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안부 프로젝트 01병원안심동행 서비스
병원안심동행서비스란?
시민 누구나 병원을 편히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과 동행매니저를 지원하여
집에서 나와 병원에 갈 때 부터 접수·수납, 병원진료, 약국 이동 및 귀가까지
병원 이동 및 이용의 전 과정을 함께하는 서비스
지원안내
-
01지원대상
- 병원 이용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어 돌봄이 필요한 1인가구
- 2인이상 가구라도 실제 돌봄을 받을 수 없어 1인가구와 유사한 상황이면 서비스 제공 가능 (노인부부, 한부모가정 등)
-
02지원내용
- 병원 출발 및 귀가 지원
- 병원 내 접수·수납, 진료 등 동행
-
03이용시간 및 요금
- 평일 9시 ~ 18시
- 1시간 15,000원, 초과 30분 당 7,500원 (※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중위소득 50% 이하 회당 2,000원 본인 부담, 그 외 전액 자부담)
-
04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병원안심동행서비스 담당자)
주요 이용사례
-
조손가구
직장생활 중인 손자가 할머니의
병원 이용을 위해 신청 -
맞벌이부부
맞벌이 부부가 노모의
병원 치료를 위해 신청 -
노인가구
타 지역에거 거주 중인 자녀가
부모의 병원 진료를 위해 신청
이용절차
-
신청·접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서비스 의뢰
지역자활센터
-
서비스 확정
지역자활센터
-
서비스 제공
지역자활센터(동행매니저)
-
비용지급
구·군
병원안심동행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서비스 발대식 및 차량
-
서비스 발대식
-
동행매니저 선서
-
서비스 제공 차량
서비스 제공 사진
-
대상자 가정 방문
-
차량 이용 보조
-
병원 내 진료 동행
안부 프로젝트 02사회적 고립예방
- 비전누구도 고립되지 않는 안녕한 도시 부산
- 목표고독사 위험군 생애주기별 지원 강화
추진과제
-
-
01고독사 위험군 발굴
- 인적안전망, 위기징후 정보 활용 위험군 발굴
- 사회적 고립가구 실태조사 실시
-
02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연결 강화- 지역공동체 공간 등 운영
-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
- 정보통신기술 활용 연결 및 안부확인
-
03생애주기별 서비스
연계·지원- 청년 위험군 정서 및 취업 지원
- 중장년 위험군 일상생활 지원
- 노인 위험군 지역사회 돌봄 지원
- 사망자·유가족 사후지원
-
04고독사 예방 기반 구축
- 고독사 예방·관리 수행체계 구축
-
추진체계
-
발굴
고립가구 실태조사, 빅데이터 모니터링,
현장 발굴단 활동 -
지원
생애주기별 주요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 -
연계
재활, 의료 등 전문서비스
지원 필요 대상자 기관 연계 -
전담기관 구축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전문기관 설치(’24~’27년)
협업체계
- 보건복지부
- 16개 구·군
- 복지기관 등
- 지역사회·주민
-
고독사 위험군 발굴
인적안전망, 위기징후 정보 등 활용
-
구군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을 통한 보호 필요대상자 및 자원 발굴
- 복지대상자 발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보고→ 읍면동 복지담당자 확인 및 처리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노인일자리 등 인적안전망 운영 : 2만2천여명
-
구군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을 통한 보호 필요대상자 및 자원 발굴
- 취약계층 위기정보 39종(단전, 단수 등) → 44종 확대(채무조정 중지자, 가스요금 체납정보 등 추가)
고독사 위험군 발굴 조사
-
중장년 1인가구, 거주취약지 거주 1인 가구 중심 사회적 고립가구 실태조사
- 고독사 위험군 판단도구에 따라 위험군으로 분류된 가구에 대해 상담, 돌봄, 소득 등 맞춤지원 연계
-
구군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을 통한 보호 필요대상자 및 자원 발굴
-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연결 강화
고독사 취약 지역 내 지역공동체 공간 등 운영
- 덕천동 지역 내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복합 커뮤니티 거점시설 확충
- 인구감소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 및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포용빌리지 조성
- 청년 1인 가구 밀집 지역 「안심주거 리모델링 사업」, 「범죄예방 인프라 조성」
- 주거환경 취약지역 「주거취약지역 안심마을 조성」, 「안심 귀갓길 조성」
-
주민과 어르신들이 소통할 수 있는 어울림 공간 및 공유 공간 조성
- 통합돌봄 연계사업, 부산진구·북구, 케어안심주택 어울림센터 운영, 남구 달그락 놀이터
-
생활권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한 <커뮤니티 예술치유 활동> 등 추진
- 사회적 소외대상 선정, 유관기관 및 구.군 건강센터 매칭, 예술치유활동 지원 사업 추진
1인 가구 사회적 고립예방을 위한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
-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센터 중심 1인가구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운영
- 독립생활 준비교육, 자기돌봄, 일상생활 유지관리, 자녀와의 긍정적 상호관계 유지 교육 등
- 복지관, 가족센터 활용 1인 가구 사회공동체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고독사 위험군 대상 사회적 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운영
- 보건복지부 시범사업(’22.8월~’23.12월, 6개구 추진)의 전 구군 확대(’24년)
사회적 유대 향상을 위한 주민관계망 형성 지원
- 문화소외계층 대상 문화향유 프로그램 운영으로 유대관계 형성
- 홀몸노인의 고립감 해소, 경제적 자립 도모를 위한 대안가족 자활공동체 운영
- 정든 마을에서 지속 거주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형 마을텃밭, 사랑방 등 조성
- 공통의 관심사로 모인 청년들의 커뮤니티 활동 지원으로 사회참여 역량 강화
스마트 기기활용 안부 확인
-
냉장고 도어센서, 움직임 센서 설치, 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안부 확인
- 부산도시가스 협약(’21년)사업,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이상징후 확인을 통한 신속 대처
-
고령화에 따른 인구 소멸 지역 대상 ICT기술을 활용하여, 고령자 등 사회적약자 건강 이상 신호 및 배회 감지를 통한 스마트 안심마을 구현
- 센서 개발(’23년), 스마트 신발 및 어플 개발, 보행데이터 수집(’24년), 서비스 실증(’25년)
- 독거노인 댁내 응급안전알림장비 설치·관리를 통한 응급상황 신속 대처
-
생애주기별 서비스 연계·지원
고립·은둔 청년 발굴·지원 체계 마련
-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24~’28년) 수립
- 은둔형 외톨이 원스톱 지원을 위한 전담기구(가칭청년미래센터) 설치 추진
청년 위험군 정신건강관리 강화
- 청년마음건강사업 : 862명 3개월 10회의 심리상담 서비스 지원
-
청년마음이음사업 : ’23년 200명 → ’24년 400명
- 일대일 전문상담 및 집단상담 지원을 통한 청년의 사회 재진입 도모
-
청년마음건강센터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상담서비스 제공
- 우울감, 스트레스, 자살생각 등 정신질환을 겪는 청년 조기발견·지원으로 정신건강 향상 도모
구직단념청년 취업 지원
-
청년 자립 촉진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운영 : 3,200명 지원
- 청년이 매월 10만원 저축시 근로소득장려금 및 추가지원금 지원
-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 자립정착금 및 자립수당 지원
- 자립정착금 1인당 1,000만원(1회), 자립수당 월 50만원(5년)
- 청년두드림센터를 통한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 1인당 최대 180만원의 취·창업을 위한 사회진입활동비학원비, 자격증 취득비 지원
-
구직단념 청년의 취업 촉진을 위한 청년도전지원사업 추진
- 맞춤형 프로그램 이수 후 취업 시 고용촉진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연계 지원
중장년 맞춤형 생활지원 서비스 제공
- 대사증후군 5개 항목 위험요인이 있는 중장년 신체건강 서비스 지원
-
돌봄필요 중장년 대상 심리상담 등 지원 : ’23년 110명 → ’24년 800명
- 재가 돌봄·가사, 식사·영양관리, 맞춤형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조기 퇴직 중·장년 대상 재취업 지원 강화
- 퇴직 전문인력 대상 사회공헌사업 추진 : 연 450명
- 조기퇴직 신중년의 경제적 지원을 위한 재정 일자리 제공 : 470명
- 장노년 취업상담·훈련, 일자리 알선 등을 위한 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운영
-
신중년 노후준비 지원강화를 위한 50+복합지원센터 구축
- ’24.4월(실시설계용역 완료) ⇨ ’24.6월(착공) ⇨ ’25.10월(준공 및 운영)
- 저소득 실업자 일자리 제공,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한 공공근로 지원 : 1,200명
- 조기퇴직자 등 구직자의 취업 지원 강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훈련실시
-
종합적·전문적 신중년 지원체계 구축으로 제2의 인생설계 지원
- 남구 인생후반전지원센터
중·장년에게 필요한 평생교육 추진
- 50+생애재설계 대학을 통한 신중년 생애재설계, 경력개발 등 교육 : 연 500명
- 평생학습을 통한 학습동아리 형성, 사회활동 등 중·장년기의 사회관계망 형성 및 학습의욕 고취를 위한 맞춤형 평생교육 지원 : 연 5,000명
의료·건강관리·돌봄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 65세 이상 노인 59,000명 대상 보건소를 통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보건소 호스피스 전문인력이 생애말기 환자·가족 대상 호스피스 완화케어 서비스 제공
- 의료취약계층 발굴 및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포괄적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버스’ 운영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등 연계·제공
- 치매예방, 건강관리 일상생활지원 등 노인 2,500명 대상 사회서비스 제공
- 병원안심동행, 퇴원환자안심돌봄 등 부산형 ‘함께 돌봄’ 추진
- 결식우려 저소득노인 7,500명 대상 무료급식 지원
- 사회관계 단절, 우울증 등으로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노인 대상 맞춤형 사례관리 제공
- 신노년층의 커뮤니티 형성 및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하하센터 2개소 조성
- 재가노인지원서비스 필요자 3,800명 대상 사례관리, 상담 등 서비스 제공
- 무의탁 독거노인 32,000명에게 설·추석 명절 위로금 지원
- 노인 부양가족의 부담감소를 위한 저소득층 대상 노인복지용구 대여를 위한 종합센터 운영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은 수급자에 대한 장기요양급여비용 및 관리운영비 지원
-
혼자 계신 부모님 안부확인을 위한 안심콜 서비스 운영 : 연 17,000건
- 대상자 안부확인전화(주1회), 특이사항 발생시 보호자 문자알림서비스 등 제공
시신 인수자가 없는 고독사 사망자에 대한 공영장례 확대
- 무연고자 및 저소득층 공영장례 지원 : 400명, 1인당 80만원 이내
-
고독사 예방 기반 구축
지자체 업무수행 기반 강화
- 고독사 예방 사업에 대한 자문을 위한 위원회 운영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노인일자리 등 인적안전망 운영 : 2만2천여명
-
구군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을 통한 보호 필요대상자 및 자원 발굴
- 취약계층 위기정보 39종(단전, 단수 등) → 44종 확대(채무조정 중지자, 가스요금 체납정보 등 추가)
고독사 위험군 발굴 조사
-
중장년 1인가구, 거주취약지 거주 1인 가구 중심 사회적 고립가구 실태조사
- 고독사 위험군 판단도구에 따라 위험군으로 분류된 가구에 대해 상담, 돌봄, 소득 등 맞춤지원 연계
안부 프로젝트 03무연고자 및 저소득층 공영장례
공영장례란?
장례의식 없이 시신이 ‘처리’되지 않도록
공공이 무연고 사망자 및 저소득 시민에게
검소한 장례의식을 지원하여,고인이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유가족과 지인 등이 고인을 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례제도 (1인 당 80만원 이내 현물 지원 ※예산 범위 내)
지원대상
-
01무연고 사망자
- 연고자가 없는경우
- 연고자를 알 수 없는 경우
- 연고자가 있으나 시신 인수가 불가피한 사유로 거부·기피된 사망자
-
02저소득층
「국민기초생활 보장법」,「긴급복지지원법」,「부산광역시 저소득주민의 생활안정 지원에 관한 조례」,
「부산광역시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을 위한 조례 」,「부산광역시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자원에 관한 조례 」에 따른
장제급여 수급자 및 장제지원을 받는 자 중 연고자가 미성년자, 장애인 및 75세 이상 노인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례처리 능력이 없는 경우
지원내용
-
고인모심
운구 및 안치, 염습 및 입관 등을
구·군(위탁업체)에서 수행 -
장례의식
- 구·군·관내 장례식장 등 전용빈소에서 추모의식
- 부산영락공원 내 공영장례실조성하여 추모의식 -
화장 및 봉안
부산영락공원에서 화장,
5년 봉안 또는 산골
※장례서비스 부고, 빈소 제공, 제례물품 지원, 대리상주(장례지도사등) 장례의식 실시
-
안치 - 염습 - 입관 - 운구
기존진행(시신처리)
-
장례서비스
신설
-
화장(면제) - 봉안 또는 산골
(영락공원 5년안치)기존진행
- 장례식장 빈소(24시간 이내)
- 대리상주(필요시)
- 제례물품(영정사진 또는 위패, 향, 초 등) 및 제물상 차림(1회)
- 화장장 운구
- 종교의식(유족과 협의 후 지원)
- 부고, 근조기, 제단장식(조화 가능)
- 성복제 및 발인제 진행
지원절차
-
01
사망자 발생
- ⓐ 무연고자
- ⓑ 저소득층(정책처리 능력 없는경우)
-
02
신청 및 대상자 결정
- ⓐ 구·군 직권결정
- ⓑ 관계인 신청(구·군 결정)
-
03
장례의식
- 협력 장례식장 및 영락공원 전용빈소
-
04
공영장례 비용청구
- 구·군 위탁업체 등 (담당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