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감염병포털
감염병포털
닫힘
감염병 통계
신고 현황
표본감시
주간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예방 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
더 알아보기
감염병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홍보자료
교육자료
월간소식
코로나19 치료제
처방기관
조제기관
자주묻는 질문
자주묻는 질문
검색
열림
법정감염병
현재 본문 위치 :
HOME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감염병 정보
법정감염병
해외감염병
지침
내용
보툴리눔독소증
보툴리눔독소증이란
보툴리누스균이 생산하는 독소(A, B, E, F)에 의한 급성, 대칭성, 진행성의 신경마비성 질환
고위험병원체로 생물테러 감시체계에 속한 감염병
감염 경로
(식품매개형) 오염된 식품 섭취로 발생, 식품 내 보툴리눔 독소는 부적절한 보존, 염장처리, 혹은 캔처리 된 음식에서 생성
(상처형) 보툴리눔균의 아포가 상처로 들어간 뒤 독소를 생성하면서 발생, 마약 투여자, 외상 혹은 수술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
(기타형) 미용(주름 제거) 또는 치료(편두통 등) 목적으로 많은 양의 독소가 주입되거나 가공·살포된 생물학제제를 흡입하여 발생 가능
(사람 간 전파) 사람 간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 뇌수막염 환자의 경우 전파 가능하므로 비말주의
증상
주요 증상 및 경과
전파 경로에 따라 임상증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음
초기: 일반적으로 3S(seeing, speaking, swallowing) 기능저하를 시작으로 관련 증상 발현
특징: 급성, 비 발열성, 대칭성, 하행성 이완 마비가 특징임
뇌신경 마비 증상: 복시, 안검하수, 안면근육 근력 저하, 연하곤란 및 발음곤란 등
구갈, 동공 고정이나 산대, 변비 외에 심혈관계와 위장관계, 비뇨기계에서 자율신경계 이상증상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만약 증상발현이 매우 빠른 경우 갑작스런 호흡근마비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음
발열은 없고 감각이나 지남력은 일반적으로 소실되지 않음
분류
식품매개형: 복시, 시야 흐림, 구근 약화(bulbar weakness) 증상들이 나타나고 대칭성 마비가 빠르게 진행 가능. 오심, 구토, 설사 후 변비 등도 동반 가능
영아형: 잘 먹지 못함, 젖먹이와 울음능력 감소, 목/말단의 약화(floppy baby), 변비, 호흡부전
상처형: 복시, 시야 흐림, 구근 약화(bulbar weakness) 증상들이 나타나고 대칭성 마비가 빠르게 진행 가능
감별진단
Guillain-Barre 증후군, 중증근무력증, 폴리오, 중추신경계 질환, 중독증 등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임상적인 의심이 진단에 무엇보다 중요함
치명률
약 5% 정도. C. botulinum 독소의 치사량은 독소형과 체내유입경로에 따라 성인에서 1㎍ 이하일 수 있음.
중증도 환자에서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경우 치명률은 100%에 이를 수 있지만 대증 요법과 항독소를 사용하면 치명률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음
치료 및 예방
진단
검체(대변, 구토물, 위흡인물)에서 독소생성 C. botulinum 분리 동정
검체(혈액, 대변, 구토물, 위흡인물 등)에서 C. botulinum 독소 검출
항독소제 치료
항독소제는 국가비축의약품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필요시 의료기관의 요청에 따라 지급
보툴리눔독소증 항독소제 투여로 마비를 되돌릴 수는 없으나 증상의 악화를 막을수 있음
빠른 항독소제 투여 시 사망률 감소 보고
대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므로 호흡이 돌아올 때까지 인공호흡 등의 치료가 필요
외상성 보툴리눔독소증 환자: 항독소 투여, 상처의 괴사 조직 제거 항생제 치료
보존 치료
증상의 악화 정도에 따라 인공호흡기 치료 등 집중적인 의료관리 필요
상처 보툴리눔독소증은 항독소제 투여, 상처 괴사 조직 제거, 항생제 등 투여
격리: 의심단계부터 감염병관리기관 및 신고의료기관 입원·격리 치료
예방
뇌수막염이 합병된 경우에는 비말 전파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말 주의 준수
국내 가용 백신 없음
감염예방 수칙
‧ 음식 조리 전 손과 용기를 깨끗이 손 씻기
‧ 1세 이하 영유아에게 꿀 섭취 금지
‧ 보관식품은 햇볕을 피하고 냉장보관
‧ 저장 식품 10분 이상 끓이기
‧ 캔의 경우 용기가 부푼 경우 열지 말고 곧바로 버리기 등
‧ 신경마비 등 보툴리눔독소증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통한 진료 및 진단 필요
목록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