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 Metropolitan City, �λ걤���� 2001�� �����鼭�����鼭 ����Ű�� ġ�ø� �����鼭 Ȩ���� �̵��մϴ�.
��1�� ����������2�� ���� �ι��� ���� �� ��ȹ��3�� �������η���ü��Ϻ���

 ��Ȳ/�λ�������¹׵���

 ����Ȱ��ȭ��å/��������å/��������������/
������������ȭ

 ������ġ�Ϲ���Ȳ/2001���ֿ������ȹ/
�������׼�������

 �������������/�跮��Ȯ��/ǰ���/
������ü��

 

 

1. 경제활성화 시책     2. 산업입지 기반조성     3. 유통산업의 현대화

2.  산업입지 기반조성

가. 산업입지의 특성

부산은 지리적으로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하여 국내 최대의 무역항으로서 수출산업과 수출 최적지로서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항만, 교통, 용수 등 사회간접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노동력과 자본확보의 용이성 등 대도시로서 집적이익이 크며 원료공급과 국내외 시장접근이 용이한 강점으로 어느 지역보다 공업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시로서 일찍부터 자유입지에 의한 공장 등이 지역경제의 주역으로서의 역할을 하여왔고 직유, 화학, 기계, 기타 여러 가지 업종이 고르게 입지하고 있다.

업종별 제조업체 현황

(단위 : 개, 명, 10억원)     

구      분

'99 12. 31 현재

'95

사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

사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

8,652

185,612

18,191

9,536

232,560

17,319

음식료품

448

12,060

1,414

437

15,096

1,344

섬유제품

631

19,312

1,784

676

24,193

1,621

의복 및 모피제품

788

23,384

740

831

25,142

838

가죽,가방 및 신발

973

22,111

1,447

1,015

34,766

1,528

목재 및 나무제품

167

2,606

296

240

4,466

353

펄프, 종이제품

186

2,409

219

220

3,112

237

출판, 인쇄 및 기록매체

211

2,879

223

196

3,268

219

코크스 및 석유정제품

6

337

116

5

517

161

화합물 및 화학제품

160

4,429

787

177

5,633

735

고무 및 플라스틱

606

8,692

705

622

10,648

658

비금속광물제품

113

1,899

339

154

3,382

393

제1차 금속산업

351

10,509

2,540

276

12,635

2,582

조립금속제품

1,141

16,367

1,437

1,389

22,061

1,496

기계 및 장비

1,434

20,930

1,902

1,758

29,431

3,123

사무, 회계용기계

15

235

13

14

370

11

전기기계 및 변환장치

339

7,553

886

412

7,700

526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104

4,446

330

110

3,479

219

의료, 광학기기 및 시계

98

1,886

137

104

1,983

109

자동차 및 트레일러

240

7,743

719

177

7,101

744

기타 운송장비

152

9,054

1,705

149

8,892

1,010

가구 및 기타

470

6,641

422

563

8,486

372

재생 재료가공처리업

19

130

30

20

200

40


그러나 '60년대부터 급속한 도시의 팽창에 따라 공장 주변지역에 주거 및 상가 등이 들어서게 되어 무질서한 혼재현상을 일으켜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지형상 배산임해의 자연적인 조건으로 가용용지가 협소하여 공업성장과 기존공장 재배치를 위한 공업용지 수요가 격감한데 비하여 공업지역이 협소하여 공장규모의 영세화, 과밀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공업지역중 대부분이 중공업지역(46.3%)으로 도심내 중소제조업이 공장용지 확보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더구나 정부의 대도시 공장의 지방이전 촉진시책으로 대규모 공장들이 타 지역으로 이전함으로써 부산지역 경제난의 약화현상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고 지역공업의 주종을 이루어 온 신발, 봉제, 직유 등의 노동집약적 경공업구조의 심화로 국제경쟁력 취약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구조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유망업종의 입지촉진과 기존산업의 재배치 및 정비를 위한 공업용지 조성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나. 공장성장 추세

부산의 공업성장은 업종에 따라 일정한 것은 아니지만 개략적으로 볼 때 '45년도 이후 '53년 휴전기까지의 혼란기를 거쳐 '54년부터 '61년까지는 주로 전후복구의 재건기에 이어 '62년부터 '72년까지 고도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런데 '77년 이후부터 부산의 공업은 그 한계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성장이 둔화되었고 전국적인 비중이 점차 감소되기에 이르렀다.
그 요인은 그 동안 심화되어 온 원자재 및 제품시장의 해외 의존성과 노동집약적 경공업 위주의 구조적 취약성에다 새로운 공업투자를 유도할 공업용지를 확보하지 못한데 기인하고 있었으나, '94년을 기점으로 부산공업의 주업종은 화학업종의 경공업에서 탈피, 조립금속 및 기계·장비업종의 중화학으로 변하고 있으며 '95년 삼성승용차 공장의 부산유치로 관련업종의 발달과 더불어 고용 및 생산량 증가로 지역경제가 활성화 추세에 있다.

연도별 공장성장 추세

*1993년 산업분류 방식 변경 (단위:개, 명, 억원)      

연  도

직 유(섬유의복)

공 장

종업원

생산액

공 장

종업원

생산액

1965

1,699

77,179

410

354

27,629

-

1970

1,743

126,419

2,226

415

37,174

-

1975

2,645

263,441

1,170

481

81,774

-

1980

4,152

311,724

40,213

823

97,021

9,093

1981

4,009

345,360

57,610

776

100,939

12,839

1982

3,773

338,680

55,080

717

91,300

12,069

1983

4,305

365,333

63,160

637

108,927

13,369

1984

4,421

336,917

65,200

935

98,348

13,985

1985

4,859

361,473

71,894

1,017

104,787

15,956

1986

5,235

405,899

92,207

966

102,328

17,757

1987

5,602

423,819

102,569

1,096

103,309

19,886

1988

6,186

425,352

118,604

1,166

99,286

22,770

1989

6,556

405,010

126,813

1,217

86,184

22,225

1990

6,741

364,196

134,738

1,229

79,450

23,274

1991

7,002

312,819

135,660

1,039

58,305

17,260

1992

7,618

283,862

136,730

1,078

56,697

18,380

1993

9,250

264,979

143,570

1,443

58,933

16,712

1994

9,294

245,218

153,340

1,477

55,063

23,790

1995

9,536

232,560

173,190

1,507

49,335

24,590

1996

9,393

219,132

180,710

1,435

44,763

22,990

1997

8,958

198,863

176,954

1,410

43,161

23,630

1998

8,215

174,091

173,520

1,264

37,861

23,010

1999

8,652

185,612

181,910

1,419

42,698

25,240

 

연도

화 학

기 계

기 타

공 장

종업원

생산액

공 장

종업원

생산액

공 장

종업원

생산액

1965

359

27,447

-

438

10,490

-

-

-

-

1970

245

27,569

-

546

29,648

-

537

32,028

-

1975

364

64,420

-

837

52,265

-

963

64,982

-

1980

926

112,026

10,533

1,522

65,081

6,022

881

37,596

14,565

1981

786

129,705

16,335

1,607

75,356

8,756

840

39,360

19,680

1982

743

140,803

15,757

1,495

71,729

8,468

778

35,568

18,766

1983

907

144,553

18,068

1,525

70,213

11,003

936

41,640

20,730

1984

713

119,283

16,168

1,696

73,212

12,967

1,077

46,074

21,980

1985

876

134,550

18,748

1,855

78,212

14,916

1,111

43,124

22,274

1986

1,134

170,207

30,032

1,987

83,418

28,958

1,148

49,892

25,460

1987

1,246

183,613

34,040

1,947

72,236

21,375

1,313

64,761

27,268

1988

1,347

188,662

41,792

2,256

74,637

23,185

1,417

62,767

30,857

1989

1,527

184,723

43,437

2,436

73,840

26,798

1,376

60,263

34,353

1990

1,590

160,067

44,668

2,541

70,554

30,669

1,381

54,125

36,127

1991

1,547

123,209

35,470

2,809

81,047

51,430

1,607

50,258

31,500

1992

1,505

96,427

31,800

3,318

81,310

52,640

1,717

49,428

33,910

1993

850

20,616

13,890

3,360

66,046

48,690

3,597

119,384

64,278

1994

786

18,468

14,480

3,427

65,703

54,940

3,604

105,984

60,130

1995

804

16,797

15,540

274

58,962

57,420

4,501

107,466

75,640

1996

786

15,880

16,760

2,875

61,700

51,002

4,297

96,789

89,958

1997

796

15,621

16,654

2,983

45,411

37,760

3,769

94,670

98,910

1998

850

12,739

15,680

2,622

36,868

30,570

3,479

86,623

104,260

1999

885

15,357

19,470

2,575

37,297

33,390

3,773

90,260

103,810


다. 공장이전 상황

부산지역이 안고있는 공장입지상 제약여건과 정부의 대도시 공장의 지방분산정책에 따라 공장들이 시외로 이전함으로써 공장이전 부지를 주택, 학교용지로 활용하고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비교적 고용규모가 큰 공장의 이전에 따라 취업기회가 감소되고 도시의 성격과 기능의 변화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력이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시외(김해, 양산 입지공장의 경우)로 이전한 공장도 종업원의 확보난, 수송비 부담의 가중 등 경영상의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녹산국가산업단지와 신호·부산과학·정관지방산업단지조성 등으로 공장용지 확보난이 다소 해소되고 공장 이전추세도 점차 감소될 것으로 보여진다.

공장이전  상황

(단위:개체, %)     

구   분

'77∼ '93

'94

'95

'96

'97

'98

'99

2000      
        비중

합 계         
          비중

합   계

633

130

110

147

176

164

141

247

100.0

1,748

100.0

양산·김해

455

107

82

128

146

127

105

177

71.7

1,327

75.9

마산·창원

53

3

13

6

7

6

7

11

4.5

106

6.1

울   산

54

7

4

6

8

13

3

16

6.5

111

6.4

기   타

71

13

11

7

15

18

26

43

17.4

204

11.7

 

라. 공장입지 확충

도시의 성장발전에 따라 기존 공장의 재배치용지와 신규 공장용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기존공업지역내 공장의 합리화 재배치로 도시기반시설 재정비는 물론 기존산업의 합리화와 더불어 유망한 기술집약업종의 신규공장 용지를 조성하여야 하며, 앞으로 조성될 공업용지는 계속적으로 산업체 조업환경의 유대개선과 산업별 개별협동화로 경제적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공   업   용   지
 

공업성장 전망

(1985→2000)

   ○ 산 업 체 : 4,859 → 7,500업체

   ○ 고용인원 : 362 → 480천명

   ○ 생산출하 : 72,884 → 183,670억원

   ○ 부가가치 : 24,986 → 66,120억원

공장용지수요 전망

(2001)

   ○ 계 : 25.88㎢

   ○ 기존공업 재배치 수용 용지 : 10.44㎢

   ○ 신규공장용지 수요 : 15.44㎢


 

마. 산업단지 유치

(1) 기존단지 관리

(가) 입지적 배경
신평·장림산업단지는 부산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면서 낙동강 하구둑 및 하류의 강변을 끼고 남쪽 편에 아미산이, 북동쪽에 동맥산과 봉화산이 있어 3면이 낮은 야산으로 병풍처럼 둘러 쌓여있고 서쪽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서낙동강권의 녹산국가공단, 신호지방공단, 부산과학지방산업단지와도 근접해 있다.
특히 단지의 인근에는 감천항(동남쪽 2㎞)과 다대포항(남쪽 3㎞)이 근접해 있으며 김해공항과도 10분거리에 있을 뿐 아니라 경부고속도로와 남해안고속도로와의 연결이 용이하여 교통이 아주 편리하다. 또한 지하철 1호선 종점인 신평역이 공단과 500m거리의 위치에 있다.

(나) 공단의 조성
공업용지의 절대적인 부족 속에서 북구의 사상공업지역과 강서구, 사하구, 서구, 영도구 일원을 제외한 시 전역이 공업배치법상 성장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공장의 신설, 증설이 제한됨에 따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새로운 공업단지 조성이 당면과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단지조성 적지를 물색하던 중 이때까지 갈대밭과 저습지로 방치되어 있던 낙동강하구의 신평, 장림 일대가 모든 면에서 최적지라고 판단, 이곳을 매립하여 일단의 공업용지를 조성키로 결정하고 한국토지개발공사와 협의를 거쳐 '80년 2월 19일 신평, 장림지구 토지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사업은 도심지내 비상공업지역의 공장 이전과 신규공장용지의 공급이라는 목적 외에도 그때까지 변두리 지역이던 신평, 장림동 일대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지역간의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고 시내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처리하게 되는 다목적 사업으로 '80년 9월 22일 부산직할시 고시 제196호로 885천㎡에 대하여 도시계획시설 결정 및 지정고시 되었다.
공업용지 조성사업 시행공고 등 필요한 절차를 마치고 '81년 5월 16일 건설부의 실시계획승인(건설부고시 제167호)을 받아 즉시 공사에 착공하여 3년 2개월의 공사기간에 1백95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84년 6월 27일 사업의 준공을 보게 되었다.

(다) 입주업체 선정과 용지분양
신평, 장림산업단지는 기존의 주택가와 인접해 있을 뿐 아니라 전체 공장용지 612,691㎡중 93%인 571,465㎡가 준공업 지역이므로 공장입지 지정 승인시 기계금속, 화학, 섬유 등 저공해업종을 대상으로 입주대상업체를 엄선하였다. 한국토지개발공사에서는 단지 조성공사가 진행 중이던 '82년 6월 5일부터 부산시의 입지지정 승인을 받은 업체를 대상으로 용지 조성원가인 ㎡당 43,000원씩에 용지분양을 개시하였으나 초기에는 공장 이전에 따른 세제상 혜택이 없을 뿐 아니라 기반시설이 정비되지 않아 분양실적이 부진하여 수차에 걸친 분양공고와 입주업체 유치 홍보활동 끝에 '84년 6월 30일 105개의 공장과 23개의 지원업체에 대한 용지분양이 완료되었으며, 분양시 평당 14,000원씩 출자 총 26억3천7백6십5만9천9백만원의 공단기금을 조성케 됨으로써 자립공단 운영체제를 갖추었으며 공단입주는 '84년부터 시작되어 2000년말 현재 159개 공장과 22개의 지원업체가 가동중에 있다.

연도별 입주현황
 

연도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14

43

70

89

101

123

128

128

128

128

128

128

127

131

129

185

181

공 장

14

43

65

81

91

103

105

105

105

105

105

105

104

108

106

163

159

지원업체

-

-

5

8

10

20

23

23

23

23

23

23

23

23

23

22

22

 

(2) 협동화 단지 조성

시역내 용도 위배업체의 공장이전 및 도심내 산재한 공해 유발업체를 업종별로 집단화 재배치시켜 공동공해 방지시설 및 열병합발전 시설설치운영을 비롯하여 공공시험, 연구사업, 공동구판장 사업, 종업원 후생복지사업 등 업종별 특성에 맞는 협동화사업을 할수 있도록 낙동강 하구매립지 공업단지내 1단계(신평, 하단지구)로 '86년 12월 24일 염색, 기계 부품단지입지를 확정하여 협동화시설 및 개별공장이 건설되었으며, 2단계 사업구간인 장림·다대지구에는 공장단지가 1,223천㎡로서 입주경쟁이 가열되어 중소기업형 업종전반에 대하여 지역환경, 경제기여도, 부가가치 등을 종합검토 후 문화재보호구역 해제 및 환경영향평가에 따라 입주업종을 신중히 검토할 결과 기계, 자동차부품, 도금 피혁업종을 '88년 9월 14일 결정하고 '88년 12월 31일자로 신평·장림공단 협업단지로 지정, '92년 완공되었으며, 협동화공동 공해방지시설과 개별공장 건축을 추진하여 부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공동화단지 조성현황

(단위 : 개,천㎡)     

단 계 별

위 치

매립면적

배치업종

조성면적

입주업체

공동화사업


3,377천㎡

합 계

1,223천㎡

440


1단계

('86∼'92)

신평하단

지 역

2,141천㎡

플라스틱

염 색

기계및부품

10천㎡

252천㎡

90천㎡

8

55

25

  ·폐수처리

  ·열병합발전

소 계

351천㎡

88

2단계

('87∼'92)

장림다대

지 역

1,236천㎡

기 계

피 혁

자동차부품

도시가스

500천㎡

156천㎡

90천㎡

76천㎡

50천㎡

231

50

48

22

1

  ·공동구판장

  ·폐수처리장

  · 〃

  ·금형,공동검사

소 계

872천㎡

352

 

구획별 입주현황

(단위 : 천㎡, 개, 명)     

구 분
단지명

면 적

입 주 업 체

고용인원

비 고

가 동

휴폐업

건설중

1,174

439

433

6

-

12,850


기 계

591

256

256

-

-

6,117


염 색

251

55

53

2

-

3,168


피 혁

156

50

47

3

-

1,800


도 금

90

48

47

1

-

1,036


자동차부품

76

22

22

-

-

649


프라스틱

10

8

8

-

-

80

개별입지

     ※ 협동화사업 : 기계(공동구판장), 염색(폐수처리장, 열병합발전소), 피혁(폐수처리장),
                           도금(폐수처리장), 자동차부품(금형, 공동시험검사)


(3) 신규 산업단지 조성


부산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용지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선 부산면적의 70%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그중 36.7%가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극심한 용지난을 겪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낙동강 하구지역에 210만평의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조성중이며, 첨단유망산업(항공, 우주, 정밀기계, 해양, 수산, 정보, 통신, 메카트로닉스 등)을 유치하기 위하여 강서구 지사동 일원에 64만평의 부산과학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철강기계,운송장비 및 기타제조업 유치를 위해 정관지방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와 함께 침체된 부산경제 회생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94만평의 신호지방산업단지를 강서구 신호동에 조성중에 있다.

(가)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대도시권의 광역적 정비 및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기반의 조성, 개발을 위해 '90년부터 2003년 완공(부지공사 2001.3.31까지, 하수처리장건설 2003.2.28까지)을 목표로 강서구 녹산동 일대에 210만평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대단위 계속사업이다. 지난 '89년 명지·녹산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 고시되고, 한국토지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였으며, '91년 건설부가 국가공단으로 지정하였다. '93년 어업권 보상착수, 동년 12월 해상부의 본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94년 4월 개별공장용지 1차 분양을 시작하여 4차례에 걸쳐 분양하였으며, '95년 12월부터 잔여용지에 대하여 수시로 분양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2001.4월말 현재 공장용지 분양은 분양공고면적 1,244천평중 993천평이다.
부지 조성 공사준공은 단계별로 처리하고 있다. 1단계 사업구간(151만평)의 준공(151만평)은 '99. 6. 30이고, 2단계 사업구간(34만평)의 준공은 2000. 3. 31이며, 3단계 사업구간(25만평)의 준공은 2001.3.31 이다.

(나) 신호지방산업단지
도시 공간구조의 정비와 개편으로 도시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기반 강화 및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행정구역시 신호간척지로 조성된 강서구 신호동 일원에 7,040억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94만평의 규모로 '94년 12월에 신호지방산업단지로 지정고시하였으며, '94년 8월에 사업시행자로 부산시 건설본부장을 지정하였다. '95. 5월 실시계획 승인 및 '95년 7월 공사 착공하여 1단계 사업구간(59만평)은 2000.12.31 준공(삼성자동차부지는 '96.12월 완공)하였고, 2단계 사업구간(17만평)은 2002년, 3단계 사업구간(18만평)은 2004년 준공목표로 공사진행 중에 있다.

(다) 부산과학지방산업단지
21세기를 향한 기술입국의 실현과 부산 및 동남권역 산업합리화의 추진과 기술수준을 제고하고 산업, 연구, 교육기능이 복합된 기술집적도시를 건설하기 위하여 강서구 지사동 일원에 200만평의 규모로 '90년 2월에 부산(지사)과학산업단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91년 12월 지방산업단지로 지정하였으며, '92년 12월 건설부의 기본계획 승인, '93년 7월 135만평으로 개발기본계획 변경승인, '95년 10월 실시계획 승인하였으나, 타 지역보다 단지조성원가의 고가(평당 90만원 이상)로 용지매입자 확보가 어려워 단지의 토지이용계획을 합리적으로 조정, 변경하기 위하여 '96년 11월 사업시행자 변경을 위한 한국토지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후 IMF로 인해 장기간 사업이 지연되어 오다가 '99년 5월 97만평으로의 변경 지정고시를 하였으며, 본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2000.3월부터 6월까지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2001년 2월부터 지정변경(64만평)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1년 12월경에는 공사착공할 예정이다.

(라) 정관지방산업단지
정관지방산업단지는 정관면 일원에 산재한 공장의 이전 ·재정비로 동부산권 개발촉진과 지역균형개발을위해 381천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특히 본 사업은 인접한 택지개발사업과 동시에 개발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한국토지공사,대한주택공사,도시개발공사와 2000년.10월에 사업시행 협약체결를 하였다. 앞으로 2001년 6월중 산업단지 지정고시를 하고, 2001년 12월경 공사를 착공할 예정이다.


1. 경제활성화 시책
    2. 산업입지 기반조성     3. 유통산업의 현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