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남항 맞춤형 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상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양사고 발생현황[최근 3년간, 2021~2023]

계절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그래프
                                  봄(3~5월) 30건, 여름(6~8월) 33건, 가을(9~11월) 24건, 겨울(12~2월) 22건

계절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가을철 유형별 해양사고 그래프 해양오염 8건 충돌접촉 3건 화재폭발 0건 좌초침몰 0건 침수전복 2건 선박표류 5건 추락실족 6건

겨울철 유형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부산남항 겨울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
부산남항 겨울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 (연도/유형,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합계로 구성된 표)

유형

slash

연도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합계

2021

5

1

1

1

0

1

2

11

2022

4

0

1

0

0

0

2

7

2023

0

0

1

0

0

0

3

4

누계

9

1

3

1

0

1

7

22

부산남항 사고분석 및 예방
  • 최근 3년간 겨울철(12~2월) 해양사고 22건 발생 [해양오염 9건]

  • 2월은 전복 · 침몰 사고 발생시 인명피해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는 시기이므로, 안전사고에 주의 필요

  • 구명조끼 상시 착용, 장력이 걸리는 홋줄 · 어구 등으로부터 안전거리 확보, 기상정보 상시 확인 철저

부산남항 안전정보

주요 사고 사례를 통한 해양사고 예방 안내
  • 1.어선 A호 전복사건 (운항관리 부적절)

선박 A호 전복사건 : 운항관리 부적절

사건개요

선박

A호: 어선, 29톤, 길이 21.59미터, 디젤기관 446kw 1기

일시
장소

2019. 2. 13. 05:35경

제주도 마라도등대로부터 176도 방향, 199마일 떨어진 해상

피해

선장 K가 사망하고, A호는 전복된 상태로 표류하다가 침몰

날씨

맑은 날씨(시정 약 2해리), 북동풍 초속 12~16미터, 파고 약 3~4미터

원인

  • 이 전복사건은 A호가 투승작업을 하며 항해하던 중 동조 횡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주기인 약 5초, 파고 약 4m인 추종 사파를 조우하여 약 16.2㎥의 해수가 난간을 넘어 갑판으로 유입된 후 선체가 복원정 소실각도(28도)에 가깝게 기울어 직립상태로 복원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수가 기관실로 유입되며 복원력을 상실하여 발생한 것이나, 선박 소유자가 하부 방수구 및 기관실 출입문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한 것도 일부 원인

교훈

  • 선박 소유자는 방수구의 막힘을 확인하여야 하고, 정비를 방해하는 시설물을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 갑판의 폭이 확장된 선박의 선장은 선형이 가지는 복원성 한계유의하고, 좌우 경사가 없는 상태로 선박을 운항하여야 한다.

  • 선장은 유의파고 2배 높이의 최대파고조우할 수 있음에 유의하고, 거친 해상 상태에서는 갑판상 개구부를 반드시 폐쇄하여야 한다.

관련
사진

A호 전경

<A호 전경>

기관실 출입구

<기관실 출입구>

자료관리 담당부서

선박신고팀
051-250-9528
최근 업데이트
2025-02-04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