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혼례 절차 및 용어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 진행안내(전안례, 교배례, 합근례)
❍ 奠雁禮(전안례)
1) 서- 우문외 : 신랑은 들어오다가 초례청 앞에서 잠시 기다리시오.
2) 주인영 서 – 우문외 : 신 부 혼주측(신부아버지)에서는 나아가 신랑을 맞이하시오.
3) 서-읍양 이입 : 신랑은 읍하고(신부아버지께) 들어오시오
4) 시자 집안 이종 : 기러기를 든 시자는 신랑 뒤를 따르시오.
5) 집안자 이안수서 : 시자는 기러기를 신랑에게 주시고
서- 포안 우좌기수 : 신랑은 기러기 머리가 왼쪽으로 가도록 받아 안으시오.
6) 북향궤 치안우지 : 신랑은 꿇어 앉아 기러기를 소반위에 놓으시오
6) 면복흥 소퇴재배 : 신랑은 일어나 조금 뒤로 물러나 두 번 절을 하시오.
❍ 交拜禮(교배례)
1) 서 – 지초례청 취동석 : 신라은 초례청 동편 자리에서시오.
2) 무도부출 우서식 : 수모는 신부를 인도하여 초례청 서편자리에 들어 서시오.
3) 서부 각궤좌 : 신랑, 신부는 마주하여 각각 꿇어 앉으시오.
4) 진관진세 서관우남 부관우북 : 신랑세수대야는 남쪽에, 신부세수
대야는 북쪽으로 놓고 손을 씻으시오
5) 서 부각 세수식건 : 신랑, 신부는 손을 수건에 닦으시오.
6) 서부흥 평신 : 신랑· 신부는 일어 서시오.
7) 부선재배 : 신부가 먼저 클 절을 두 번 하시오.
8) 서답일배 : 신랑은 답례로 절을 한 번 하시오.
9) 부우재배 : 신부는 다시 절을 두 번 하시오.
10) 서우답일배 : 신랑은 답례로 다시 절을 한 번 하시오.
❍ 合巹禮(합근례)
1) 서읍주 각궤좌 : 신랑·신부는 마주하여 각각 꿇어 앉으시오.
2) 시자진찬 각침주 : 시자는 술잔을 들려다 놓고 각각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3) 서읍부 삼제주 거효 : 신랑·신부는 술잔을 들어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빈 그릇에 세 번 씩 기울이고 안주는 술상위에 놓으시오.
4) 우침주 : 시자는 다시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5) 서읍부거음 부제무효 : 신랑·신부는 각각 술을 마시뒤 안주는 들지 마시오.(부부로서 인연을 맺는 의미의 잔)
6) 우취근 서부지전 각침주 : 표주박 술잔을 신랑·신부에게 주고 술을 따르시오. 신랑·신부는 반잔만 마시시오.
7) 거배상호 서배상 부배하 : 술잔을 들어 신랑술잔은 위로, 신부술 잔은 아래로 서로 교환하시오.
8) 서부각거음 부제무효 : 신랑·신부는 안주없이 술을 드시오.
(이잔은 부부의 화합을 의미하는 잔입니다)
9) 서부흥평신 : 신랑·신부는 자리에 일어서시오.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충렬사관리사무소 박상규(☎ 888-7225)에게
연락주시면 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