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0

행정통합

행정통합이란?

부산과 경남을 다시 하나로,
완전한 자치권과 더 큰 위상을 가진 분권형 통합지방정부 구축

추진 배경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역전하는 현상 발생

수도권-비수도권 인구 추이 / 비수도권 1980년:2,458, 1990년:2,453, 2000년:2,526, 2010년:2,512, 2020년:2,581 / 수도권 1980년: 1,354, 1990년:1,834, 2000년:2,174, 2010년:2,443, 2020년:2,602
수도권-비수도권 인구 추이
인구감소지역 지정 현황(하늘색)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정 결과

인구감소 등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비수도권 광역 도시 간 행정통합 필요성 증가

수도권 집중화 장래인구 추계 / 부산광역시 2020년: 335만명, 2035년 : 300만명, 2050년 : 252만명(예측) / 경상남도 2020년 : 334만명, 2035년 : 300만명, 2050년 : 266만명(예측)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추진 방향
상향식통합
행정통합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추진
완전한자치
연방제의 주(州)에 준하는 완전한 자치권·재정권을 보장받아 통합의 실효성 확보
기초지자체
현재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는 유지 하며, 광역 시·도 간 통합 우선 추진
통합지방정부 목표
  •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거점 조성하여
    부산·경남(남부권)을 국토 두 바퀴의
    한 축으로 형성

  • 성공적인 통합으로
    국가균형 발전을 선도하는
    대표 모델
    입지 구축

  •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으로 성장하여
    청년이 돌아오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또 하나의 수도권 구현

부산·경남 행정통합으로 국토 두 바퀴 남부권 중심축 형성삶의 질 향상

  • 체크 아이콘

    대한민국 지방시대 선도

  • 체크 아이콘

    지방분권 대표 모델 구축

  • 체크 아이콘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진입

수도권 남부권 지도
  • 부산·경남 경제권 통합
    규모의 경제실현

  • 광역 출퇴근 일일 통행시간
    1시간 생활권 구축

  • 시·도민의 삶의 만족도
    OECD 선진국 수준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치행정과
051-888-6441
최근 업데이트
2025-04-2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