
609 |
577 |
528 |
16.05 |
금
정 구 |
324 |
340 |
347 |
345 |
328 |
303 |
9.21 |
남
구 Ⅰ |
556 |
563 |
236 |
249 |
249 |
243 |
9.91 |
남
구 Ⅱ |
- |
- |
379 |
401 |
402 |
391 |
15.62 |
북
구 Ⅰ |
480 |
486 |
292 |
320 |
332 |
335 |
15.26 |
북
구 Ⅱ |
- |
- |
262 |
287 |
297 |
299 |
9.90 |
해운대구 |
252 |
256 |
310 |
357 |
386 |
408 |
13.68 |
사
하 구 |
330 |
342 |
413 |
475 |
514 |
542 |
30.66 |
강서구Ⅰ |
79 |
80 |
100 |
140 |
200 |
200 |
26.10 |
강서구Ⅱ |
- |
- |
- |
- |
100 |
300 |
23.68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주
: 남항해상신도시 인구는 서구에 포함(2006년 20,000인, 2011년 40,000인)
○ 대생활권별 중점정비과제
생
활 권 |
중
점 정
비 과
제 |
중
· 동구 |
항만정비,
도심지 재정비 |
서
구 |
해상신도시
건설, 주택개량재개발, 항만정비, 택지개발 |
영
도 구 |
주택개량재개발,
택지개발, 항만정비 |
부산진구 |
산지개발,
주택개량재개발, 문화기능 육성 |
동
래 구 |
부도심기능의
강화, 관광산업의 육성 |
금
정 구 |
산성유원지
개발, 지역중심기능 강화 |
남
구 Ⅰ |
해수욕장
및 도시환경 정비 |
남
구 Ⅱ |
컨테이너항만의
확충, 지역중심 육성 |
북
구 Ⅰ |
사상공업지역의
축소, 정비, 부도심기능의 강화, 재해대책 강구 |
북
구 Ⅱ |
택지개발사업
추진, 지역중심기능 강화 |
해운대구 |
신시가지
개발, 부도심기능의 강화, 해상관광 육성 |
사
하 구 |
해안매립,
공업단지 조성, 환경관리 |
강서구Ⅰ |
명지·녹산산업기지
건설, 첨단산업단지 조성, 낙동강하안 정비 |
강서구Ⅱ |
배후시가지
건설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② 토지이용계획
계획기간중 주택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이 각각 26.85㎢, 4.26㎢, 13.02㎢
증가한다. 이들 추가소요 면적의 공급은 자연녹지의 용도변경으로 13.09㎢를
충당하고 나머지는 해안매립 및 용도지역 미지정 지역의 개발을 통해 공급하도록
하였다.
기존 용도지역의 경우는 도시구조의 골격개선에 따라 공업지역을 축소하는
대신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일부 확대하는 방향으로 계획하였으며, 특히
계획기간중에 증가되는 용도지역면적의 계획적 공급을 위해 해상신도시,
명지, 녹산, 가덕도, 장림지구의 신규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 용도지역별 토지수요 및 공급계획
(단위
: ㎢, %)
용도지역 |
1990년 |
2011년 |
면적
증가 |
공
급 |
면적 |
비율 |
면적 |
비율 |
자연녹지 |
기존용도
지역 |
매립
및
기타 |
주거지역 |
94.62 |
66.17 |
121.47 |
64.92 |
26.85 |
12.07 |
5.84 |
7.94 |
상업지역 |
16.03 |
11.21 |
20.29 |
10.84 |
4.26 |
0.02 |
3.54 |
0.70 |
공업지역 |
32.34 |
22.62 |
45.36 |
24.24 |
13.02 |
- |
- |
13.02 |
계 |
142.99 |
100.00 |
187.12 |
100.00 |
44.13 |
13.09 |
9.38 |
21.66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주
: 녹지지역중 신개발면적 5ha 미만의 토지 2.09㎢는 포함
○ 단계별 개발계획
구
분 |
개
발 방 향 |
추
진 전 략 |
제1단계
(1992~1996년) |
·도시기반시설
정비
·기정계획의
우선적 추진
|
·기정
택지개발예정지구 개발
·해운대
신시가지 개설
·명지·녹산
등 강서신개발지 개발
·해상신도시개발(1차) |
제2단계
(1997~2001년) |
·부도심지역
육성
·강서지역의
개발추진
|
·명지·녹산산업기지
개발(2차)
·가덕도
개발
·택지개발
가능지 개발
·해상신도시
개발(2차) |
제3단계
(2002~2006년) |
·미개발지의
적극개발
·도심
및 주변지역 재개발 |
·가덕도
개발
·장림항
개발(1차) |
제4단계
(2007~2011년) |
·시가지개발의
조성 및
도시경관 정비 |
·장림항
개발(2차)
·도시경관
정비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
③
교통계획
○ 도로망
구
분 |
기
능 |
노
선 |
고
속
도
로 |
·광역
환상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
·역내외
여객 및 화물 통과
교통의 우회처리
·해상신도시
및 명지·녹산·
가덕지구의 발전촉진
·주요교통축의
교통처리능력
강화
·도시활동거점과
광역 환상
고속도로와의 접속 연결
.
|
·마천~장유~진례~상동~대동~
양산~일광~송정(92㎞)
○
남북축
·대동~대저~명지~신공항
(신설 : 26㎞)
·구서~동래~당감~수정~대신
(신설 : 20km)
·구서~동래I.C~원동~문현
(기존 도시고속도로 : 24km)
○
동서축
·김해~구포~동래~원동~
해운대(신설 : 24km)
·낙동대교~사상~당감~서면
(기존 도시고속도로 : 18km)
·가락랜드~하단~대신
(신설 : 18km)
·가덕~장림~송도~해상신도시
~영도~광안리~재송
(신설 : 36km) |
구
분 |
기
능 |
노
선 |
주
간 선 도 로
|
·시가지
주요 교통발생축의
교통수요 처리
|
○
남북축
·호포~구포~사상~하단
(기존 : 22km)
·노포~동래~문현~신평
(기존 : 20km)
·반송~안락~대연~해상신도시
(신설 : 20km)
○
동서축
·김해~구포·동래~안락R~
해운대~송정(기존 : 28km)
·가락~사상~서면R~해운대
(기존 : 26km, 신설 : 2km)
·녹산~하단~시청
(기존 : 18km)
·녹산~명지~장림~송도~
해상신도시~영도
(신설 : 18km)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 지하철 및 전철망
· 1호선(노포~하단)
- 중앙로의 통과교통인구 수용
- 중심간선로의 통행량 수요 분산
· 2호선(화명~수영, 우동)
- 부산의 동서간의 연결노선
- 사상로, 가야로의 교통혼잡 감소효과
- 1호선에서 전포로와 수영로로 연결
·3호선(김해~반송)
- 동서간의 보조노선 역할
- 주요 교통유발지역을 연결
- 2호선의 구포역에서 주거밀접지역인 반송으로의 연결로
- 현 국제공항과 시내와의 연결로
- 화명복합터미널, 시외버스터미널과 연결
· 연장계획선Ⅰ(사상~지사)
- 지사첨단산업단지와 사상과 연결
- 지사의 교통유발단지와 사상과 연결
·연장계획선Ⅱ(사상~하단~명지, 녹산)
- 명지지구의 택지와 시내와의 출퇴근로
- 신공항과 시내와의 연결로
·동해남부선 : 부산진(부전역)~동래~수영~해운대~송정~울산으로
연결되는 67.3km의 구간
·서부경남선 : 사상~김해~창원~마산~진해~명지, 녹산으로 연결되는
74.8km의 구간
·광역순환선 : 일광~물금~김해~명지, 녹산의 64km의 구간
·경부고속전철계획 : 서울~부산 380km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 부산~울산간 73km
·사상~마산간 복선전철건설 검토 : 사상~마산간 54km 복선전철
·동해선 고속전철 검토 : 사상~포항~강릉간 고속전철
·경전선 고속전철 검토 : 광주~순천~사상간 고속전철
④ 항만계획
○ 신항만의 건설
남항해상신도시, 녹산·가덕지구의 신산업기지 건설 및 대규모개발사업에
따라 컨테이너 전용부두 및 공업항을 신규 건설
○ 기존 항만의 기능강화 및 전용부두 건설
·북 외 항 : 수출입 컨테이너 전용항
·남 항 : 연근해어항
·북 내 항 : 수출입 컨테이너항, 다목적항
·감 천 항 : 고철·시멘트 등 연안화물전용부두
·다대포항 : 목재전용항
·장 림 항 : 공업항
○ 컨테이너화물기지 설치
시가지내 산재된 컨테이너 야적장을 집합시켜 명지, 녹산, 장림지구 등에
거점식 컨테이너 화물기지를 설치(경남 밀양군 물금면 : 컨테이너 화물기지
설치계획 추진중)
○ 미래 복합운송전진기지 건설
북한, 중국, 만주 및 소련까지 철도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인접국가의 환적항으로
한국랜드브리지 개념의 도입 등을 고려한 복합운송 전진기지의 건설을 부산항시설
기본계획 확정에 따라 추진
⑤ 산업개발계획
○ 농업진흥, 수산자원의 개발 및 농수산물 유통구조의 정비
○ 제조업의 구조 개편 및 첨단화
○ 중추관리 및 업무기능의 강화
·중추상업 업무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여건 조성
·첨단시설의 업무단지 조성
○ 유통시설의 집단화 및 분산배치
○ 부적격시설의 이전 및 적지 활용
○ 주요산업단지 개발구상
구
분 |
기
본 방 향 |
유치산업
및 업종 |
녹산산업기지
확장 |
·기존
녹산기지의 기능 보완
·시내
이전공장의 수용 유도
|
·첨단업종
: 항공산업, 메카트로닉스, 신소재 등
·조립금속·기계
: 항공기부품, 자동차부품,
기계부품 등
·고무,
화학 : 신발, 정밀화학, 플라스틱 등
·1차금속
: 철망, 표면처리 등 |
지사동
첨단산업단지 |
·소형경량
고부가가치형
산업단지개발
·첨단산업,
연구주거 및
서비스기능 보유
|
·항공산업
: 항공기부품, 항공기용 시스템장치 등
·우주산업
: 우주기계부품
·메카트로닉스산업
: 산업용 로봇, 사무자동화
기기, NC공정기계 등
·정밀전자산업
: S/W개발, 정보통신기계 등 |
가덕도
임공산업단지 |
·산업연구
기능의 부도심
육성
|
·항공기부품산업
: 항공기부품, 항공기용
시스템 장치 등
·광산업
: 섬유 케이블 및 시스템 기기
·정밀전자산업
: 집적회로, 컴퓨터 산업 등 |
가덕도
임공산업단지 |
·배후주거지
건설
|
·해양산업
: 고부가가치 수산물 가공업, 해양장비
제조업, 해양자원 개발 및 해양순환
관련제조업, 항만관련 서비스업, 해양
레저산업 등
·유치산업의
기술개발 및 지원을 위하여 연구
단지 조성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
⑥ 생활환경계획
○ 주 택
·2011년까지 약 100만호의 신규주택을 건설하여 주택보급률을 92%로
제고
·주택공급을 위한 택지확보는 주거지역의 확장, 나대지 및 특수시설
이전적지활용, 기존 주거지역내 부적격시설용지 활용 등을 통해 확보
○ 상수도
·2011년에는 99.4%의 급수보급률로 대부분의 시민이 급수혜택을 받도록
하고, 단위급수량도 1인1일 448ℓ로 계획
·6차 상수도확장계획 완료 이후 급수수요 400천톤/일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취수시설의 설치
○ 하수도
·하수보급률을 93%까지 제고하고, 신설 하수관거는 분리식으로 설치
·해상신도시 건설을 고려하여 처리구역을 조정하고, 각 처리구역별로
1개의 하수처리장을 건설
⑦ 공원녹지계획
○ 단계별 공원 및 유원지계획
구
분 |
1989년 |
1991년 |
1996년 |
2001년 |
2006년 |
2011년 |
계(㎢) |
39.13 |
39.13 |
41.41 |
43.32 |
49.25 |
49.71 |
도
시 자 연 공 원
근
린 공 원
어
린 이 공 원
묘
지 공 원
유
원 지 |
14.95
6.20
0.25
1.05
16.68 |
14.95
6.20
0.25
1.05
16.68 |
14.95
7.41
1.00
1.05
17.00 |
14.95
8.41
1.50
1.05
17.41 |
19.79
9.00
2.00
1.05
17.41 |
19.79
9.21
2.25
1.05
17.41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 주요공원 및 여가공간 개발방향
구
분 |
개
발 방
향 |
사
적
공
원 |
금정산성 |
·기존의
금정산성 유원지개발계획에서 기능이 부여된대로 역사, 문화
공간으로서의 특성유지 |
복천동
고분군 |
·주변의
동래읍성, 충렬사, 동래향교, 명륜공원 등과 연계하여 역사의
산교육장과 시민휴식 및 관광자원으로 개발 |
낙동강고수부지정비 |
·주변
사가지의 성격에 부합되는 고수부지별 이용특성 부여
·4계절
전 연령층이 이용가능한 다양한 시설 유치
·江의
특성을 살린 동적공간과 정적공간의 조화있는 개발 |
가락랜드
개발 |
·부산시
및 광역도시망의 상징적 중심 여가, 위락단지로 조성
·개발제한구역
및 자연환경보전구역의 환경보전을 전제로 한 개발계획의
수립 및 시행
·전체대상지역을
5개 지구로 구분, 지구별 특성에 따른 개발 도모 |
이기대자연공원개발 |
·동부해안
관광중심의 하나로 육성
·자연관광
위주의 관광지로 개발하되 해양스포츠 시설, 문화시설 등을
유치하여 종합관광지로 조성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 생활권별 시설설치계획
구
분 |
광역생활권 |
대생활권 |
중생활권 |
소생활권 |
보건·의료시설 |
·특수전문병원 |
·보건소 |
·종합병원,
일반병원 |
·의원,
치과의원 |
사회복지시설
|
·노동청소년회관
·장애자종합복지관
|
·어린이
회관
·모자보호시설
·부녀직업보도시설·여성회관
·부녀상담소
·경로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복지회관
·장애자복지회관 |
·종합사회복지관
·노인공동작업장
·보호시설
|
·탁아시설(가정
탁아, 시설탁아)
·경로당
|
문
화 시 설
|
·콘서트
·동·식물원
|
·문화(시민)회관
·박물관(특성별)
·지역문예극장 |
·공공도서관
·일반공연장
·전시관,
조각공원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⑧ 재정계획
○ 기본방향
·자체세원의 발굴 확대
·국세의 지방세 이양을 통한 지방재정의 강화
·지역개발사업에 민간참여확대
·세외수입의 확대 및 지방채의 확대 발행
○ 재정규모의 중장기전망
(단위
: 억원)
구
분 |
1985(A) |
1990 |
1996 |
2001 |
2006 |
2011(B) |
B/A |
일
반 회 계 |
2,423 |
7,669 |
12,705 |
19,966 |
31,325 |
48,257 |
19.9 |
|
지
방 세 |
1,538 |
3,766 |
7,571 |
11,466 |
17,722 |
17,553 |
7.3 |
세외수입 |
665 |
1,628 |
3,334 |
6,530 |
11,303 |
18,204 |
11.2 |
의존수입 |
220 |
2,275 |
1,800 |
2,000 |
2,300 |
2,500 |
1.1 |
특
별 회 계 |
4,234 |
2,431 |
5,189 |
10,301 |
20,027 |
37,916 |
15.6 |
총
계 |
6,657 |
10,000 |
17,894 |
30,297 |
51,352 |
86,173 |
8.5 |
특별회계비중 |
63.6% |
24.1% |
29.0% |
34.0% |
39.0% |
44.0% |
- |
G
R P |
67,502 |
116,458 |
181,650 |
277,458 |
421,970 |
614,948 |
9.1 |
1인당
담세율 |
2.28% |
3.23% |
4.17% |
4.13% |
4.20% |
4.48% |
2.0% |
재정자립도 |
90.0% |
70.3% |
85.8% |
90.0% |
92.7% |
94.8% |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2년)
주
: 1985년 불변가격 기준임.
5.
1995年 都市計劃 再整備
제3차 도시계획재정비는 1992년의 제2차 도시기본계획에 따른 구체적 실천을
위해서 1992년을 계획기준년도로 하고, 2001년을 목표년도로 하여 1995년
5월 6일 결정되었다.
단계별집행계획(1단계 1992~1996년, 2단계 1997~2001년)을 수립하고, 목표년도
계획인구 4,503천명을 수용할 택지 확보를 위한 주거지역 면적을 확장하였으며,
(주거지역 99.35에서 114.6㎢로 15.25㎢ 증가) 확장될 주거지역은 공영개발을
유도하여 계획단위개발(PUD : planning unit development)을 통해 사업시행시
용도지역을 지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개발전에 미리 용도지역변경 결정을 하고, 그 개발권을 개별 토지소유자에게
돌아가게 하였던 종전의 방식과 다른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용도지역
변경으로 인한 개발이익이 가능한 공익으로 환원될 수 있었고, 계획적인
대단위 시가지 조성이 용이했던 것이다.
6.
2011年 都市基本計劃 修正(1994~2011年)
1)
計劃樹立의 槪要
○ 2011년 부산도시기본계획 변경의 필요성
·행정구역 확장(기장군 : 220.293㎢)에 따른 도시계획 방향의 재정립
·부산 · 경남광역권개발계획(가덕신항만, 수영정보업무단지
등)의 수용과 도시공간구조의 조정
·삶의 질 향상 등 도시여건 변화와 관련한 도시성격 및 지표수정
○ 계획의 범위
·시간적 범위 - 1994년 ~ 2011년
·공간적 범위 - 1,052.845㎢
- 기정 805.47㎢에 기장군(220,293), 용원편입지(0.694), 항만구역(24.5),
어항구역(1.488), 시랑대 매립(0.4)를 추가
·단계별 구분
- 1단계 : 1997년 ~ 2001년
- 2단계 : 2002년 ~ 2006년
- 3단계 : 2007년 ~ 2011년
○ 21세기 부산광역시 미래상
·국제적 차원 - 환태평양 · 동북아 관문도시
·국가적 차원 - 수도권 대응 거점도시
·지역적 차원 - 동남권 경제 중추도시
·도시적 차원 - 친환경적 해양도시
2)
制約條件과 發展潛在力
① 제약조건
·행정구역 및 도시계획구역내 형성되어 있는 개발제한구역 등 제도적인
제한과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가용토지자원 부족
·1980년대까지 성장관리도시 지정으로 제조업 공동화(空洞化)현상이
초래됨
·수도권 집중현상으로 행정적·경제적 중추관리 기능의 집적
수준이 현저하게 저하
② 발전잠재력
·환태평양경제권의 중심지로서 지속 성장이 가능한 지정학적 조건과
항만, 철도, 공업단지 등 유리한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음
·가덕도 신항만건설 등으로 국제항로의 Hub항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교역기능이 강화되어 국제무역 및 유통도시로서의 기능 집적이 용이함
·범아시아 관통철도의 시발점으로서의 위상정립과 한·일 해저터널
연계 거점기지 역할 전망
·천혜의 자연자원인 해안, 사찰 등을 보전·이용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쾌적한 도시공간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국제적 관광·휴양명소로
활용이 가능
·생산활동인구(15세~64세 인구)의 증가와 고학력 인구비율의 증가
추세를 토대로 고도화된 산업생산활동과 각종 제조업 유치 가능
3)
都市基本 構想
① 도시지표의 설정
○ 인구지표기준
·다양한 방식의 산술적 방법에 의한 추계인구 전망
·가덕도 신항만 및 배후도시 건설, 해안매립 등 새로운 개발가능지와
기개발지의 재건축·재개발에 따른 사회적 증가 인구의 고려
·신개발지, 매립가능지, 이전 적지는 목표년도까지 60%정도 개발될
것으로 추정
·불량주거지, 노후주거지는 목표년도까지 1/2정도 개발될 것으로
추정
·현재 수준의 1인당 주거면적 13.4㎡/인보다 비교적 개선된 15.0㎡/인을
기초단위로 가정하여 산정함
○ 장래인구 추정
(단위
: 년, 천인, %)
구
분 |
1994 |
2001 |
2006 |
2011 |
연
평 균
증
가 율 |
최소자승법(1차식) |
3,912 |
4,180 |
4,380 |
4,600 |
0.95 |
Logistic
Curve방식 |
K=480만 |
3,912 |
4,010 |
4,150 |
4,420 |
0.72 |
K=500만 |
3,912 |
4,030 |
4,180 |
4,480 |
0.80 |
지
수 함 수 법 |
3,912 |
4,090 |
4,270 |
4,540 |
0.88 |
평
균 |
3,912 |
4,078 |
4,245 |
4,510 |
0.84 |
계
획 인 구 지 표 |
3,912 |
4,070 |
4,240 |
4,500 |
0.82 |
※
당 초 |
- |
4,503 |
4,689 |
4,800 |
0.64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② 인구배분계획
○ 생활권 설정 기본방향
·도시전체를 중부, 동부, 서부로 구분한 대생활권 설정
·중생활권은 자치구 행정구역단위로 설정, 도시공간 구조와 연계
·소생활권은 자치구별 기초단위인 동을 기준으로 설정
○ 생활권설정 (3대 대생활권, 15개 중생활권, 239개 소생활권)
·중부 대생활권 → 7개 중생활권(광복,대신,영도,서면,연제,대연,수영)
→ 136개 소생활권
·동부 대생활권 → 4개 중생활권(동래,구서,해운대,기장)→ 55개
소생활권
·서부 대생활권 → 4개 중생활권(사상,구포,하단,가덕·녹산)
→ 48개 소생활권
○ 생활권별 인구배분구상 (총 4,500,000명)
·중부 대생활권 : 1,651,000명
·동부 대생활권 : 1,246,000명
·서부 대생활권 : 1,603,000명
○ 생활권별 인구배분구상
(단위
: 명)
대생활권
(3개소) |
중생활권
(15개소) |
1994년 |
2001년 |
2006년 |
2011년 |
중
부 |
광
복 |
233,499 |
191,000 |
162,000 |
145,000 |
대
신 |
187,194 |
156,000 |
136,000 |
126,000 |
영
도 |
209,749 |
187,000 |
179,000 |
173,000 |
서
면 |
476,400 |
450,000 |
424,000 |
415,000 |
연
제 |
251,514 |
240,000 |
238,000 |
236,000 |
대
연 |
321,694 |
318,000 |
313,000 |
306,000 |
수
영 |
207,239 |
220,000 |
235,000 |
250,000 |
소계(7개소) |
1,887,289 |
1,762,000 |
1,687,000 |
1,651,000 |
동
부 |
동
래 |
321,355 |
325,000 |
332,000 |
354,000 |
구
서 |
312,188 |
306,000 |
298,000 |
290,000 |
해
운 대 |
294,773 |
411,000 |
420,000 |
442,000 |
기
장 |
65,292 |
100,000 |
155,000 |
160,000 |
소계(4개소) |
993,608 |
1,142,000 |
1,205,000 |
1,246,000 |
서
부 |
사
상 |
301,383 |
335,000 |
394,000 |
483,000 |
구
포 |
271,279 |
289,000 |
309,000 |
352,000 |
가덕·녹산 |
75,043 |
127,000 |
191,000 |
270,000 |
하
단 |
383,234 |
415,000 |
454,000 |
498,000 |
소계(4개소) |
1,030,939 |
1,166,000 |
1,348,000 |
1,603,000 |
총
계 |
3,911,836 |
4,070,000 |
4,240,000 |
4,500,000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 도시주요지표
연 도
구 분 |
단
위 |
1994 |
2001 |
2006 |
2011 |
비
고 |
인
구 |
계
획 인 구 |
천인 |
3,912.0 |
4,070.0 |
4,240.0 |
4,500.0 |
|
연평균
증가율 |
% |
- |
0.6 |
0.8 |
1.2 |
|
주
택 |
주
택 보 급 률 |
% |
69.6 |
80.2 |
84.5 |
85.7 |
|
가
구 당 인 구 |
인 |
3.5 |
3.2 |
3.0 |
2.8 |
|
총
가 구 수 |
천가구 |
988.0 |
1,109.0 |
1,224.0 |
1,382.0 |
|
교
통 |
도
로 율 |
% |
14.8 |
18.0 |
20.0 |
22.0 |
|
승용차보유대수 |
천대 |
367.0 |
1,060 |
1,488.0 |
1,870.0 |
|
통
신 |
전
화 가 입 률 |
대/백인 |
38.3 |
44.7 |
47.0 |
50.0 |
|
우체국당인구수 |
천인 |
21.0 |
17.0 |
16.0 |
15.0 |
|
전
신 전 화 국 |
개소 |
10.0 |
14.0 |
16.0 |
18.0 |
|
상수도 |
상수도
보급률 |
% |
98.2 |
99.0 |
99.2 |
99.4 |
|
1일
1인 급수량 |
ℓ |
420.0 |
445.0 |
460.0 |
475.0 |
|
1일
총급수량 |
천톤 |
1,599.0 |
1,793.0 |
1,935.0 |
2,125.0 |
|
하수도 |
1인
1일 오수량 |
ℓ |
378.0 |
398.0 |
410.0 |
420.0 |
|
1일
총오수량 |
㎘ |
1,437.0 |
1,614.0 |
1,742.0 |
1,912.0 |
|
하수종말처리장 |
개소 |
3.0 |
6.0 |
9.0 |
15.0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③ 도시기본골격
당
초 |
변
경 |
○
1도심 |
○
2도심 |
·기존도심과
해상신도시(행정, 업무) |
·기존도심
(국제무역·업무·유통) |
○
5부도심 |
·서면도심
(행정·금융·상업·문화) |
·서
면 (상업·유통·문화) |
○
6부도심 |
·동
래 (관광·위락) |
·하
단 (휴양·교육) |
·해
운 대 (관광·광역서비스) |
·동
래 (관광·위락) |
·사
상 (제조업·광역서비스) |
·해
운 대 (정보·업무·관광) |
·명지·녹산(첨단산업·연구) |
·사
상 (공업·광역서비스) |
|
·가덕·녹산(첨단산업·연구·물류거점) |
|
·구
포 (유통·광역서비스) |
|
○
2지구중심 |
|
·기
장 (해안관광·전원휴양) |
|
·구
서 (주거·교육) |
|
※
3개권역설정 특화개발 |
|
·중
부 권 (무역·금융) |
|
·동
부 권 (정보·관광) |
|
·서
부 권 (생산·물류) |
자료
: 부산도시기본게획보고서(1996년)
④ 당초 도시기본계획과의 비교
구
분 |
당
초 |
변
경 |
계획여건 |
·해상신도시
건설, 해운대 신시가지조성,
경부고속전철 건설
·가덕도,
녹산, 지사 등 행정구역 개편
|
·가덕도
종합개발, 고속전철 연계 북항
업무단지, 수영정보업무단지, 지사첨단
과학단지조성, 기장군 개발
·기장군
편입 등 행정구역 개편
·2002년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
계획지표 |
·계획인구
: 480만명
·계획구역
: 805.47㎢ |
·계획인구
: 450만명
·계획구역
: 1,052.845㎢ |
도시구조 |
·1도심
5부도심
-도심 : 기존도심(해상신도시)
-부도심 : 서면, 해운대, 동래,
사상, 명지·녹산
|
·2도심
6부도심 2지구 중심
-도 심 : 기존도심, 서면도심
-부도심 : 해운대, 동래, 사상, 구포,
하단, 가덕·녹산
-지구중심 : 기장, 구서 |
토지이용 |
·부도심
및 지역중심지의 기능 강화
·기존
부적격 시설의 이전 재배치
|
·도심,
부도심 및 지구중심의 특화
·해안의
적극적 개발
·북항업무단지,
수영정보업무단지,
문현동 금융단지/상업용지
·가덕도
종합개발계획/주거, 상업,
공업용지
·정관신도시개발/주거,공업용지 |
교
통 |
·도시고속도로의
건설
|
·광역순환형
고속도로망의 구축
·기장군
연결도로의 확충 |
공원녹지 |
·시가지
외부녹지대와 내부녹지대의
연계 강화
·생활권
위계에 상응하는 공원의 조성
|
·해안권과
내륙권을 연계한 공원 및
광역녹지체계 수립
·가덕도-다대포-태종대-오륙도-해운대-
송정-기장·일광지역 해양관광벨트 설정
·을숙도일대
자연생태공원 성격의 유원
지 조성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4)
部門別 計劃
① 토지이용계획
○ 용도별 소요면적 산정
·주거용지
- 목표년도 계획인구중 85%인 3,825천명 주거용지에 거주 가정
- 소요면적은 평균인구밀도 적용방법을 채택하여 추정
※ 소요면적 추정
구
분 |
인구배분율
(%) |
수용인구
(천인) |
인구밀도
(인/ha) |
혼합률
(%) |
소요면적
(㎢) |
계 |
100 |
3,825 |
310 |
- |
123.31 |
고밀지역 |
45 |
1,721 |
650 |
10.0 |
29.42 |
중밀지역 |
35 |
1,339 |
350 |
10.0 |
42.51 |
저밀지역 |
15 |
574 |
200 |
14.0 |
33.40 |
초저밀지역
|
5 |
191 |
125 |
15.0 |
17.98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상업용지
- 목표년도의 계획인구중 65%의 2,925천명을 상업용지의 이용인구로 가정하여
계획
- 소요면적의 추정은 이용인구 1인당 점유면적에 의한 산출방식을 적용
※ 소요면적 추정
구
분 |
이용인구
비율(%) |
수용인구
(천인) |
1인당
상면적(㎡) |
용적률
(%) |
공공용지율(%) |
혼합률
(%) |
소요면적
(㎢) |
계 |
100 |
2,925 |
- |
- |
- |
- |
24.19 |
중심상업 |
35 |
1,024 |
10 |
600 |
40 |
10.0 |
3.16 |
일반상업 |
35 |
1,024 |
15 |
300 |
40 |
11.0 |
9.58 |
주상혼합 |
30 |
877 |
20 |
250 |
30 |
12.5 |
11.45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공업용지
- 공업용지입지율, 타용도혼합률, 공공용지율을 각각 80%, 10%, 30%로 가정하여
계획
- 소요면적의 추정은 제조업체 평균종업원 밀도 방식 적용
※ 소요면적 추정
2
차
산업인구 |
종업원밀도 |
공업용지
입
지 율 |
타
용 도
혼
합 률 |
공공용지율 |
소요면적 |
711,000인 |
178인/ha |
80% |
10% |
30% |
50.71㎢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소요토지 면적
- 2011년까지 소요토지 면적은 총 205.37㎢(주거 123.31, 상업 24.19, 공업
50.71, 개발예정 7.16)임
- 추가로 확보되어야 할 용지는 18.25㎢(주거 1.84, 상업 3.90, 공업 5.35,
개발예정 7.16)임
※ 소요토지 면적
(단위
: ㎢)
구
분 |
목표연도
소요토지 면적 |
추
가
소요토지 |
비
고 |
당
초 |
변
경 |
합
계 |
187.12 |
205.37 |
18.25 |
|
주거
용지 |
121.47 |
123.31 |
1.84 |
시가화용지
11.09㎢ |
상업
용지 |
20.29 |
24.19 |
3.90 |
공업
용지 |
45.36 |
50.71 |
5.35 |
개발예정용지 |
- |
7.16 |
7.16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 용지 수급 계획
·주거용지 : 123.310㎢ (1992년 계획 121.470㎢)
- 소요면적 : 1.840㎢ (추가공급 14.448㎢, 금회축소 12.608㎢)
- 공급면적 : 12.280㎢ (가덕도, 기장군, 신규개발지역 등)
1.792㎢ (도심내 기존공단 및 상업용지 부적격지)
0.376㎢ (자연녹지내 집단취락지 등)
감)11.438㎢ (역세권, 택지개발유보지역 녹지환원 등)
감) 1.170㎢ (해상신도시)
·상업용지 : 24.190㎢ (1992년 계획 20.290㎢)
- 소요면적 : 3.900㎢ (추가공급 7.875㎢, 금회축소 3.975㎢)
- 공급면적 : 5.654㎢ (새로운 부도심, 수영비행장 등)
0.704㎢ (지하철역을 중심으로한 역세권지역 등)
1.517㎢ (북항매립 등 해안변의 관광지조성지)
감)1.605㎢ (상업용지부적격지 주거 및 공업용도 전환)
감)2.370㎢ (해상신도시)
·공업용지 : 50.710㎢ (1992년 계획 45.360㎢)
- 소요면적 : 5.350㎢ (추가공급 15.213㎢, 금회축소 9.863㎢)
- 공급면적 : 14.948㎢ (가덕, 정관, 신선대 등 신규 개발지)
0.265㎢ (수영비행장, 서구 암남동 동물검역소)
감)8.223㎢ (북항, 다대항, 지사산업단지 축소 등)
감)1.640㎢ (해상신도시)
·개발예정용지 : 7.16㎢ (해상신도시 6.21, 기장 연화·시랑대
0.95)
② 교통계획
○ 기본방향
·기장군 편입,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등 도시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
·부산·경남권 광역개발계획의 최대한 수용과 순환형 가로골격
도시공간구조에 부합되는 교통계획 수립
·신규개발지역(강서, 수영만, 북항 등) 및 외곽신도시 연계 교통망체계
구축 및 기계획도로의 기능 및 체계정비
○ 교통망 계획
·도시고속도로
- 주변지역과 원활한 연계를 위한 도시고속도로망 구축과 도심통과 교통처리를
위한 시가지 우회·순환도로 계획
- 외부순환 도시고속도로망의 가덕노선은 연육교를 건설하여 거제와 연계시키고,
진주~대전간 고속도로 축으로 연결
- 도심과 서면도심을 중심으로 6개 방사축(경부축, 울산축, 대구축, 남해축,
진해축, 거제축) 형성
·주간선도로
- 고속도로 기본골격에 부합한 간선도로망체계 확충 및 정비
- 내부순환 고속도로망의 외부순환 간선도로망 사이에 순환 간선도로망의
설정으로 고속도로 기능을 직접 보강
- 부산~외부지역과 연결을 위한 6개 방사도로축 설정
·철도계획
- 범아시아 관통철도의 위상제고
- 경부고속철도의 한일해저터널 개발에 의한 국제간 연계
- 가덕도 인입철도, 동해남부선 및 경전선복선전철계획 수용
·도로 - 고속도로 6개노선, 간선도로 10개노선, 총 422㎞
번호 |
구
분 |
구
간 |
연장
(㎞) |
경
과 |
시
점 |
종
점 |
합계 |
16개
노선 |
|
|
422.0 |
|
소계 |
고속도로(6개노선) |
|
|
250.5 |
|
1 |
내부순환고속도로 |
장
림 |
장
림 |
51.3 |
구포-해운대-영도 |
2 |
외곽순환고속도로 |
가
덕 |
해운대 |
90.0 |
녹산-한림-양산-철마 |
3 |
제3도시고속도로 |
좌천동 |
대
저 |
13.7 |
수정산-백양산-모라 |
4 |
장림·양산간고속도로 |
장림I.C |
양산I.C |
37.0 |
사상-구포-화명-금곡 |
5 |
좌천·김해간고속도로 |
좌
천 |
김
해 |
29.0 |
정관-양산 |
6 |
부산·울산간고속도로 |
부
산 |
울
산 |
29.5 |
기장 |
소계 |
간선도로(10개노선) |
|
|
171.5 |
|
1 |
외부순환도로 |
다
대 |
용
호 |
13.2 |
송도-영도 |
2 |
지사·감천간도로 |
지
사 |
감
천 |
22.8 |
가락-엄궁-괴정 |
3 |
녹산·김해간도로 |
녹
산 |
김
해 |
17.5 |
지사 |
4 |
외곽순환도로 |
신
호 |
해운대 |
47.0 |
선암-화명-장전-반송 |
5 |
반송·대변간도로 |
반
송 |
대
변 |
7.3 |
석산 |
6 |
노포·기장간도로 |
노
포 |
기
장 |
9.2 |
철마 |
7 |
좌천·월평간도로 |
좌
천 |
월
펑 |
11.0 |
정관 |
8 |
회동·정관간도로 |
회
동 |
정
관 |
13.9 |
철마 |
9 |
정관·일광간도로 |
정
관 |
일
광 |
6.3 |
|
10 |
해안관광도로 |
송
정 |
월
례 |
23.3 |
대변-일광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
○ 철 도 : 16개노선 363.75㎞ (고속철도 1개노선, 지하철 2개노선, 경전철
8개노선, 광역철도 5개노선)
번호 |
구
분 |
구
간 |
연
장
(㎞) |
경
과 |
시
점 |
종
점 |
합계 |
16개
노선 |
|
|
363.57 |
|
|
경부고속철도 |
서
울 |
부
산 |
426.20 |
부산
27.7㎞ |
소계 |
지하철(2개노선) |
|
|
|
|
1 |
3호선 |
서연정 |
수
영 |
18.30 |
덕천R-고속터미널-사직운동장-연산R |
|
|
미
남 |
반
송 |
11.20 |
동래-안락 |
2 |
4호선 |
가
덕 |
사
상 |
25.70 |
녹산-명지-장림-하단 |
소계 |
경전철
(8개노선) |
|
|
82.90 |
|
1 |
김해·사상선 |
김
해 |
사
상 |
24.50 |
구봉-대저 |
2 |
정관선 |
노
포 |
좌
천 |
19.90 |
월평-정관 |
3 |
기장선 |
반
송 |
기
장 |
5.50 |
|
4 |
초읍선 |
사
직 |
서
면 |
6.90 |
운동장-어린이대공원 |
5 |
산복도로선 |
서대신동 |
범일역 |
9.80 |
구덕운동장-망양로 |
6 |
송도선 |
괴정역 |
자갈치 |
6.50 |
감천-송도 |
7 |
영도선 |
태종대 |
부산역 |
9.80 |
영도구청-한진중공업 |
8 |
부산역-해상신도시(폐지) |
- |
- |
- |
※26㎞ |
소계 |
광역철도(5개노선) |
|
|
197.77 |
|
1 |
가덕도
인입철도 |
가덕도 |
삼랑진 |
48.40 |
지사-주촌 |
2 |
경정선
복선전철 |
마
산 |
부
전 |
44.00 |
창원-장유 |
3 |
동해남부선복선전철 |
부
산 |
울
산 |
74.90 |
송정-기장-일광-좌천 |
4 |
경부선
전철 |
동대구 |
부
산 |
117.40 |
(부산
25.37) |
5 |
가야선
복선 |
가
야 |
사
상 |
5.10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③ 공원·녹지계획
○ 공원·녹지체계 구상
·도시녹지축(몰운대-중앙고원-금강공원-불광산공원)
·수변녹지축(낙동강 수변축, 수영강 수변축)
·해양경관축(가덕도-몰운대-태종대-해운대-기장해안)
○ 공원 및 유원지 계획
·기본방향
- 기존의 미시설 공원의 적극적인 조성방안 유도
- 인구 및 주변환경을 고려한 생활권별 입지계획 수립
- 낙동강 및 해안을 적극 활용한 공원의 개발
·용지확보방안
- 어린이공원 및 근린공원 등은 자역녹지의 개발 및 주택개량재개발 사업이나
도시재개발 사업의 시행을 통해 확보
- 낙동강의 고수부지 등을 적극 활용하고, 대규모 신개발(가덕도, 북항매립지,
정관신도시 등) 계획단계에서 충분한 공원부지를 확보
- 공원은 27개소에서 24.11㎢, 유원지는 11개소에서 11.45㎢를 확보하여
총 35.56㎢ 추가 확보
○ 공원·유원지 확보 계획
(단위
: ㎢ )
구
분 |
당
초 |
변
경 |
증
감 |
1996.
1. 1일 대비 |
합
계 |
49.71 |
85.27 |
증)
35.56 |
57.93
→ 증)27.34 |
공
원 |
32.30 |
56.41 |
증)
24.11 |
38.93
→ 증)17.48 |
유
원 지 |
17.41 |
28.86 |
증)
11.45 |
19.00
→ 증) 9.86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 주요공원 계획
번호 |
위
치 |
면적
(㎢) |
현
황 및 사 유 |
1 |
서구
전정산일원 송도공원 |
0.817 |
도시경관보존과
시민편익 제공 |
2 |
서구
대티터널 남동측 부민산공원 |
0.235 |
도심산지로서
시민편익 제공 |
3 |
영도구
동삼동 함지골공원(증 1.677) |
2.470 |
도시경관보존,
시민편익 제공 |
4 |
부산진구
아시안게임 테마공원 |
0.255 |
아시안게임테마공원조성
시민 제공 |
5 |
연제구
경상전문대 남측 배산공원 |
0.644 |
도심
산지로서 시민편익 제공 |
6 |
해운대구
장산일원 간비오산공원 |
0.714 |
해운대관광특구와
연계 시민 제공 |
7 |
기장군
대변서축 봉대산공원 |
3.031 |
기장군
개발계획 수용 |
8 |
기장군
정관면남측 달음산공원 |
6.143 |
기장군
개발계획 수용 |
9 |
기장군
임랑해수욕장북측 장안공원 |
3.036 |
기장군
개발계획 수용 |
10 |
기장군
정관면북측 불광산공원 |
7.404 |
기장군
개발계획 수용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 주요유원지 계획
번호 |
위
치 |
면적
(㎢) |
현
황 및 사 유 |
1 |
강서구
천가동 일원 가덕 유원지 |
2.570 |
가덕도개발계획
수용 |
2 |
강서구
녹산동 녹산공단 유원지 |
0.808 |
가덕도개발계획
수용 |
3 |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 유원지 |
3.742 |
낙동강고수부지개발계획수용 |
4 |
영도동삼동유원지(택지개발예정지) |
1.276 |
태종대유원지연계관광지개발 |
5 |
기장군
정관면 병산유원지 |
3.120 |
기장군
개발계획 수용 |
자료: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④ 항만계획
○ 기본방향
·국제운송환경 여건변화로 해상운송체계와 내륙운송체계가 결합되는
복합운송체계 구축
·건설중인 양산내륙컨테이너가지(ICD)조성, 화물집배송기지로 역할
담당
·기존 부두의 컨테이너적치장 부족과 물동량 처리부족 해소를 위해
가덕신항만건설 조속 추진
·감천항, 다대포항, 가덕신항만 등 입지별 항만기능의 재편과 북항의
항만기능을 정비, 친수공간 기능을 강화
○ 항만기능의 정립
·동북아지역의 핵심 물류기지화 유도 (Hub Center)
·연안수송용 부두를 확충하여 연안수송기능을 강화
·항만기능 및 도시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항만과 도시의 조화
구축
- 공해성 화물의 도심 외곽 이전
- 화물별 전용부두화 유도
- 주변도시 여건에 따라 적정 위치에 부두 배치
·가덕신항만 건설에 따른 항만기능 정립
-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물류 중심항만으로 육성
-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경쟁력을 제고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물류·정보거점항으로 육성
○ 주요 항별 정비방향
·북 항
- 제1부두-4부두 연결매립하여 가덕도개발계획과 연계하여 복합업무단지로
개발
- 컨테이너 전용부두별(자성대부두, 신선대부두) 피더선 전용부두 설치
- 1부두에서 5,6부두(자성대)까지 항만내 연결도로를 확충하고 7,8부두,
4단계부두 및 신선대부두까지 전용도로망 구축
- 제4부두를 정비하여 국제여객부두를 배치
·감천항
- 전용부두 운영
·민자개발 취지를 살려 매립지와 부두시설이 연계된 전용부두 운영
·대상화물 : 고철, 시멘트, 연안화물, 원목, 컨테이너
- 다대포항 : 수산물 및 운수장비제조업 부두로 활용
○ 가덕 신항만 개발계획
사
업 명 |
사업기간 |
사
업 내 용 |
비
고 |
가덕신항만
건설 |
1995~2011 |
·
컨테이너부두 24선식 |
|
|
|
·
일 반 부 두 9선식 |
|
|
|
·
방 파 제
1.6㎞ |
|
|
|
·
안 벽
10.8㎞ |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
⑤ 관광계획
○ 관광계획의 기본방향
·2002년 아시안게임 및 월드컵 대비, 관광계획의 체계화 추진
·관광참여에 있어서 계층간 갈등 해소를 위해 근로자, 저소득층,
노인, 청소년 이용시설 개발
·관광특성화를 위한 관광권역을 설정하고 5대관광체계를 구축
○ 관광체계별 개발계획
·도심형 관광체계
- 서면~광복동~남포동~송도~영도
(국제회의장, 상징시설, 쇼핑·위락시설, 해상공원, 해양박물관 등
관람시설 배치)
·산악형 관광체계
- 대청·중앙공원~가야유원지~성지곡~금정산성~동래~복천고분군~장산~
달음산~불광산(민속촌, 향토역사관,청소년수련장, 고분공원, 문화유적 및
스포츠형 여가공간 도입)
·해양형 관광체계
- 신선대~이기대~광안리~수영만~해운대~송정~대변~일광
(해변문화센타, 해상스포츠, 해상호텔 등 국제관광객과 내국인을 위한 관광휴양지
조성)
·수변형 관광체계
- 물금~구포~삼락동~둔치도~맥도강~을숙도~가덕도
(수변스포츠센타, 관광어촌 등 내국인과 주민을 위한 위락스포츠공간 배치)
·유람형 관광체계
- 가덕도~다대포~암남~태종대~오륙도~이기대~해운대~시랑대~임랑
(해상유람선,선상식당,선상공연장,선상예식장 등 해상관광시설의 도입)
○ 관광체계별 개발 방향
유형 |
권
역 |
대상지구 |
자원성
및 잠재력 |
개
발 방 향 |
도심형 |
광
복 권
역
세 권
서
면 권
관람일주 |
광복,남포동
중앙,초량동
서
면
대신
공원 |
쇼핑,
관람
쇼핑,
관람, 유흥
쇼핑,
관람, 유흥
산악스포츠,
레크레이션, 도시경관 |
관광쇼핑,
문화의거리
관광쇼핑,
업무단지
관광쇼핑
시민행락지 |
산악형 |
동래온천
금정산성
복천오륜 |
온
천 장
금
정 산
복
천 동 |
온천,
쇼핑, 유흥, 문화재
산악경관
고분군 |
온천휴양지
민속촌
역사유적지 |
해양형 |
기
장 권 |
일
광
기
장
임
랑 |
해수욕장,
해변휴양, 해양스포츠
해수욕장,
해변휴양, 해양스포츠
해수욕장,
해변휴양 |
해변휴양단지
해변휴양단지,
골프장
해변휴양단지 |
해운대권 |
수영비행장
수영매립지
송
정
청
사 포
해
운 대 |
국제업무,
공원스포츠, 회의, 관광
해수욕장,
해양레크레이션, 관람
해변휴양,
해양레크레이션
해변휴양,
공원스포츠
해양경관,
해수욕장, 온천 |
국제업무,
교류, 행락지
해양스포츠
위락단지
해변휴양단지
해변휴양단지
해변온천센타 |
광
안
민
락 권 |
오
륙 도
만락매립지 |
해안경관,
바다낚시
해양레크레이션 |
해안공원
해상위락단지 |
신
선 대
이기대권 |
신
선 대
이
기 대 |
해변휴양,
공원스포츠
해변경관,
관람, 관광, 휴식시설 |
해변휴양단지
해안공원,
해변휴양단지 |
태
종 대
영
도 권 |
동
삼 동 |
해양경관,
패총 |
해안공원 |
수변형 |
낙동강권 |
가
덕 도
을
숙 도
삼
락 동 |
낙동강,
고수부지, 스포츠
낙동강,
연안, 철새도래, 도시행락
해양경관,
휴양, 낚시 |
수변스포츠단지
행락,
조류공원, 경마장
국제관광(오락및휴양)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⑥ 주택
○ 기본방향
·주택공급물량의 확대
- 주택 부족물량 확충을 위해 도시내 개발가용지(산지,구릉지 등) 최대한
활용, 기존시가내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통해 확보
- 소득계층 및 라이프싸이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균형적
주택공급 유도
·주거의 질적 수준 향상
- 주거환경을 제고, 기존 노후주거밀집지역 저밀도 개발 유도
○ 지표설정
·목표년도의 보통가구수는 1,382천가구로서 1994년 대비 약 1.4배
증가될 것으로 전망
○ 주택보급률을 85.7%로 전망할 때 주택재고는 1,184천호로서 1994년의
688천호보다 1.7배 증가될 것으로 전망
○ 주택관련 주요지표
구
분 |
단위 |
1994년 |
1996년 |
2001년 |
2006년 |
2011년 |
인
구 |
천인 |
3,912.0 |
3,935.0 |
4,070.0 |
4,240.0 |
4,500.0 |
일
반 가 구 |
천가구 |
1,121.0 |
1,157.0 |
1,272.0 |
1,413.0 |
1,607.0 |
보
통 가 구 |
천가구 |
988.0 |
1,0313.0 |
1,109.0 |
1,224.0 |
1,382.0 |
가
구 당 인 구 |
인 |
3.5 |
3.4 |
3.2 |
3.0 |
2.8 |
주
택 보 급 률 |
% |
69.6 |
73.4 |
80.2 |
84.5 |
85.7 |
연간신규주택수 |
호 |
28,000.0 |
29,000.0 |
29,000.0 |
30,000.0 |
- |
연간주택공급량 |
호 |
37,500.0 |
39,800.0 |
41,700.0 |
44,600.0 |
- |
연평균감실주택수 |
호 |
9,500.0 |
10,800.0 |
12,700.0 |
14,600.0 |
- |
주
택 수 |
천호 |
688.0 |
744.0 |
889.0 |
1,034.0 |
1,184.0 |
자료
: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⑦ 재정계획
○ 기본방향
·지방세원의 발굴
·국세의 지방세이양
·지역개발사업의 민간참여 확대
·세외수입의 확대 추진
·지방채의 확대 발행
○ 재정규모의 중장기 전망
(단위
: 억원)
구
분 |
1994 |
2001 |
2006 |
2011 |
증가율(%) |
일반
회계 |
소
계 |
14,860.0 |
26,544.0 |
37,504.0 |
51,488.0 |
|
지방세 |
9,045.0 |
16,643.0 |
23,815.0 |
34,085.0 |
7.8 |
세외수입 |
2,566.0 |
5,787.0 |
9,526.0 |
14,726.0 |
10.3 |
의존수입및기타 |
1,530.0 |
4,114.0 |
4,163.0 |
2,677.0 |
3.3 |
특별회계 |
10,876.0 |
21,630.0 |
33,125.0 |
43,826.0 |
15.1 |
총
계 |
25,736.0 |
48,174.0 |
70,629.0 |
95,314.0 |
13.7 |
특별회계비중(%) |
42.3 |
44.9 |
46.9 |
46.0 |
|
1인당GRP(천원) |
5,341.0 |
9,087.0 |
11,726.0 |
15,149.0 |
6.1 |
1인당담세액(천원) |
231.2 |
408.9 |
561.7 |
757.5 |
7.0 |
1인당담세율(%) |
4.3 |
4.5 |
4.8 |
5.0 |
|
재정자립도(%) |
78.1 |
84.5 |
88.9 |
92.7 |
|
자료:
부산도시기본계획보고서(1996년)
5)
主要 開發構想
① 가덕도 개발
○ 신항만 개발계획
·기본방향
-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의 국제컨테이너 중심항만으로 개발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물류·정보거점항으로 개발
·사업기간 : 1995~2011년
·사업내용
- 면 적 : 10㎢ (항만 5.0,
물류 3.7, 조선 1.3)
- 컨테이너부두 : 24선식(5만톤 15, 2만톤 9)
- 일 반 부 두 : 9선식(2만톤 6, 3만톤 1, 5천톤 2)
- 방 파 제 : 1.6㎞(동 1.0, 서 0.6), 안벽 10.8㎞
○ 배후도시 개발계획
·기본방향
- 항만관련 복합 물류기지 조성
- 자연환경과 조화된 신도시 건설
·사업기간 : 1995~2011년
·계획인구 : 20만명 (10만명 수용)
·면 적 : 9.7㎢(주거 5.6, 상업 2.2, 공원·녹지
1.9)
○ 주요 수송노선 계획
·도 로 : 5개노선 41.38㎞
·철 도 : 1개노선 48.40㎞(가덕도~삼랑진)
② 수영 정보·업무단지계획
○ 기본방향
·국제화·정보화에 부응하는 복합정보업무단지로 개발
- 국제업무, 정보통신, 상업 등의 도시중추관리 기능 도입
- 첨단정보화시대에 부합하는 멀티미디어 특화단지 조성
- 쾌적한 도시환경 창출
- 수영강변을 활용한 친수공간 확보
- 보행자를 위한 전용공간 확보
○ 개발계획
·사업기간 : 1995~2001년
·면 적 : 1.152㎢(상업 0.902, 공업 0.165, 녹지
0.085)
·사업내용
- 국제업무,컨벤션센터(국제무역전시장, 회의장 등)
- 정보통신(정보통신 관련 서비스 연구개발)
- 멀티미디어(텔리컴센터, 멀티관련제품 시연장 등)
- 상업시설(백화점, 스포츠시설, 위락편의시설 등)
- 일반 공공시설(공공시설, 녹지, 공원, 공급처리시설, 도로)
·기대효과
- 동남아 국제교류기지로 동남권 경제의 중추기능 수행
- 고용기회 제공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③ 기장군 개발
○ 개발방향
·개발과 보전의 조화 및 개발제한구역의 토지이용도 제고
·관광·위락자원의 적극적 발굴과 여가시설의 유치
○ 개발전략
·전원주택과 공업기능을 동시에 갖춘 자족적 신도시개발
·해안 및 내륙의 수려한 자연경관이용, 관광·여가시설 개발
○ 토지이용계획(220.693㎢)
·기장, 대변, 일광의 기존도시계획 정비(182.476㎢)
(주거3.181, 상업0.197, 공업0.045, 녹지176.293, 미지정2.760)
·자족적인 신도시(정관)로 개발(38.217㎢)
(주거5.13, 상업0.6, 공업2.21, 녹지30.277)
·해안매립을 통한 용지 확충 0.95㎢(연화0.55, 시랑대0.4)
·아시안게임 시설의 배치(양궁경기장, 실내체육관)
○ 교통계획
·기존도심과 해안 및 내륙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비 및 신설
·경전철 2개노선(노포~정관선, 반송~기장선)계획
○ 관광개발계획
·해운대관광특구와 연계된 관광·여가거점으로 휴양위락시설의
적극적 위치
·매립지(연화, 시랑대)해양위락 관광단지 조성
·도시자연공원 2개소(달음산, 불광산), 유원지 1개소(병산)계획으로
시민휴식 및 위락기능 부여
7.
2000年 都市計劃 再整備
① 1995년 3월 1일 기장군 일원이 부산광역시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어 2011년
목표의 부산도시기본계획이 1996년 12일 18일 건설교통부로부터 변경 승인되었다.
② 이에 따른 후속 절차로 1997년 4월부터 시작하여 조사, 연구, 자문 및
보고 등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계획(안)을 마련하여 1998. 6. 30~7.
14일까지 공람공고를 통해 주민 의견청취 후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1999.
6. 29일 도시계획을 입안하여 1999. 7. 12~10. 8일까지 부산광역시의회
의견을 듣고 1999. 10. 22~12. 13일까지 부산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2000. 1. 8일 도시계획결정 및 변경결정고시를 하였고, 일부 전, 답이
있는 부분은 농지전용 협의 후 2000. 5. 16일 도시계획 결정 및 변경결정
고시하였으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수정 가결된 일부는 다시 절차를 이행하여
2000. 6. 30일 최종 도시계획 결정 및 변경결정 고시하고, 도면을 작성하여
그 해 10월 5일에 지적고시를 완료함으로써, 우리 시의 용도 지역·지구·구역,
도시계획시설, 도시개발사업 등에 대한 법정 도시계획 재정비를 수립하였다.
1)
計劃의 範圍
대상구역은 부산광역시 도시계획구역인 950.823㎢로서 2006년을 목표연도로
한 10년 중기계획으로 계획기간은 1997년~2006년으로 1단계는 1997년~2001년이며
2단계는 2002년~2006년이다.
2)
計劃의 基本方向
○ 21세기 환태평양의 해양수도 건설을 위하여 기존 도심권은 도시중추관리기능을
강화하여 무역·금융거점으로 육성하고, 동부산권은 국제관광도시로
개발하여 정보·관광산업의 메카로 육성하며, 서부산권은 미래첨단도시로
개발하여 생산·물류거점으로 추진한다.
○ 도시기본계획 구상의 구현을 위해 도시기본계획의 방향과 지침을 수용하고
목표연도(2006년)의 424만명의 인구수용에 적합한 도시골격을 형성한다.
○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하고 지역간 교통연계를 통한 가로망과 무질서한
시가지 정비 및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추진하고 생활권별 균등한 생활여건을
조성한다.
○ 도시기능 및 도시계획 운용체계상 불합리한 내용조정과 각종 도시계획
관련 민원, 건의안의 합리적으로 검토하여 수용하는 등 불합리한 도시계획을
정비한다.
3)
開發戰略
○ 국제 Hub항 개발 및 물류·유통 거점화를 위한 가덕도 신항만 및
국제물류·유통단지를 건설하고
○ 국제업무·금융 및 투자기능 활성화를 위해 센텀시티, 종합금융단지,
산업개발지원기관을 건설하며,
○ 신산업단지 조성 및 산업고도화를 위해 부산과학지방산업단지 및 녹산·신호산업단지를
건설하고 산·학·연을 연계한 신산업벨트를 조성한다.
○ 도시구조개편 및 시가지 개발을 위해 기존도심 정비와 서면도심을 개발하고
서부와 동부를 부도심으로 개발한다.
○ 광역교통망 및 국제공항 정비를 위해 광역도시 고속도로망 구축과 국제공항을
확장한다.
○ 휴식·여가 공간 조성을 위해 해운대, 기장의 해양관광 벨트와
기장 전원휴양지 및 부산민속촌을 건설한다.
4)
主要指標 設定
① 인구 및 세대
구
분 |
단
위 |
1998년 |
2001년 |
2006년 |
총
인 구
세
대 수
세
대 당 인 구 |
인
세대
인 |
3,842,834.0
1,173,328.0
3.3 |
4,070,000.0
1,272,000.0
3.2 |
4,240,000.0
1,413,000.0
3.0 |
자료
: 부산통계연보
② 경제규모
구
분 |
1998년 |
2001년 |
2006년 |
지역
총생산(억원)
인
구 (천인)
1인당생산소득(천원) |
260,887.0
3,843.0
6,789.0 |
341,969.0
4,070.0
8,402.0 |
513,204.0
4,240.0
12,103.0 |
자료
: 부산광역시, 시정백서
③ 생활환경
구
분 |
단
위 |
1998년 |
2001년 |
2006년 |
인
구 |
계
획 인 구
연
평 균 증 가 율 |
천인
% |
3,843.0
- |
4,070.0
1.0 |
4,240.0
0.8 |
주
택 |
가
구 당 인 구
총
가 구 수
주
택 보 급 률 |
인
천가구
% |
3.3
1,041.0
80.2 |
3.2
1,272.0
82.0 |
3.0
1,413.0
84.5 |
교
통 |
도
로 율
자
동 차 등 록 대 수 |
%
천대 |
16.7
720.0 |
18.0
1,060 |
20.0
1,488.0 |
토
지
이
용 |
도
시 계 획 구 역
시
가 화 구 역
·주 거 지 역
·상 업 지 역
·공 업 지 역 |
㎢ |
950.8
169.3
106.5
18.5
44.3 |
951.0
-
-
-
- |
951.0
172.0
106.8
19.5
45.7 |
상수도 |
상
수 도 보 급 률
1일
1인 급 수 량
총
급 수 량 |
%
ℓ
천㎥/일 |
97.9
381.0
1,435.0 |
99.6
454.0
1,840.0 |
99.7
462.0
1,953.0 |
자료
: 부산통계연보, 시정백서
④ 도시계획구역 확장 : 951.04㎢
강서구 녹산동 서측 공유수면일원 부산신항만지역을 도시계획구역으로 확장(213천㎡)
⑤ 용도지역 변경결과
지역별 |
면적(천㎡) |
지역별 |
면적(천㎡) |
지역별 |
면적(천㎡) |
일반주거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중심상업지역 |
59,202
613
4,936
6,455
197 |
일반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전용공업지역
일반공업지역
준공업지역 |
18,955
378
10,374
17,039
18,285 |
보존녹지지역
생산녹지지역
자연녹지지역
미지정지역
|
728
600
604,033
173,238
|
자료
: 도시계획과
⑥ 용도지구 변경결과
구
분 |
풍치지구 |
미관지구 |
고도지구 |
방화지구 |
시설보호
지구 |
도시설계
지구 |
아파트
지구 |
자연취락
지구 |
면적(천㎡) |
116 |
2,384 |
5,630 |
18,225 |
7,900 |
6,475 |
2,062 |
214 |
자료
: 도시계획과
⑦ 용도구역 변경결과
- 개발제한구역 382천㎡, 상세계획구역 12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