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여러분께 좋은 물을
공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문
메뉴위치
- Home
- 상수도소개
- 역사관
- 역사별화보
역사별화보
1910년 일본강점기 이전

- 1910년 일본강점기 이전
-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주요 식수 공급원이었던 우물과 하천의 물을 지게나 항아리로 길어 사용
- 자세히보기
1920 ~ 1930년 부산상수도 확장공사

- 1920 ~ 1930년 부산상수도 확장공사
- 인구의 증가와 도시확장, 공업시설이 들어서면서 기본 상수도로는 물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현, 금정구 청룡동에 범어사 정수장과 양산시 동면 법기리에 법기수원지를 축조(1926~1932)하여 15천㎥/일 급수능력을 갖춤
- 자세히보기
1940 ~ 1950년 고갈상태의 회동수원지

- 1940 ~ 1950년 고갈상태의 회동수원지
- 해방이후 해외거주 동포의 귀환과 6.25사변으로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함께 도시규모가 급격히 확장되어 부산지역이 생산 및 소비의 중추도시로 발전됨으로써 식수의 수요량이 급증하여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명장정수장 확장공사를 실시, 80.000㎥/일 생산능력을 갖춤
- 자세히보기
1960 ~ 1970년 1, 2차 상수도확장공사

- 1960 ~ 1970년 1, 2차 상수도확장공사
-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더불어 급속한 산업화로 인구증가되어 원수의 절대부족으로 풍부한 상수원수 확보가 필요하여 낙동강을 상수원수로 사용하기 시작
- 자세히보기
1970 ~ 1980년 3,4차 상수도 확장공사

- 낙동강 수계 상수도 확장사업 및 화명개통 취,정수시설 및 고지대와변두리 지역 급수난 해소를 위한 상수도 확장하여 총생산능력 945천㎥/일(보급율 90%) 1일1인당 평균급수량 310ℓ 생산
- 자세히보기
1980 ~ 1990년 5,6차 상수도확장공사

- 1980 ~ 1990 5,6차 상수도확장공사
- 가뭄이나 대조기때마다 낙동강하류에서 역류하는 바닷물 때문에 물금의 취수 중단사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늘어나는 급수인구에 대비한 상수도 기본 생산시설 확보하고, 급수시설 확장사업은 물론 노후관개량, 고도정수처리시설 등 맑은 물 공급 사업에 역점을 두고 추진
-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