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카드뉴스

2025

2024년 학교 및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 정수기 수질검사 결과 - 대부분 적합
작성자
이정인
작성일
2025-03-14
조회수
70
첨부파일
내용



우리 연구원은 아동·청소년의 수인성 질병 예방과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14년 소규모 어린이집(연면적 430㎡ 미만)을 시작으로 매년 정수기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부산광역시 교육청(이하 교육청)과 합동으로 학교 내 정수기의 관리실태 현장점검 및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소규모 어린이집뿐만 아니라 다함께돌봄센터, 지역아동센터 등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시설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검사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학교 및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대상 정수기 검사결과, 총 1,167대 중 1,165대(99.9 %)가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수기수 검사항목은 ‘먹는물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의2에 따라 총대장균군, 탁도 총 2개 항목입니다. 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는 검사결과, 0.03 NTU ~ 0.40 NTU로 수돗물 기준인 0.5 NTU보다 낮았으나, 수인성질병 지표 미생물 중 하나인 ‘총대장균군’이 일부 정수기에서 검출되었습니다.

1차 검사결과 수질기준 초과 정수기는 초과한 즉시 사용 중지 통보 후 청소 및 필터 교체 등 개선 조치하여 재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재검사에서도 기준을 초과한 정수기는 최종 폐기처분하였습니다.

※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 탁도의 단위, 빛을 산란시키는 정도를 나타낸 값으로 빛을 산란시키는 정도가 클수록 탁도가 높습니다.


정수기 물을 안심하고 마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정수기 필터는 정기적으로 교체하고 정수기 내에 물과 접촉하는 부분은 주기적인 청소, 소독을 실시해야 합니다. 직사광선 및 화장실 주변, 냉·난방기 앞 등은 미생물 번식의 우려가 있어 정수기를 설치해서는 안되며, 정수기 이용 시 정수기 꼭지에 손이 닿거나 입을 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 연구원은 올해도 교육청과 합동으로 학교 정수기 현장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며,  소규모  어린이집,  지역 아동센터 등 아동·청소년 이용 시설뿐만 아니라 부산시 관내 종합사회복지관까지 정수기 수질검사를 확대하여 부산 시민들이 안심하고 깨끗한 물을 드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물환경연구부 먹는물조사팀 환경연구사 김소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