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관광산업 현황 2. 관광자원 개발 3. 2002 계획
제 3 절 관광진흥 1. 관광산업 현황 가. 일반현황 세계의 관광산업은 연평균 4.2%∼4.4%의 성장추세로 오는 2010년에는 3억 2,840만명의 고용창출과 생산액이 8조 84억달러로써 세계 총생산액의 12.5%에 달해 관광산업이 고용창출효과와 생산 유발효과가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최고의 전략서비스 산업"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 나라는 '70년대에는 고도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편의시설의 확충, 각종 교통수단의 발달 등으로 국민생활의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고 '80년대에는 해외여행 자유화와 더불어 국내외 여행이 촉진되었으며, 관광이 하나의 국민생활에 있어 기본권화 되어가는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IMF체제하의 국민의 정부에서는 관광산업이 정보통신 등의 최첨단 산업에 견줄 수 있는 미래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관광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시키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해운대 해수욕장 등 천혜의 관광자원을 지닌 우리 부산의 입장에서도 수많은 기업의 도산 및 제조업의 쇠퇴 등 경기침체가 심해져 가고 있는 현재의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 관광산업을 중점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거듭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현재
부산지역의 관광관련 기본현황을 살펴보면 관광ㆍ숙박업 61개 업체, 여행사 533개업체, 관광객 이용시설업 18개소, 관광편의시설업
92개소, 유원시설업 17개소 등 722개 업체가 운영되고 있다. <표1> <표 1> 관광업소
또한 675천평의 지정관광지 3개소,10개소의 관광안내소, 28개소의 관광안내판이 있다〈표2〉
<표 2> 관 광 편 의 시 설
나. 부산관광의 추이 과거의 관광형태는 주로 관광명소를 유람하는 정적
관광활동이 주류였다. 그러나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의 증가, 여가시간의 증대, 핵가족화, 탈대중화 현상 등으로 최근의 관광객은
스스로 관광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지방특유의 민속축제, 이벤트, 오락 등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를 동시에 추구하는
동적 관광의 형태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여행형태도 단체관광에서 가족 혹은 개별단위로 장기체류하는 여행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부산관광의 경우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관광이 부족하고 부산의 특징적 관광자원인 해양스포츠자원이 관련법의 미비로
개발에 한계가 있어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우리
나라를 찾아온 외국인 중에서 부산을 방문한 관광객은 '71년도의 경우 전국 693,221명 중에서 264,088명으로 전국대비
38.0%를 점하였으며, '80년대
중반에는 우리 나라 전체 관광객의 50%를 차지하는 등 높은 비중을 점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타 시ㆍ도들이 관광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면서 차츰 그 비중이 감소하여 현재에는 <표 3>과 같이 전국 외래 관광객의 약 29.2%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표 3> 관 광 점 유 율 (단위 : 명)
다. 부산관광의 여건 부산의
지형적 관광여건을 살펴보면, 낙동강을 안고 남해안에 접한 우리 나라의 관문이며 온화한 해양성 기후와 수려한 산과 바다 등 자연경관과
함께 한국 제1의 해양·항만 수산도시이자 관광도시이다. 그러나 부산에는 부산을 대표할만한 관광시설과 상품이 없는
등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① 관광자원을 상품화 할 수 있는 관광기반시설 등이 미흡하고 자연관광자원의 경우 접근성이 불량하여 상품화 되지 못하고 있다. ② 한국 제1의 해양도시의 특성에 부합되는 해양관광자원의 경우 해안선 대부분이 항만용지 등 국가물류 기지로 잠식되어 관광객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③ 국제항공노선 부족과 협소한 국제여객부두시설, 도시교통난 등 관광 인프라의 미비 등으로 관광경쟁력은 다 소 열악한 편이다. ④ 부산의 관광 외화수입은 전국 평균치 이하이며, 부산방문 외래관광객의 국가별 분포는 특정국가(일본 45.3%, 중국 10.5%, 미국 6.2%, 러시아 4.3%)에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⑤ 관광전문인력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 천혜의
관광자원과 잠재력을 가지고도 이를 사장시키고 있 다. 그러나
부산시는 지방자치제도의 출범을 계기로 "가장 지방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광상품"이란 인식하에 우리 부산만이
가지는 자랑거리와 보다 나은 관광여건을 외래관광객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94년에 해운대를 관광특구로 지정하고, 2001년엔 미래
첨단형 관광시설이 조성되는 센텀시티 지역을 문화·쇼핑특구로 특화하여 숙박, 위락기능 위주의 기존 특구와의 상호 기능을
보완하고자
이 지역을 관광특구 확대지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부산 고유의 "자갈치 축제" "바다축제"
"부산국제영화제"등과 같은 볼거리, 즐길거리를 관광상품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2002년 WC 및 부산아시안게임
등 각종 국제행사 개최를 계기로 부산이 보유하고 있는 천혜의 해양성 관광자원과 도시 기반시설을 새롭게 개편하여 21세기
첨단 해양관광도시, 국제관광도시로서의 명성을 되찾도록 400만 부산시민의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하겠다.
라. 외래 관광객 유치 부산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 '95년도에 처음으로 1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부산을 찾은 것을 볼 때 부산관광산업의 성장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부산은 우리나라 제일의 항구도시로서 외국선박의
입출항이 끊일 사이가 없다. 특히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과는 한·일 국교 정상화이후
지난 1970년부터 부산과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 사이에 정기여객선 부관 훼리호와 후쿠오카(福岡)를 운행하는 카멜리아호, 그리고
3시간대의 초고속 비틀2호와 제비호가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인 관광객 유치에 매우 유리한 입장에 있다. 또한 항공노선에 있어서도 서울∼부산간의 국내선뿐
만 아니라
1시간이 채 소요되지 않는 일본의 오오사카, 후쿠오카, 도쿄 등의 국제선이 관광객 운송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부산의 관광 면모도
새로워지고 넓어졌다. 최근
부산을 내방한 외래관광객수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여 왔다. '88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관광객이 20%이상 급격히 증가했으며,
'90년대는 지방화·세계화·국제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적극적인 해외홍보(부산관광설명회 개최 등)로 '95년에는 개항 이후 최초로
1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우리 부산을 찾아, 부산관광산업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었다.〈표 4〉
<표 4> 외 래 관 광 객 수 (단위 : 명)
※'96 이전 자료는 2001부산통계연보 참조
(1) 국적별 외래관광객 유치 부산을
찾는 외래관광객을 국적별로 보면 '86년의 아시안게임과 '88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로 인하여 구미지역과 아시아지역의 관광객이
괄목할 만큼 늘어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일본이 거의 50%로 수위를 차지하고 있고 모국의 발전상을 보기 위해 교포의 모국방문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90년대부터는 러시아 관광객이 눈에 띄게 늘어가고 있다. 〈표 5〉 <표 5> 국적별 관광객 현황 (단위 : 명)
※ '96 이전 자료는 2001부산통계연보 참조
(2) 목적별 외래관광객 '60년대에 부산을 찾아온 외래관광객의 목적을 보면 순수한 관광목적이나 상용 그리고 교포의 모국방문을 위한 관광보다는 외국선원과 승무원의 일시적인 상륙을 겸한 관광이 대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80년부터는
관광경기의 호전됨에 따라 순수한 관광목적으로 부산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비중은 전체의 50%를
오르내리게 되었고, 이에 따라 관광객의 관광형태도 관광목적의 비중이 높아졌고, '90년대 이후부터는 순수관광을 목적으로 부산을 찾는 관광객이 계속 50%이상을 점하고
있다. 〈표 6〉 <표 6> 목적별 부산방문 관광객 현황 (단위 : 명)
※ '96이전 자료는 2001 부산통계연보 참조
(3) 관광객 입국 경로 부산을
찾아오는 경로는 김해국제공항, 국제여객터미널 그리고 외국선박을 통해 선원이 직접 입국하는 경로와 서울을 경유하여 부산역, 고속터미널
등을 통하여 부산으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황은 다음과 같다.<표7> 초기에는 김해공항을 통한 직접 입국비율이
높았으나, '90년대 이후 부산을 찾는 관광객이 점차 전세계로 확대되어짐에 따라 서울을 경유한 부산방문의 비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어, 김해공항 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부산역, 터미널 등 교통 요충지의 관광안내기반 정비는 필연적이라 하겠다 <표 7> 관광객 입국경로 (단위 : 명)
※ 상세한 통계 자료는 2001부산통계연보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